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drip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굴과 굴 자숙액을 이용한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ydrolysis Using Oyster and Oyster Cooking Drip)

  • 유태현;김진희;신지영;김성훈;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95-800
    • /
    • 2015
  • 굴은 영양학적으로 뛰어난 식품이다. 또한 굴은 소스를 만드는 좋은 원료로 사용되어 진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굴과 굴 자숙액을 이용하여 좋은 맛과 풍미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조성을 가지기 위한 가수분해 조건과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효소는 상용되고 있는 것으로 Acalase, Flavourzyme, Neutrase 와 Protamax가 사용 되었다. 효소활성이 최대가 되는 조건은 각 회사에서 주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각 효소들의 최적 조건하에서 균질화된 굴과 굴 자숙액은 0.5, 1.0,1.5, 2, 4, 6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굴의 가수분해도는 13.2±0.1%이었지만, 효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2시간까지는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29.9-32.7%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8시간 후에는 36.9-40.5% 범위를 나타내었다. 효소 중에서는 Protamax가 2시간 이내에는 27.4±0.4%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냈었다. 굴 자숙액의 경우 초기의 가수분해율이42.7±0.1%이었고, 가장 높은 가수분해물의 Protamax를 사용한 것으로 가수분해율은 72.1±0.1%이었다. 굴은 모든 효소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굴 자숙액은 효소 별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은 가수분해율을 보이는 Protamax를 사용한 경우, 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해 보면, 6시간 가수분해한 것이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효수분해 반응의 적합한 시간과 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하여 판단하였을 때, 6시간 가수분해한 것이 최적의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점적관수가 토양염농도 제어와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p Irrigation on Soil Salinity Control and Growth of Cabbage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 손용만;전건영;송재도;이재황;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92-499
    • /
    • 2009
  • 간척조성지 밭작물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점적관개가 간척지토양의 염농도관리와 배추 및 양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영산강간척지, 이원간척지 및 화옹간척지에 시험지를 조성하여 시험재배를 하였다. 점적관개는 표토의 염농도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염스트레스 기준이하로 제어할 수 있었지만 토양의 염농도에 대한 공간변이성을 완전히 해소시키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고 이 공간변이성이 생산물의 상품화율을 낮추는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표토의 염농도가 높을수록 유거수의 염농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함으로 고농도의 유거수는 간척지의 염농도관리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적기 이식재배를 한 이원간척지에서는 평균 수량이 배추가 약 6-7톤/10a, 양배추가 5톤 정도로 비교적 높은 수량을 보였고 상품화율도 배추 51.2%, 양배추 59.4%로 어느 정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적기에 비하여 이식이 늦은 화옹간척지와 영산강 간척지는 수량도 매우 낮았고 상품화율도 거의 없거나 매우 낮아 적기를 맞추지 못한 것이 저수의 가장 큰 변수였다. 배추와 양배추의 결구비대는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결구배추가 최고 구중의 50% 이하로 감소되는 토양EC는 적기에 이식한 이원간척지의 경우 배추 $6.1dS\;m^{-1}$ 양배추 $5.7dS\;m^{-1}$이었다.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Red Tanner Crab Cooking Drip Using Commercial Enzymes)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22-1030
    • /
    • 2007
  •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로 이용도가 낮은 자숙액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맛, 영양 및 건강기능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은 일반성분 및 안전성면에서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단 가수분해물의 경우 TCA soluble index(TSI),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는 경우 Alcalase로 2.0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 유래 Alcalase 1단 가수분해물을 기질로 하여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로 각각 2시간씩 연속적으로 가수분해시킨 2단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은 1단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약간 우수하여 2단 가수분해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붉은 대게 자숙액에 비하여 이를 Alcalase 처리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일반성분 및 색조는 차이가 없었으나,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와 같은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증가하였다. 붉은 대게 유래 Alcalase 처리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11,859.6 mg/100 mL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0.2%), proline(10.1%) 및 glycine (10.7%) 등이었다.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hardness in round of Okinawan delivered cow beef during dry- and wet-aging processes

