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ushroom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1초

Determination of Glucan Contents in the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 Bak, Won Chull;Park, Ji Heon;Park, Young Ae;Ka, Kang Hyeon
    • Myc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301-304
    • /
    • 2014
  • Shiitake mushrooms (Lentinula edodes) containing ${\beta}$-glucans may be beneficial for human health; they have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cancer, hypertension, and high cholesterol lev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ta}$-glucan content in different sections of the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ten shiitake mushroom cultivars. The measured ${\beta}$-glucan content ranged from $20.06{\pm}1.76%$ to $44.21{\pm}0.13%$ in the pileus sections, and from $29.74{\pm}1.40%$ to $56.47{\pm}4.72%$ in the stipe s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riance in ${\beta}$-glucan content dependent on the shiitake cultivar, and that the ${\beta}$-glucan content is higher in the stipe than in the pileus.

표고 신품종 '풍년고'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mino acid content of Lentinula edodes, a new variety of shiitake mushroom, in 'Poongnyunko')

  • 박영애;박원철;가강현;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7
    • /
    • 2017
  • 본 실험은 표고 톱밥재배에서 배지 부영양원 종류와 버섯발생 온도에 따라 버섯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배지는 톱밥과 부영양원(미강, 보리, 콩비지, 홍삼박)의 비율이 8:2에 칼슘 0.5% 첨가와 미첨가 등 8처리구로 하였다. 버섯의 발생온도는 저온($13{\sim}15^{\circ}C$), 중온($18{\sim}20^{\circ}C$), 고온($24{\sim}26^{\circ}C$)으로 처리하였다. 아미노산은 모든 처리구에 17종이 검출되었고 영양원 종류에 따라 성분차이들이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홍삼박 배지에서 209.7 mg/g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많이 검출된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었고 보리배지에 51.3 mg/g 이었다. 버섯발생 온도처리 조건에서 총아미노산 함량은 중온에서 38.2%, 저온에서 32.5%, 고온에서 29.3% 순으로 나타났고, 중온과 저온 조건에서 아미노산 함량 순위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표고의 맛과 기능성을 갖는 아미노산의 종류를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리기다소나무림의 버섯의 다양성,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 (Diversity, Production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Mushrooms in a Pitch Pine Forest)

  • 남궁정;문형태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2007
  • 2000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리기다소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영구방형구 내에 출현한 종은 총 32종류이었다. 버섯은 6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9월에 종다양성과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은 갈색털꾀꼬리버섯 이었으며, 10월에 젖버섯아재비버섯을 끝으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았다. 연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다. 버섯의 연간 생산량은 12.13kg $Dwha^{-1}yr^{-1}$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과 9월에 각각 3.95, 6.92kg $Dwha^{-1}$로 전체 생산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월별 생산량이 많은 종은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에는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으며, 최대 생산량을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으로 전체 생산량의 27.1%를 차지하였다. 버섯의 평균 영양염류 함량은 때, N, P, K, Ca 그리고 Mg가 각각$38.81{\pm}4.82,\;0.90{\pm}0.44,\;28.41{\pm}7.81,\;0.24{\pm}0.16,\;0.76{\pm}0.26mg\;g^{-1}$으로 Ca과 Mg을 제외하고는 주변의 낙엽이나 토양보다 훨씬 높은 값이었다. 버섯을 통해 연간 임상에 축적되는 영양염류의 양은 N, P, K, Ca그리고 Mg가 각각 463.41, 10.26, 345.21, 3.14, $8.99g\;ha^{-1}yr^{-1}$이었다.

Detection of RNA Mycoviruses in Wil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in Korea

  • Kim, Eunjin;Park, Mi-Jeong;Jang, Yeongseon;Ryoo, Rhim;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5-294
    • /
    • 2021
  • In general, mycoviruses remain latent and rarely cause visible symptoms in fungal hosts; however, some viral infections have demonstrated abnormal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commercial macrofungi, including Lentinula edodes. Compared to other cultivated mushrooms, L. edodes is more vulnerable to viral infections as it is still widely cultivated under near-natural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Korean wild strains of L. edodes were infected by RNA mycoviruses that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LeSV, LePV1, LeV-HKB, LeNSRV1, and LeNSRV2). Using specific primer sets that target the RNA-dependent RNA polymerase genes of each of the RNA mycovirus,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detect viral infection. Viral infection was detected in about 90% of the 112 wild strains that were collected in Korea between 1983 and 2020. Moreover, multiple infections with RNA mycoviruses were detected in strains that had normal fruiting bodies. This work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of RNA mycoviruses in Korea and the impact of multiple viral infections in a single strain of L. edodes.

