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

검색결과 1,369건 처리시간 0.034초

돌연변이 Chlamydomonas reinhardtii의 영양분 제한에 따른 지질 생산 및 지방산 조성 변화 연구 (Effect of Nutrient Limitation on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tant Chlamydomonas reinhardtii)

  • 백재원;최종일
    • KSBB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91-95
    • /
    • 2015
  •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microalgae is dependent on the microalgal lipid content and free fatty acid composition. Both lipid and free fatty acid are regulated by nutrient sources.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mutant Chlamydomonas reinhardtii with higher lipid content was investigated for the effect of nutrient limitation. Nitrogen $NO_3{^{-}}$ and phosphate $PO_4{^{3-}}$ were limited for nutrient starvation during the cultivation. Under nutrient starvation, total lipid content level was increased to 27~33% and C16:0 fatty acid content constituted over 31~43% of total fatty acid. Interestingly, we also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fatty acid desaturase (FAD7) was decreased when nutrients were starved.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혈청 지방산과 Carnitine 농도에 대한 연구 (Serum Fatty Acid and Carnitine Levels in Obese Children with Fatty Livers)

  • 이진범;이재원;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083-1089
    • /
    • 2002
  • 목 적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쉽고 합병증으로 고혈압, 지방간, 동맥경화증이 동반될 수 있다. Carnitine은 장쇄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할 때 필요한 조효소로 지방산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방간을 가진 비만 소아에서 혈중 지방산과 carnitine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L-carnitine을 임상적으로 비만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7-18세의 지방간으로 진단받은 비만아 9명과 정상 대조군 소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을 sodium borate를 섞어 원심분리 후 하층을 methylene chloride를 이용하여 계층 분리하였고, MSTFA와 acetonitrile을 넣고 유도체화 반응을 시켰다. GC-MS 자동 분석기로 혈청 지방산 fraction을 정량 분석하였고, carnitine(free, acyl, total)은 cycl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415 nm에서 정량 분석하였다. 결 과 : 혈중 총 지방산은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장쇄 지방산(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이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총 carnitine과 유리 carnitine 농도가 비만아에서 정상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cyl carnitine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장쇄 지방산이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비만아군에서 정상아에 비해 혈청 carnitine이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비만아에서 L-carnitine 투여 후 지방산 대사의 변화에 대해 추후에 연구할 예정이다.

오징어 내장유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질 분석 및 특성 연구 (Study for Al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During Transesterifica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5-159
    • /
    • 2007
  • Ethanolysis of squid viscera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oil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1].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Ethanolysis showed increased content of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ed free fatty acid contents. The oil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GC-FI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ethanolysis. Structural analysis of the lipid was performed by HPLC-UV spectrophotometer during ethanolysis. The transformed oil was thought to has suitable properties for functional oil production.

  • PDF

천연산과 양식산 꼬막의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Fre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Wild Cockle Clam and Cultured One)

  • 주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0권6호
    • /
    • pp.456-462
    • /
    • 1987
  • Chemical composition, fre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ured cockle clam were studied. 1.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higher in Anadara suberenata thanthat ini Anadara granosa.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ash increased after boiling. 2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Anadara granosa was similar to that of Anadara suberenata. Both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mong free amino acid were the most abundant in cockle clam. Next, leucine, arginine and lysine were abundant in order. They all composed of approximately 50%^ of total amino acid content. Whereas the contents of cystine and methionine were poor. 3. In cockle clam the major fatty acids consisted of C16 :0, C18: 0, C18 ;1 and C18:3 in order. The level of C16 :0 was the highest in lipids. The levels of C18 : 0 and C14 :0 were higher in Anadara granosa than those in Anadara suberenata, while the levels of C16 :0, C18 :3 and C16 : 1 were higher in Amadara suberenata than those in Anadara granosa.

  • PDF

증자 난황 건조 조건이 오리 난황유 산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ing Conditions of Steamed Egg Yolk on Acid Value of Duck Egg Yolk Oil)

  • 류일환;정인택;이갑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6-211
    • /
    • 2004
  • 오리 난황유는 난황을 성형 증자하여 만든 증자난황을 일정 조건 하에서 건조 후 용제 추출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증자 난황의 건조가 유제품의 품질에 집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청둥 오리알로부터 직접분리 조제한 난황으로부터 난황유 추출 및 저장과정 중에 일어나는 유지의 품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리난황유의 추출 이전 단계인 증자 난황의 건조 방법 및 수분함량, 온도, 건조 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에 따른 산가는 각각 3.7, 3.5 및 3.5였으며, 수분의 함량은 각각 4.0%, 3.0%, 3.0%이었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0.83%, 0.80% 및 0.79%로 동결건조 및 분무 건조에 의한 건조 시 비교적 낮은 산가 및 수분함량을 보였으나 각 건조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조 온도의 영향은 6$0^{\circ}C$에서 수분의 함량은 최저치에 도달하여 일정한 값을 보인 반면, 산가 및 유리 지방산의 함량은 추출온도가 60%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함량과 유리 지방산의 함량 모두 건조 9시간 후 각각 3.1, 3.0% 및 0.98%로 최저값에 도달하여 건조 12시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산가에 따른 난황유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C_{18:0}$(stearic acid)의 함량은 산가가 1.5 증가함에 따라 4.76%에서 7.11%로 약 1.5배 가량 증가한 반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함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함량이 많은 지방산의 감소폭이 커짐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linolenic acid( $C_{18:3}$)의 경우 1.29%에서 0.96%로 약 3배 가량 감소되었으며, Arachidonic acid($_{20:4}$)의 경우 0.63%에서 0.40%로 약 1.5배 가량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최적의 증자난황 건조조건으로 열풍건조법으로 6$0^{\circ}C$, 9시간 건조시 수분함량과 산가 및 유리지방산이 함량이 낮은 양호한 품질의 난황유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판단되었다.

