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tand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34초

살충제(Fenitrothion) 살포가 소나무림의 토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sticide (Fenitrothion) Application on Soil Organisms in Pine Stand)

  • 권태성;김경희;김철수;이종희;윤충원;홍용;김진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20-430
    • /
    • 2005
  • 피해가 급속히 확산중인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항공방제를 실시하는 소나무림이 증가하면서, 항공방제시 농약침투로 인한 토양생태계 교란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지 외 야외실험을 BACI 실험설계하에 서울 홍릉시험림의 소나무림에서 면적 $25m^2$인 3개의 방제구와 3개의 대조구를 설치하여 실시하였다. 항공방제 약종인 fenitrothion을 항공방제직후 낙엽에서 검출된 잔류량인 0.0335 kg a.i/ha를 지면에 살포하였다. 농약살포는 2002년 6월 4일, 6월 11일, 6월 29일 3회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살포일은 전년도 부산지역 항공방제일과 동일한 날짜로 선정하였다. 절족동물, 곰팡이, 세균, 방선균 등의 토양생물의 개체수 조사를 살포 전에 2회, 살포기간중에 2회, 마지막 살포후 3회 실시하였다. 살충제의 살포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족동물, 곰팡이, 세균, 방선균의 개체수 변화와 이들 토양생물군집의 구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아. 항공방제가 소나무림의 토양생물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음을 나타내었다.

Application of Finite Mixture to Characterise Degraded Gmelina arborea Roxb Plantation in Omo Forest Reserve, Nigeria

  • Ogana, Friday Nwabuez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51-456
    • /
    • 2018
  • The use of single component distribution to describe the irregular stand structure of degraded forest often lead to bias. Such biasness can be overcome by the application of finite mixture distrib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nite mixture distribution was used to characterise the irregular stand structure of the Gmelina arborea plantation in Omo forest reserve. Thirty plots, ten each from the three stands established in 1984, 1990 and 2005 were used. The data were pooled per stand and fitted. Four finite mixture distributions including normal mixture, lognormal mixture, gamma mixture and Weibull mixture were considered.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was used to fit the finite mixture distributions to the data. Model assessment was based on negative loglikelihood value ($-{\Lambda}{\Lambda}$),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xture distributions provide accurate and precise characterisation of the irregular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degraded Gmelina arborea stands. The $-{\Lambda}{\Lambda}$, AIC, BIC and RMSE values ranged from -715.233 to -348.375, 703.926 to 1433.588, 718.598 to 1451.334 and 3.003 to 7.492, respectively. Their performances were relatively the same. This approach can be used to describe other irregular forest stand structures, especially the multi-species forest.

Linear Programming에 의한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 - 잣나무임분(林分)의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중심으로 - (Forest Management Planning by Linear Programming - Timber Harvest Scheduling of a Korean Pine stand -)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7-435
    • /
    • 1991
  •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위한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LP)의 적용성(適用性)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삼림경영(森林經營)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 동안 보적수확량(保積收穫量)의 시간적(時間的), 공간적(空間的) 최적배분(最適配分)을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을 사용하였다. 수확표수치(收穫表數値)를 이용하여 수종별(樹種別)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유도했고 시뮬레이션 모형(模型)에 유도된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포함시켜 계획기간(計劃期間)동안 잣나무임분(林分)의 축적변동상황(蓄積變動狀況)을 추정(推定)하였다. 이것은 LP모형의 기초 data가 되며 고전적(古典的) 수확조절방법(收穫調節方法)(Paulsen-Hundeshagen 공식법(公式法))에 의해 계산된 분기별(分期別) 수확재적(收穫材積)의 상한치(上限値)등이 LP모형구성에 포함되었다. 2년(年)을 1분기(分期)로 하여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年)을 5분기(分期)로 나누었으며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LP모형에 의해 연습림내(演習林內) 잣나무 임분(林分)의 보조소반별(補助小班別) 분기별(分期別) 최적수확(最適收穫) 계획(計劃)을 수립(樹立)하였다.

  • PDF

Carbon and Nitrogen Distribution of Tree Components in Larix kaempferi Carriere and Quercus variabilis Blume Stands in Gyeongnam Province

  • Kim, Choonsi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139-14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rbon (C) and nitrogen (N) distribution within tree components (i.e., stem, branches, leaves, and roots) of the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Carriere) plantation and natural oriental cork oak (Quercus variabilis Blume) stands. Fifteen Japanese larch and 15 oriental cork oak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to compare the C and N stocks in the components of the trees from three different regions-Hadong-gun, Hamyang-gun and Sancheong-gun-in Gyeongnam Province, South Korea. Species-specific allometric equations were developed to estimate the C and N contents in the tree components based on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There were differences in mean C and N concentrations between the Japanese larch and the oriental cork oak. The mean C concentrations of the tree componentswere significantly higher in Japanese larch than in oriental cork oak; whereas, the N concentration in the stems was significantly lower in Japanese larch than in oriental cork oak. The allometric equations developed for C and N content were significant (p < 0.05)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76 to 0.99. The C and N stocks in the tree components do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the species such as Japanese larch plantations and oriental cork oak stand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 and N concentrations to estimate the C and N distribution according to tree components in different tree species.

