•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measurement

검색결과 4,257건 처리시간 0.03초

다종위성에 근거한 미계측 지역의 토양수분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ing soil moisture accuracy in ungauged areas using Multi-Satellite data)

  • 김도영;전현호;이슬찬;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3-433
    • /
    • 2023
  • 토양수분은 물 순환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수문순환 및 기상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토양수분 자료구축을 위해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센서를 활용하여 지점 단위 토양수분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는 도서, 산간 지역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지점관측 센서만으로 공간 대표성을 갖는 토양수분 자료를 산출하기 어렵다. 이에, 광범위한 지역을 장기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탐사 기법을 활용하여, Advanced SCATterometer (ASCAT), Soil Moisture Active and Passive (SMAP) 등의 공간 단위 토양수분 자료의 적용성이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공간 토양수분 자료의 검증을 위해 필수적인 지점 토양수분 자료가 구축되지 않은 미계측지역이 다수 존재하며, 한반도와 같이 지형적 복잡성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계측지역에서의 활용성 평가 결과가 미계측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가정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지역의 공간 토양수분 자료를 산출하고자 계측지역에서 SM2RAIN 알고리즘으로 산출된 강수량 자료와 위성 산출 자료 그리고 지점관측 자료의 관계성을 분석했다. SM2RAIN 알고리즘의 입력자료는 Advanced SCATterometer (ASCAT)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했다. ASCAT 토양수분 자료와 SM2RAIN 강수 자료의 검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utomated Agriculture Observing System (AAOS) 토양수분 자료,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강수량 자료와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강수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반적으로 ASCAT 토양수분을 통해 산출한 SM2RAIN 강수량의 추정과GPM 강수량이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Downscaling 기법과 연계하여 지형적 복잡성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의 토양수분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Ku-대역 FMCW 레이더용 전자식 빔 조향 배열 안테나 특성 검증 (Characteristic Verification of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Antenna for a Ku-band FMCW Radar)

  • 정채현;이재민;김민철;이행수;류성준;장성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5-7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포토닉스 기반의 Ku-대역 FMCW(Frequency Modulation Continuous Wave) 레이더 시스템에 적용할 전자식 빔 조향 배열 안테나 설계, 제작 및 검증 단계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따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수신부에 동일 안테나를 적용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2×8 배열 구조를 가지며, Ku-대역에서 동작한다. 16개의 복사 소자 개별로 정재파비 측정 및 배열 복사 소자 간 커플링 영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송신 시 수신 안테나로 넘어가는 전력으로 인한 시스템 영향성을 최소화 하도록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간의 분리도 특성을 최적화 하였으며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근접전계 챔버에서 16개 복사 소자 각각 빔 패턴 측정하여 데이터 확보 후 빔 합성을 통하여 2×8 배열 안테나의 빔폭, 부엽준위 및 빔 조향 특성을 확인하였다.

UAM 복합 항법을 위한 C 밴드 지상기반 전파 항법 시스템 연구 (A Study of the C-band Ground-based Radio Navigation System for UAM Cooperative Navigation)

  • 이경순;조용운;김민정;구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74-381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 UAM에서 주로 사용하는GNSS 항법과 협동 운용할 수 있도록 지상기반 C밴드 주파수(5.03~5.15GHz)를 이용한 전파항법 VOR/DME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항공우주를 감독하는 미연방항공국 규칙 Title 14 CFR- Aeronautics and Space 135.165에서 제시한 '2개 이상의 독립적인 항법소스를 비행체에 적용' 규정사항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항법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용 주파수 5.03~5.15 GHz를 사용하였으며, 무인항공기에서 도착 버티포트까지의 방위각과 거리정보를 획득에 필요한 VOR/DME 시스템 구현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파 전파경로 손실분석에 의한 링크버짓 도출, 소형화된 도플러 VOR용 안테나 형상설계 및 기존 항공기용 보다 측위거리 해상도가 향상된 DME 설계 등을 수반하였다. 본 연구 결과물은 지상기지국과 UAM에 장착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성되며, 각각 시제품 제작 및 주요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 중인 대학생의 영상표시단말기 증후군의 변화 (Changes in th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of college students in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경숙;정영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7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the experience rate and level of symptoms of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2 to June 8, 2021 at three measurement points. A total of 117 college students were administered a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survey just before online classes (T1), one month after the start of online classes (T2), and three months after the start of online classes (T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paired t-test, McNemar 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intensity of college students'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during online classes increased at T2 and T3 compared to T1. The rate of experiencing back discomfort or pain increased abruptly at T2 compared to T1. The intensity of college students' eye related symptoms and skin related symptoms increased at T2 and T3 compared to T1, while the intensity of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symptoms, general body discomfort,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creased at T3 compared to T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care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who are in long-term online classes.