  • Hanagasaki, Takashi;Asato, Naokaz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9호
    • /
    • pp.23.1-23.9
    • /
    • 2018
  • Background: Aging trials are conducted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ry- and wet-aging processes of beef from delivered cows grown in Okinawa, i.e., dams that have finished giving birth (Okinawan delivered cow beef). Changes in free amino acids, hardness, and other factors were analyzed in round of Okinawan delivered cow beef during dry- and wet-aging processes along with a comparison with characteristics of beef imported from Australia. Results: Functional amino acids did not increase during both dry- and wet-aging processes. However, proteinogenic amino acid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nd hardness tended to decrease during both dry- and wet-aging processes. On comparison between dry- and wet-aging processes by analysis of variance, drip and cooking losses were significantly lower during the dry-aging process than during the wet-aging proces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e amino acids or hardness in this comparison.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y- and wet-aging methods for all studied variables related to free amino acids or hardn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ietary Selenium Source and Vitamin E Levels on Performance of Male Broilers

  • Choct, M.;Naylor, A.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1000-1006
    • /
    • 2004
  • Selenium and vitamin E are micronutrients essential for normal health and maintenance in poultry. They are necessary in preventing free radical damage to phospholipid membranes, enzymes and other important molecul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semi-commercial environ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Se source and vitamin E level in diet on broiler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creasing vitamin E from 50 IU to 100 IU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although the 24 h drip-loss was tended to be reduced (p=0.06).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vitamin E and the source of Se in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GSH-Px) and Se concentration in excreta. Increasing vitamin E from 50 IU to 100 IU elevated GSH-Px and Se concentration in excreta by 42 IU/g Hb and 0.9 ppm for the organic Se group, respectively, but reduced GSH-Px and Se concentration in excreta by 16 IU/g Hb and 1.3 ppm for inorganic group, respectively. Vitamin E played no role in the feather coverage of the birds when scored on day 37. Organic Se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feather score and 24 h drip-loss, with a markedly higher deposition rate in breast muscle and a lower excretion rate in the excreta (p<0.05) compared to the inorganic Se source. Both vitamin E and the source of Se did not affect (p>0.05) the energy utilisation by birds.

개체동결 한쪽껍질 진주담치(Mytilus edulis)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of Individually Quick Frozen Half-shelled Roasted Sea Mussel Mytilus edulis)

  • 이현진;황영숙;박노현;김병균;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26-333
    • /
    • 2020
  • To develop a value-added individually quick frozen (IQF) intermediate product from cultured sea mussel Mytilus edulis, we prepared IQF half-shelled roasted sea mussels (HRM) and IQF half-shelled boiled sea mussels (HBM).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metrics of the mussels were examined. The HRM and HBM were produced by washing and removing the byssus of raw sea mussels, followed by electric roasting or boiling. The roasted or boiled sea mussels were half-shelled, lightly washed with 3% saline water, rapidly frozen for 2 hours at -35℃, glazed, and packaged with a plastic film bag. The HRM and HBM ha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11.5 and 12.6 mg/100 g, and amino nitrogen contents of 607.9 and 534.2 mg/100 g, respectively. The HRM and HBM had hardness values of 4.31 and 2.99 kg/㎠, shearing force values of 992.2 and 507.7 g, free drip values of 8.9% and 10.2%, and expressible drip values of 7.0% and 8.1%, respectively.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the HRM and HBM were 763.1 and 560.7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HRM have superior qualities compared to HBM and can serve as high-end shellfish when cooked.

참치 자숙액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조미 소스의 제조 (Preparation of Functional Seasoning Sauce Using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kipjack Tuna Cooking Drip)