일본(日本) 북부(北部)의 소화신산(昭和新山)의 분화후(噴火後)에 성립(成立)한 두 아카시아나무 임분(林分)의 토양중(土壤中) 질소동태(窒素動態) (Soil Nitrogen Dynamics in Two Black Locust Stands Established on Volcano Mt. Showa-Shinzan, Northern Japan)

  • 문현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419-427
    • /
    • 1999
  • 이 연구(硏究)는 일본(日本) 북부(北部)의 소화신산(昭和新山) 분화후(噴火後)에 성립(成立)한 장령림(壯齡林)과 유령림(幼齡林)의 두 아카시아 나무 임분(林分)에 있어서 토양중(土壤中)의 질소동태(窒素動態)와 식생회복(植生回復)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94년(年) 8월(月)부터 1996년(年) 7월(月)까지 2년간(年間)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과 유효태(有效態) 질소(窒素)는 두 임분(林分)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초기생장기(初期生長期)인 5월(月)에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낸 후(後) 점차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서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는 7월(月)에 뚜렷이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는 지온(地溫)의 증가(增加)로 인(因)해 매년(每年) 6월(月)~7월(月)에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함량(含量)과 질산화(窒酸化) 작용(作用)은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서 비교적(比較的)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의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는 8월(月)에 마이너스의 수치(數値)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 있어서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는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함량(含量)과,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은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와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함량(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잣나무 임분의 개체목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간벌효과 분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inning Effect Analysis Model (TEAM) Using Individual-Tree Distance-Independent Growth Model of Pinus koraiensis Stands)

  • 권순덕;김선영;정주상;김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42-7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잣나무 임분의 간벌효과 분석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모델은 간벌시업계획의 주요 인자로 간벌의 횟수와 시기, 강도 그리고 간벌방법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간벌시업계획에 따른 7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임분생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간벌시업 형태에 따른 개체목의 직경급별 본수, 수고, 재적과 임분의 평균흉고직경, 평균수고, ha당 본수 및 재적변화에 관한 생장을 예측할 수 있었다. 1개소의 잣나무 현실임분을 대상으로한 모델의 적용성 검토에 있어서, 간벌시나리오별 임분생장량을 비교한 결과, 간벌시업에 의한 임분밀도조절로 주벌시점의 재적량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벌량과 주벌량을 포함하는 총수확량은 무간벌의 경우보다 간벌시업을 한 경우에 ha당 약 $40{\sim}75m^3$의 증가효과를, 그리고 임분의 평균흉고직경에서는 5 cm이내, 평균 수고에서는 1 m이내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현실임분의 구성여건에 따라 간별의 실시 여부 및 간벌시업체계의 선택문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 활용가능 할 것이다.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산림조사(山林調査) 방법(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Forest Inventory Method Using Aerial Photographs)

  • 이천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0-16
    • /
    • 1983
  • 오스트리아 salzburg에서 약 40km 떨어진 schneegattern림(林)에서 실시(實施)한 이 조사(調査)는 적외선(赤外線) 흑백(黑白) 항공사진(航空寫眞)을 판독(判讀), 해석(解析)하여 임지(林地)를 제지(除地), 유령림(幼齡林), 너도밤나무림(林), 침엽수림(針葉樹林)으로 나누고 침엽수림(針葉樹林)은 임령별(林齡別)로 41~80년생(年生)과 81년생(年生) 이상(以上)으로 구분(區分)한 후 다시 이것을 수관밀도(樹冠密度) 60%를 기준(基準)으로 소밀(疎密)을 구분(區分)하였다. 여기서 무작위(無作爲)로 추출(抽出)한 표본점(標本點)을 현지(現地)에서 확인(確認)하고 relascope로 직경(直徑)을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침엽수림(針葉樹林)의 ha당(當) 평균축적(平均蓄積)은 $470{\pm}31.9m^3$이었다. 2) 침엽수림(針葉樹林) 40~80년생(年生)의 직경분포(直徑分布)가 이항분포(二項分布)인 반면 81년생(年生) 이상(以上) 임분(林分)은 정규분포(正規分布)이었다. 3) 5%의 표준오차내(標準誤差內)에서 $C_2$는 시화(尸化)하는 것이 27 plot의 현지(現地) 조사수(調査數)가 감소(減少)되었다. 4) 년평균(年平均) 생장량(生長量)은 $C_1$, $C_2$에 관계(關係)없이 ha당(當) $5.7m^3$으로 생장(生長)이 아주 느렸다.

  • PDF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粗孔極律)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 - 침엽수림(針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Coniferous Stands -)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14-323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粗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침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3개 조사항목에 대하여 상관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표층토양에서의 조대공극률(粗大孔隙率)(pF1.6), 경사도, 상층식생 울폐도, F층의 두께,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임목축적 등 6개 인자가 정(定)의 상관관계를, 점토함량비, 표층토양의 견밀도, A층, B층 토양견밀도 등 4개 인자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상층임분 지하고, 임목축적, B층 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등 5개 인자이었다. 침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상충식생 울폐도가 80%를 넘게 되었을 때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appearing Forest Tree Species Diversity in Tropical Moist Deciduous Forest and Its Implications: A Case Study in the Madhupur Tract of Central Bangladesh

  • Rahman, Mohammed Mahabubur;Rahman, Md. Motiur;Alam, Mahbub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161-170
    • /
    • 2010
  • A study was conducted for indentifying the floral biodiversity of woody species by calculating four diversity indices using data collected from 4 stands of different age groups and disturbance regimes in two areas of Madhupur tract. Results showed that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the old growth secondary coppice forest (>60 years) under moderate anthropogenic disturbances of Madhupur National Park area (delete (D=0.74, H'=3.36) followed by old growth secondary forest stands (>40 years) under moderate disturbances at Bhawal National Park area (D=0.65, H'=2.81). Plant species diversity of the young enrichment plantations (<20 years and <15 years) under high anthropogenic disturbances in both the areas are much low (D=0.54 and H'=2.16 and D=0.52 and H'=1.92 respectively), which indicate high anthropogenic disturbances coupled with introduction of invasive exotics that are rival for endemic species are detrimental for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of tropical moist deciduous forests of Madhupur tract in Banglad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