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easurement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35초

비균질한 해남 농경지의 탄소교환에 미치는 토지사용 및 피복변화의 영향에 대한 미기상학 자료의 활용에 관하여 (Using Tower Flux Data to Assess the Impact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on Carbon Exchange in Heterogeneous Haenam Cropland)

  • ;강민석;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0-31
    • /
    • 2013
  •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LULCC) due to human activities directly affects natural systems and contributes to changes in carbon exchange and climate through a range of feedbacks. How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affect carbon exchanges can be assessed using multiyear measurement data from micrometeorological flux tower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ssess the impact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on carbon exchange in a heterogeneous cropland area. The heterogeneous cropland area in Haenam, South Korea is also subjected to a land conversion due to rural development. Therefore, the impact of the change in land utilization in this area on carbon exchange should be assessed to monitor the cycle of energy, water, and carbon dioxide between this key agricultural ecosystem and the atmosphere. We are currently conducting the research based on 10 years flux measurement data from Haenam Koflux site and examining the LULCC patterns in the same temporal scale to evaluate whether the LULCC in the surrounding site and the resulting heterogeneity (or divers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bon exchange. Haenam cropland is located near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land cover types consisting of scattered rice paddies and various croplands (seasonally cultivated crops). The LULCC will b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and t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ULCC and flux footprint of $CO_2$ from tower flux measurement. We plan to calculate annual flux footprint climatology map from 2003 to 2012 from the 10 years flux observation database. Eventually,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quantify how the system's effective performance and reserve capacity contribute to moving the system towards more sustainable configuration. Broade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evolution of the Haenam agricultural ecosystem and its societal counterpart which are assumed to be self-organizing hierarchical open systems.

  • PDF

수고 및 흉고직경 측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ree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 김동현;김선재;성은지;김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72-81
    • /
    • 2021
  • 본 연구는 다양한 임목 정보를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를 개발하였다. 수고, 방위, 고도, 경사, 위치 좌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작센서를 통해 취득된 각도를 삼각법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흉고직경 및 거리는 Google AR Core에서 제공하는 A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응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조회, 출력하고 수목의 위치를 카카오 맵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침엽수림에서 잣나무 90본, 천연 혼효림에서 무작위로 90본을 선정하여 버텍스 및 윤척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흉고직경과 수고 모두 95%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45 cm, 천연 혼효림에서는 평균 1.0139 cm의 오차를 보였다. 수고는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14 cm, 천연 혼효림은 평균 1.3297 m의 오차를 보였다.

Allometry, Basal Area Growth, and Volume Equations for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Gangwon Province of Korea

  • Choi, Jung-Kee;You, Byung-Oh;Burkhart, Harold 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89-196
    • /
    • 2007
  • Allometry, basal area equations, and volume equations were developed with various tre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major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Korean natural hardwood forests. For allometry mode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height-DBH, crown width-DBH, height to the widest portion of the crown-total height, and height to base of crown-total height were investigate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relate annual basal area growth to tree variables of initial size (DBH, total height, crown width) and relative size (relative diameter, relative height) as well as competition measures (competition index, crown class, exposed crown area, percent exposed crown area, live crown ratio). For tree volume equations, the combined-variable and Schumacher models were fitted with DBH, total height and crown width for both species.

침엽수림 상부의 단일층 풍속 관측으로부터의 영면변위 추정에 관하여 (On Estimation of Zero Plane Displacement from Single-Level Wind Measurement above a Coniferous Forest)

  • 유재일;홍진규;권효정;임종환;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62
    • /
    • 2010
  • 영면변위(d)는 거친 식생군락에 의해 운동량이 모두 흡수되어 군락 내의 대수적 풍속 프로파일이 0이 되는 높이를 말한다. 군락의 표면 거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영면변위는 군락난류의 분석과 지표 스칼라 플럭스의 계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단보에서는 Monin-Obukhov 상사이론에 기반을 두고 단일층에서 관측된 평균수평풍속 자료를 사용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광릉침엽수림에서 d 값을 추정하였다. 관측지의 비균질성과 복잡성을 고려해서, 표면거칠기와 바람체계가 d에 미칠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자료를 매 $30^{\circ}$ 간격의 풍향별로 나누었다. 전반적으로 두 방법을 사용한 결과는 서로 비슷했는데, $d/h_c$ (여기서 $h_c$는 군락의 높이로서 약 ~23m)는 풍향에 따라 0.51~0.97의 범위를 보였다. 이러한 $d/h_c$의 값의 범위는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범위(0.64~0.94)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다소 높은 쪽에 분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의 하나로는 관측이 두 방법의 전제인 Monin-Obukhov 상사이론이 성립하지 않는 거칠기아층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관측높이가 거칠기 아층에 존재할 경우에는 단일층 풍속으로부터 영면변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Analysis of optim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rmal comfort in the forest: focusing on a program for the elderly at the National Forest Therapy Center