A narrative 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spasticity after stroke

  • Sooran Cho;Eunseok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31-14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iew clinical studies on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TEA)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ost-stroke spasticity (PSS) Methods: Clinical studies related to TEA treatment for PSS were searched for in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Cochrane Library, MEDLINE, OASIS, and CNKI. After the selection/exclusion process, information on study design, disease, experimental/control group, intervention, outcome measurement, between-group differences, and adverse events was extracted. Results: A total of 13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usual frequency of TEA treatment was once every 1-2 weeks, and the treatment most commonly included 4 sessions. In the dorsal area, EX-B2 and the acupoints in governing vessel meridian were commonly used. Acupoints in the meridian of the large intestine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upper limb spasticity. Except for HT1, PC6, and PC8, all TEA points for treating PSS of the upper limb were on the Yang meridians. For the lower limb spasticity,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s were ST36, GB34, GB30, BL60, and BL57 on Yang meridians, and LR3, SP6, SP9, and SP10 on Yin meridians. TEA treatment showed better effects than conventional treatment for PSS in terms of spasticity, motor dys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s. Nevertheless, the absence of the follow-up observation, lack of sham TEA treatment, and low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necessitated caution in interpreting the resul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view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modalities of TEA treatment for PSS and provide insights to facilitate well-designed studies in the future.

RFID를 이용한 일상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aily Life Monitori ng System using RFID)

  • 정경권;박현식;최우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9-5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상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활동 모니터리을 위해 장갑 형태로 구성되며, RFID 리더기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RFID 태그는 13.56MHz에서 동작하고, 사각형의 작은 사이즈로 구성된다. 센서 노드는 기구나 약병, 주방용품 등의 다양한 일상생활 물체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는다. 센서 노드는 무선 패킷을 싱크노드로 전송하고, 싱크노드는 수신된 패킷을 서버로 전달한다. RFID 시스템에서 전달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일상생활 활동정보를 표시한다. 웹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 RFID 태그의 회수를 하루단위로 막대 차트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한 방식이 노약자의 행동이나 생활 습관 등을 감지하고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한의사의 역할과 정책적 과제: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The Role and Policy of Korean Medicine Doctor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 Mixed-Methods Approach)

  • 김주철;천혜선;이희정;임정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45-59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Korean medicine doctors in the national quarantine system and the status of their dutie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medicine staff who participated in COVID-19 work. Method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survey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s' participation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status of COVID-19 related work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s' role in infectious diseases, and the maximum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There were 300 respondents to the survey, and as for the COVID-19 related work,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COVID-19 patients accounted for the most(52.7%), and various preventive and treatment tasks such a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nd specimen collection were conducted.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ufficient legal and administrative grounds for Korean medicine doctors to perform specimen collection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olicy framework to solidify the status of Korean medicine doctors in national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딥 러닝 기반의 이기종 무선 신호 구분을 위한 데이터 수집 효율화 기법 (An Efficient Data Collection Method for Deep Learning-based Wireless Signal Identif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 최재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2-66
    • /
    • 2022
  • 최근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비면허 대역의 다양한 통신 신호를 분류하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신경망 모델 사용을 기반으로 이뤄진 이러한 접근법은 높은 연산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자원 제약적인 무선 인터페이스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장비에서는 사용이 제약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면허 대역의 무선 이기종 기술을 인지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 방법을 살펴보고, 신호의 특징 추출 및 데이터화의 효율화 문제를 다룬다.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기술을 구분하기 위해 수신 신호 강도 측정을 기반으로 한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모델을 학습시켜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동일한 구조의 신경망 모델의 경량화를 위한 효율적 신호의 시계열 데이터 정보 수집시 주파수 대역의 특징을 함께 특징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Bluetooth 호환의 Ubertooth 장비를 이용한 실측 기반의 실험 결과는 제안된 샘플링 기법이 동일한 신경망에 대해서 10% 수준의 샘플링 데이터 이용만으로도 동일한 정확도를 유지함을 보여준다.

