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r seasons(四季)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소문.생기통천론(素問.生氣通天論)"의 "인어기(因於氣)"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Due to pathogenic Gi(因於氣)" in "Somun(素問).Saenggitongcheonron(生氣通天論)")

  • 김선형;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297
    • /
    • 2009
  • It is difficult that we understand "Due to pathogenic Gi(因於氣)" in "Somun(素問) Saenggitongcheonron(生氣通天論)", because that is too many comments. We are to interpret Gi(氣) as Wind(風) or Anger(怒). However, the most reasonable explanation is to Yang-Gi weakness(陽氣虛). In other words, pathogenic Gi of four seasons should violate Yang-Gi(陽氣) and become a Yang-Gi weakness. Sayu(四維) can be interpreted as limbs[四肢], the last month of each of the four seasons[四季], four seasons[四時]. It is a logical view of the four seasons. This meaning is that it was already Yang-Gi weakness state by pathogenic-Gi of four seasons which violate Yang-Gi(陽氣), again the pathogenic Gi of four seasons violate Yang-Gi. As a result Yang-Gi will drain.

  • PDF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는 방법 (How to find a suitable color for you?)

  • 장대현;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7-618
    • /
    • 2011
  • 인간은 누구나 좋아하는 색이 자연적으로 혹은 인위적으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피부의 색, 머리카락의 색, 눈동자의 색과 같이 색의 기본을 이루는 톤에 대하여 알아본다. 다음으로 색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로 나누어 피부의 색, 머리카락의 색, 눈동자의 색과 본인이 좋아하는 것이나 성격에 따라서 나누어지는 사계절 색채이론을 설명한다. 그리고 각 계절별 컬러의 특성을 살펴 보도록 한다.

  • PDF

북한 혜산시 50년간 가뭄과 홍수변화 (A Study on the Flood and Drought During 50 year in Hyesan City of North Korea)

  • 김석주;이민부;김남신;김애분;주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6-223
    • /
    • 2010
  • 본 연구는 북한 혜산시의 1957년에서 2006년 사이의 강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Z지수를 지표로 가뭄과 홍수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50년 동안 혜산시 지역의 가뭄과 홍수 출현 빈도를 연도별 및 사계절별로 구분하여 소파형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혜산시의 연도별 및 사계절별 가뭄과 홍수의 발생빈도는 24% 이상으로서 가뭄과 홍수 재해가 빈번하였다. 다항식접합(Polynomial Fit)과 주기분석 결과, 가을철의 가뭄과 홍수는 수십년간(inter-decadal) 특징이 뚜렷하고 연도별 및 봄, 여름 및 겨울에는 수년간(inter-annual) 특징이 잘 나타난다. 최근에는 가을에 가뭄이 많고 연도별과 봄, 여름 및 겨울에는 홍수가 많았다.

  • PDF

조선시대 직물의 시기감정을 위한 꽃무늬 조형특성 연구 (A Study on Flower Patterns Found in the Fabrics of the Joseon Dynasty)

  • 조효숙
    • 복식
    • /
    • 제58권5호
    • /
    • pp.87-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representative flower patterns in the Joseon Dynasty and investigate their chronological transit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e. 16th century), lotus patterns were very popular. Often lotus patterns were twisted around by ivy-leaves or decorated with treasures pattern in the margin. In the mid Joseon Dynasty (i.e. from 17th to mid 18th century), however, lotus patterns evolved from the typical lotus and ivy pattern and diversified into four types. In the 19th century, lotus pattern almost disappeared from the textiles of everyday dresses and were only found in the textiles of formal dresses or in special cases as in the cover pages of Buddhist scriptures. Poeny patterns was rarely used in textiles of 16th century, presumably because of the huge popularity of the lotus pattern. However, suddenly in the 17th century, Poeny patterns appeared quite frequently. There were 3 types of Poeny patterns. Poeny patterns became more popular over the years and it finally became a primary motive in textiles patterns for 100 years star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ere two types of Poeny patterns : one was realistic and true to life even in sizes, the other was more symbolic. Textile patterns combining four kinds of flowers started to appear from the late Koryo Dynasty but Flower patterns representing four seasons with distinct shapes appeared only in the 17th century.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the late 18th century, Flower patterns representing four seasons no longer appears in textile patterns, presumably due to a new preference for lucky omen over natural motives.

자연의 주름 특성을 활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 (Development of men's jacket design applying nature's folding characteristics)

  • 김희정;이윤미;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787-800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riteria of folding techniqu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is will be realized by performing a case study on male fashion design and folding. It will propose diverse directions and data for male fashion design, by making men's jackets using a folding technique. The concept and terms of folding were clarified through examinat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four pieces were created with motifs of the four seasons. Among the types of pleats expressed in the works, composition pleats include double ruffles, gathers, and draperies, while processed ones include box pleats, knife pleats, and accordion pleats. This study expresses continuity, fluidity, scalability, and ambiguity through the use of such pleat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inuous use of regular and repetitive pleats, a possibility of rich pleats was confirmed because they varied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pleat and target material. Second, in liquid but irregular pleats, diverse moods were created by the pleat movement. The overlapping of repeated pleats expresses diverse spaces and shapes in a 3D extended silhouette. Third, in pleat classification, ambiguity was confirmed with the use of continuous accordion pleats in the printed gradation fabric. It is anticipated that mor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could be created using more extended techniques in future studies.

석조문화유산의 박리검출을 위한 수동적 적외선 열화상분석의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Passive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for Blistering Detec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 조영훈;이찬희;유지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7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유산의 박리를 비파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방위와 시간에 따른 수동적 적외선 열화상기법의 분석조건과 적용방법을 설정하였다. 이 결과, 수동적 열화상은 대기온도, 일사량 및 일조방향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각 시간대별로 서로 다른 온도분포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6~17시 사이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일사량과 일조방향은 암석의 표면온도를 불균질하게 만들었고, 박리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환경에 따라 열 이동 차이가 생겨 특정시간대를 제외하고 건전부와 박리부의 표면온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동적 열화상분석의 박리검출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북측면을 제외한 모든 방위에서 대기온도와 일사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9시와 10시에 박리검출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가을에 수행되어 사계절에 대한 영향을 모두 고려하지 못했고, 수동적 열화상분석을 통해 박리부의 정량적인 발생면적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사계절에 대한 수동적 열화상분석의 종합고찰과 능동적 열화상분석을 이용한 박리 정량화 모델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recognition of symbolism in Ancestral Memorial Rites Arrangement)

  • 이철영;박채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85-95
    • /
    • 2022
  • 본 연구는 전통사회와 현대를 이어주는 제례(祭禮)가 의례(儀禮)의 전승(傳乘)이라는 관점에서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의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유교적 생사관과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음양오행론, 우주구조의 이해와 사시(四時)의 변화로 나타난다. 제사상의 진설이 조상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징체계를 통해 산 자와 죽은 자가 시간과 공간적으로 소통하는 의례적 도구로 이해하였다. 또한 사계절과 하늘·땅·지하의 공간을 제수(祭需)의 선정과 배열을 통해 상징화하고 구체화하였다. 현대 제례진설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대상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제물이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제물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공간적 상징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례진설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과 상징체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례문화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