녹두발아(綠豆發芽)중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 최갑성;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5
    • /
    • 1985
  • 녹두(綠豆)를 7 일간(日間) 발아(發芽)시키면서 2 일(日)간격으로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량(粗脂肪量),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脂酸)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 녹두발아(錄豆發芽)중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은 다 같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감소(減少)정도는 자엽부(子葉部)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는 계속 감소(減少)하였고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반대(反對)경향을 보였다. sterol은 자엽부(子葉部)에서 증가(增加)했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약간씩 감소(減少)경향을 나타냈으며 인지질은 배축부(胚軸部)에서 약간의 증가(增加) 현상(現狀)을 나타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계속적으로 감소(減少)하였다. 발아(發芽)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은 불규칙하게 변화(變化)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linoleic acid가 배축부(胚軸部)에서는 stearic acid가 주요(主要)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 나타났다.

  • PDF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Browning of Dried Alaska Pollack)

  • 최희선;김종환;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2-1187
    • /
    • 2007
  •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밤 지질(脂質) 성분(成分)의 분석(分析) -제2(二)보. 구성 지질(脂質) 및 구성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 (Analysis of the Lipid Components in Chestnut(Castanea crenata) -II.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 Glycolipid and Phospholipid-)

  • 이종욱;김은선;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19-27
    • /
    • 1983
  • 은기(銀寄), 녹조(鹿鳥), 상피(霜被)의 3가지 밤 품종(品種)의 지질(脂質)성분으로 부터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구성지질(脂質)과 구성지방산(脂肪酸)을 thin-layer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 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로는 glyceride,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triglyceride는 거의 없었고 free fatty acid와 monoglyceride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외과육(外果肉)의 유리지질(遊離脂質)에는 triglyceride가 25.7%로 훨씬 많았으나 결합지질에는 거의 함유되지 않은 것이 특이하였고 기타 성분은 미량 존재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중의 당지질(糖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가 주성분이었다. trigalactosyl diglyceride가 유리지질에는 극히 적으나 결합지질에는 2.0% 함유되어 있다. 유리지질 중의 인지질(燐脂質)은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결합지질(結合脂質)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이 주성분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inoleic acid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에 각각 49.3%, 45.1%로 제일 많았고 linolenic acid, palmitic acid가 역시 주요 지방산(脂肪酸)이었다.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도 그 경향(傾向)은 비슷하였으나 palmit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포화지방산 함량이 중성지질보다 훨씬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결합지질에 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았다.

  • PDF

황색종 잎담배의 후숙과정 중 유리당, 비휘발성 유기산 및 지방산의 변화 (Changes of Free Sugar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Flue-cured Leaf Tobacco during Aging)

  • 복진영;박윤신;박원종;이종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5-82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ree sugars, non-volatile organic and fatty acids in flue-cured leaf tobacco during aging. The threshed leaf tobacco(B1O and C1L) produced in 2002 crop year was aged for 21 month in warehouse of Oc-Cheon Leaf Tobacco Processing Factory. The leaf tobacco were sampled at three month intervals for analysis of free sugars, non-volatile organic and fatty acids. The major free sugars of flue-cured were glucose and fructose regardless of tobacco grades. After aging period of 21 months, the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decrease, and there was no appreciable change in the contents of sucrose in B1O and C1L grades. The major compound of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fatty acid were malic, oxalic and citric, linolenic, linoleic and palmitic acid regardless of tobacco grade. After aging period of 21 months, the contents of malic, malonic, oxalic and fumaric acid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decrease, whereas succinic acid was slightly increased, and maleic acid was not changed in B1O and C1L grades. The decreases in fatty acid contents in B1O and C1L grade tobacco loaves after 21 month aging were 16.5% and 9.8%, respectively. The decreases in linolenic acid contents in two grades were the highest, showing 22.1% and 12.0% reduction after 21 month aging.

시판 발효 홍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ermented Skates)

  • 조희숙;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7-40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s well as imported fermented skate. Three types of fermented skate products were analyzed for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ammonia-N, fre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omestic fermented skate contained large amounts of TMAO. Also, the domestic and imported fermented skates each contained approximately 7.1 log CFU/g and $5.8{\sim}6.5$ log CFU/g of aerobic bacteria, respectively, and 585.9 mg and $384.1{\sim}398.5$ mg of total free amino acids, respectively; all samples contained high levels of taurine, anserine, lysine, alanine, glycine, proline, and ${\beta}-alanine$. For fatty acid composition, the domestic fermented skate contained 11 different type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16 types of unsaturated fatty acid, whereas the imported skate contained 8 type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10{\sim}15$ types of unsaturated fatty acid.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domestic fermented skate is a better source of amino acids and essential fatty acids and contains more aerobic bacteria than imported fermented sk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