한국(韓國)의 송이 발생(發生) 송림(松林)의 현황(現況)에 관한 조사(調査)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ine Forest Conditions Growing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 이태수;김영련;조재명;이지열;소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9
    • /
    • 1983
  • As Dr. Ogawa visited to Korea for joint research on Tricholoma matsutake, authors travelled 15 main producing districts of Tricholoma matsutake and had field survey on sample areas in these districts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3 1981. The object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ine forest and growing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so as to find out relevant treatment of pine forest where the Tricholoma matsutake were growing. As a results, pres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eather, topography, soils, pine forest, vegetations, pine mushrooms(Tricholoma matsutake), other fung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and the diseases of pine forest were investigated. Model figures of topography and forest type on surveyed area have been drawn up. Some countermeasures to improve pine forest conditions in the aspect of producing Tricholoma matsutake were suggested through the prediction on the transition of pine forest.

  • PDF

한국에서 Mattirolomyces terfezioides와 Tricholoma bakamatsutake의 보고 (First Record of Mattirolomyces terfezioides and Tricholoma bakamatsutake in Korea)

  • 가강현;전성민;유림;강정아;홍기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5-128
    • /
    • 2015
  • 상업적으로 중요한 균근성 버섯인 Mattirolomyces terfezioides와 Tricholoma bakamatsutake가 각각 한국의 아까시 나무와 신갈나무림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종은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해 동정되었으며, 두 종의 버섯에 대한 한글명도 각각 부여하였다.

표고 톱밥배지 영양원, 접종 및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ycelium Cultivation and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the Sawdust Media Nutrients and Inocula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s)

  • 정연석;김민준;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은 버섯의 생산량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을 변화시켜 생산성 및 품질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와 고체 두 가지 형태의 종균을 사용하였고, 톱밥배지의 영양원으로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다. 명배양 과정에서는 광조건을 청색광으로 변화시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품종으로는 산백향을 이용하였다. 옥수수가루를 이용한 결과 배양 21일까지의 균사생장률이 최대 2.7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지의 중량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종균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톱밥종균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자실체의 생산량이 1.2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청색광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1.1배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자실체의 무게와 갓 크기는 톱밥종균을 사용한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버섯의 무게 및 대두께는 청색광을 이용한 조건에서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를 통한 맛 분석 결과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을 때 짠맛이 증가하였고, 청색광을 사용하면 시큼한 맛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을 접종한 자작나무로부터 버섯의 생장 (Growth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가강현;전성민;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1-245
    • /
    • 2017
  •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은 살아있는 나무에서만 자라는 귀중한 약용버섯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아닌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2007년에 자작나무시루뻔버섯 톱밥종균을 자작나무에 접종하였으며, 그 후 균을 접종했던 자작나무에서의 버섯 생장을 9년간 조사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은 연간 1 cm 미만으로 생장하였고, 9년간 가장 크게 자란 버섯 개체의 경우에는 9 cm까지 생장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이 생존한 것과 생존하지 않은 것의 나무 생장(diameter at breast height, DBH)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인공재배는 성공적이었으며, 버섯 생산성을 고려할 때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을 접종할 기주는 가능한 한 큰 자작나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접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법 또한 필요하다.

Relationship between Water Content and Osmotic Potential of Lentinula edodes

  • Koo, Chang-Duck;Cho, Sun-Young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24-2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osmotic potentials in Lentinula edodes tissues are related to water contents and how they change while a mushroom matures. Water content and osmotic potential of L. edodes mushroom tissues from log cultivation and sawdust cultivation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s were analyzed. Osmotic potentials in the tissues were exponentially proportional to their moisture contents and there were strain differences in the potentials. Strain 290 has lower osmotic potential than strain 302, in the tissues at the same water content. As the mushrooms mature, tissue water content maintained ca 94% in head tissues and ca 90% in gills, bu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ca 90% to 82% in the stipe tissues. Osmotic potential changes were similar to the tissue water content changes as the mushrooms mature. While osmotic potentials maintained -0.25 to -0.45 MPa in head and gill tissues, the potentials greatly decreased from -0.65 to -1.33 MPa in stipe tissues. Our results show that osmotic potentials in L. edodes tissues are exponentially proportional to tissue water contents, that strains differ in osmotic potential related to water, and that stipe tissues can still have nutritional value when they m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