  • 오현석;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66-772
    • /
    • 2007
  • 참치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건강 기능성이 고려된 참치 자숙액 조미 소스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그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참치 조미 소스는 단백질이 11.8%로 시판 조미 소스의 약 2배에 해당하였고, pH, brix 및 염도는 각각 $577,348^{\circ}$ 및 11.9%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참치 조미 소스는 시판 조미 소스에 비하여 맛, 냄새 및 색조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ACE 저해능은 참치 조미 소스가 시판 조미 소스(9.9 mg/mL)에 비하여 37% 정도 높았고, 항산화능은 20 mM ascorbic acid에 비하여는 약하였으나 인지는 되었다. 참치 조미 소스는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905.2 mg/100 mL로 시판 조미 소스(712.7 mg/100 mL)에 비하여 약 2.7배 높았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glutamic acid, histidine 및 anserine이었다. 참치 조미 소스는 total taste value가 58.65로 시판 조미 소스의 34.30에 비하여 맛의 강도가 훨씬 강하리라 추정되었고, 맛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및 histidine 등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참치 조미 소스가 10,965 mg/100 mL로 시판 조미 소스의 4,818 mg/100 mL에 비하여 높았고, 참치 조미 소스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proline, histidine 및 glycine 등이었다. 참치 조미 소스의 섭취에 의한 무기질 강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리라 판단되었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감자 겨울재배시 비닐멀칭 및 관수방법이 생육, 수량 및 괴경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 Film Mulching and Irrigation Method on the Growth,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for Potatoes Grown in Winter Season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 최원영;조광민;김선;정재혁;이수환;이경보;이건휘;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63-69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방조제는 완공되었으나 지반이 약한 간척지에서 비닐하우스를 활용한 겨울감자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피복비닐 및 물관리 방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토양은 사양토(문포통) 이었으며, 정식 당시 토양염농도는 0.42% 이었다. 2. 피복비닐종류별 출현속도는 흑색>배색>투명>녹색 순으로 흑색비닐에서 초기 출현속도가 빨랐고, 1일중 온도변화는 투명>배색>녹색>흑색 순으로 높았다. 3. 물관리방법별 토양중 염농도는 1주간격 점적관수가 2주간격 점적관수보다 낮았다. 4. 수확당시 지상부 생육은 1주간격 점적관수처리가 2주 간격 점적관수처리보다 초장이 컸고 경수와 엽수가 많았으며 지상부 건물중도 무거웠다. 5. 물관리방법간 감자수량은 1주간격 점적관수가 2주간격 점적관수보다 많았고, 1주간격 점적관수에서 피복 비닐종류간에는 투명${\geq}$흑색${\geq}$배색>녹색 순 이었다. 6. 항산화분석결과, 배색피복비닐 처리에서 총페놀과 DPPH 함량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Effect of Free-range Rearing on Meat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in Taiwan Game Hens

  • Lin, Cheng-Yung;Kuo, Hsiao-Yun;Wan, Tien-Ch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6호
    • /
    • pp.880-885
    • /
    • 2014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outdoor-grazed raising model on meat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Taiwan game hens. Six hundred 1-d old female chicks were raised on a floor for 8 weeks. On day 57, 600 healthy birds, with similar body weight,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 groups (cage, floor-pen and free-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feeding models had no effect on drip loss, cooking loss,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zinc and calorie contents in breast meat and moisture content in thigh meat. The free-range group had the lowest fat content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and the lowest calorie content in thigh meat. The firmness and toughness in both thigh and breast of the free-range group were the highest values (p<0.05). The crude protein, total collagen, zinc and iron contents in thigh meat and total collagen content in breast meat of the free-rang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age-feeding group (p<0.05). The meat sensory scores of flavor,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both thigh and breast meat of the free-range group were significantly (p<0.05)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Moreover, the current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Taiwan game hens of the free-range feeding model displayed well-received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with higher scores for flavor,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for greater sensory satisfaction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In addition, the thigh meat contained high protein and total collage but low fat, offering a healthier diet choice.

Changes in free amino acid content and hardness of beef while dry-aging with Mucor flavus

  • Hanagasaki, Takashi;Asato, Naokaz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7호
    • /
    • pp.19.1-19.10
    • /
    • 2018
  • Background: A mold strain thought to be suitable for dry-aging process was isola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cientific aspects of molds related to dry-aging beef is scarce. We, therefore, conducted aging trial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mold strain associated with dry-aging process. Specifically, during the dry-aging of beef with the mold strain,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hardness, productive loss, drip and cooking loss were analyzed.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hile dry-aging in the absence of a mold. Results: The isolated mold strain was identified as Mucor flavus. The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mold-aging beef decreased or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aging process. However, that in the trimming sections of the beef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mold. In addition, hardness of mold-aging beef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aging process and finally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Amino acids such as GABA (gamma-aminobutyr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were produced by our mold strain, M. flavus during its growth on beef meat, and the mold conferred savory odors to the dry-aged be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