Preparing for low-surface-brightness science with the Rubin Observatory: characterisation of LSB tidal features from mock images

  • Martin, Garreth W.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40.3-41
    • /
    • 2021
  • Minor mergers leave behind long lived, but extremely faint and extended tidal features including tails, streams, loops and plumes. These act as a fossil record for the host galaxy's past interactions, allowing us to infer recent accretion histories and place constraints on the properties and nature of a galaxy's dark matter halo. However, shallow imaging or small homogeneous samples of past surveys have resulted in weak observational constraints on the role of galaxy mergers and interactions in galaxy assembly. The Rubin Observatory, which is optimised to deliver fast, wide field-of-view imaging, will enable deep and unbiased observations over the 18,000 square degrees of the Legacy Survey of Space and Time (LSST), resulting in samples of potentially of millions of objects undergoing tidal interactions. Using realistic mock images produced with state-of-the-art cosmological simulations we perform a comprehensiv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extended diffuse light around galaxies and galaxy groups down to low stellar mass densities. We consider the nature, frequency and visibility of tidal features and debris across a range of environments and stellar masses as well as their reliability as an indicator of galaxy accretion histories. We consider how observational biases such as projection effects, the point-spread-function and survey depth may effect the proper characterisation and measurement of tidal features, finding that LSST will be capable of recovering much of the flux found in the outskirts of L* galaxies at redshifts beyond local volume. In our simulated sample, tidal features are ubiquitous In L* galaxies and remain common even at significantly lower masses (M*>10^10 Msun). The fraction of stellar mass found in tidal features increases towards higher masses, rising to 5-10% for the most massive objects in our sample (M*~10^11.5 Msun). Such objects frequently exhibit many distinct tidal features often with complex morphologies, becoming increasingly numerous with increased depth. The interpret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such features can vary significantly with orientation and imaging depth.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the biases that arise from projection effects and surface-brightness limits and suggest that, even after the LSST is complete, much of the discovery space in low surface-brightness Universe will remain to be explored.

  • PDF

Ka-대역 GaN 저잡음 증폭기의 강건성 평가 (Robustness Evaluation of GaN Low-Noise Amplifier in Ka-band)

  • 이동주;안세환;주지한;권준범;김영훈;이상훈;서미희;김소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49-154
    • /
    • 2022
  • GaN 소자는 고출력 및 고선형성 특성을 가지므로 레이더 수신기에서 저잡음 증폭기로 활용되어 리미터 없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잡음지수를 개선하고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a-대역 레이더용 수신기에 적용하기 위한 GaN 저잡음 증폭기를 기술하였다. 설계된 저잡음 증폭기는 150-nm GaN HEMT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목표주파수 내에서 패키징 손실을 포함하여 >23 dB 이득, <6.5 dB의 잡음지수 특성을 보였다. 고입력 부하시험시 이득 및 잡음 저하가 있었으나, 반복시험시 추가적인 성능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하시험 후 잡음지수 및 S-파라미터 측정을 통해 GaN 저잡음 증폭기에서 ~40 dBm 펄스 입력 전력을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