  • Tae-Gyu Khil;Ah-Young Jung;Kun-Woo Park;Yang-Soon Oh;Beom Lee;Dawou Joung;Hyelim Lee;Bum-Jin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663-67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cientifically activate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for the elderly. The predicted mean vote (PMV) and 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 (PPD), which are indices of thermal comfort in the thermal environment, and degree of canopy clos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study objective was to present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maintaining the best comfort for the elderly. Six deck road shelters, which are the most active locations in forest healing programs among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i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the conditions of 1 clo (clothing insulation value) and 1 met (metabolic rate) at an air temperature of 19 to 21 degrees in September on the measurement date, the PMV values ranged between -1.85 and -0.98 at all sites, and PPD values ranged between 25.60% and 68.68%.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1.3 clo and 1.6 met conditions, the PMV values ranged between -0.08 and 0.23 for all sites and PPD values ranged between 5.40 and 6.18. As shown above, the difference in thermal environment comfor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amount of metabolism and the amount of clothing could be confirmed.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PPD and canopy closure suggest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it was found that canopy closure was a factor affecting thermal comfort. Studies on effects of forest thermal environmental comfort and canopy closure on forest healing program areas should be conducted extensively according to seasonal condition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more effective forest healing programs.

입목재적(立木材積) 측정법(測定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용재수목(用材樹木)의 재적측정법(材積測定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ement of the standing-tree volume -Particularly concerning the method of measurement of the timber volume)

  • 이광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31
    • /
    • 1963
  • Recognizing shortcomings and unreasonable points of the usual methods of measurement of the standing-tree volume, author contrived measurement formula of standing-tree volume which is based on stem-curve equation, $y^2=2px$, resulted from the analysises and experiments on stem-curve by differentiation &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following is the formula. $V=1/2g_{1.2}$(h+1.2) V=volume of tree $g_{1.2}$ = sectional area at breast heigh h = height of tree (2) So plain is the form of this formula that this formula is more convenient than usual formulas in measuring. (3) The percentage error of this formula is negative and it is remarkably superior to usual formulas except Pressler's formula,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ree that is measured is, the more inaccurate become pressler's formula, and the percentage error of the breast-height form factor method is direct proportion to the grossness of the tree that is measured, but the higher the tree that is measured, the lower become percentage error of this formula in geometrical progression.

  • PDF

태국 Tak 플럭스 관측소의 실시간 자료 감시 및 모사 시스템 (Real Time Monitoring and Simulation System (RTMASS) for Tak Flux Measurement Site, Thailand)

  • Wonsik Kim;Hyungjun Kim;Joon Kim;Yasushi Agata;Shin Miyazaki;Taikan Oki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6-127
    • /
    • 2003
  • 태국 북서부의 Tak 지방에 KoFlux(Korean Flux Network) 연구의 일환으로서 플럭스 관측소(Tak flux measurement, TFM site)가 설립되었다. 이곳에서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에너지 플럭스를 관측하기 위해 와 공분산시스템(eddy covariance system)을 적용하였으며 관측된 자료는 실시간 자료 감시 및 모사 시스템(Real time monitoring and simulation system, RTMASS)을 이용하여 처리되어 전송된다. RTMASS는 KoFlux-DIS(Data information system)의 핵심 구조이고 원격지 시스템과 중앙 시스템으로 나누어지며 자료의 수집 및 전송. 자료의 저장 및 처리가 본 시스템의 주된 기능이다. 난류특성과 미기상학적인 분석 자료에 따르면, TM 관측소는 열대 낙엽수림에 대한 다양한 플럭스 및 에너지 수지를 관측하고 분석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Estimating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ree Height using LiDAR point cloud data

  • Jong-Su, Yim;Dong-Hyeon, Kim;Chi-Ung, Ko;Dong-Geun, Kim;Hyung-Ju,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99-110
    • /
    • 2023
  • 논문은 LiDAR 점군 데이터를 사용하여 흉고 직경과 수고를 예측하는 ForestLi 시스템을 제안한다. ForestLi 시스템이 LiDAR 점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여러 단계로 진행된다. 다운샘플링, 이상점 제거, 지표면 분할, 지표면 정규화, 수간 추출, 개체목 분할, 흉고 직경 측정, 수고 측정. LiDAR 점군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용 시스템 LiDAR360은 하측 식생과 개체목 분할 오류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해야 한다. ForestLi 시스템은 하측 식생에 해당하는 LiDAR 점군 데이터를 자동으로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ForestLi 시스템이 LiDAR360보다 전체 수행시간을 줄이고, 흉고 직경과 수고 예측의 정확성을 높였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된 ForestLi가 LiDAR360 시스템보다 흉고 직경과 수고 측정의 정확성과 전체 실행시간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천연림 간벌에 기인한 산림생물량 감소가 산림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n the Forest Temperature by Reduced Biomass Caused by Natural Forest Thinning)

  • 강래열;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12
    • /
    • 2018
  • 본 연구는 숲가꾸기가 시행된 부산대학교 제1학술림을 대상으로 간벌 전 후의 산림생물량 및 온도를 실측하여 천연림에서 간벌에 따른 산림생물량 감소와 산림 내부 온도변화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산림생물량은 간벌 전 후 동일 조사구에 흉고단면적, 수관단면적, 수관체적을 각각 동일한 도출식을 적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산림 온도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온도측정은 간벌 이전인 2016년 04월 20일~28일, 간벌 전후인 2016년 07월 26일~11월 04일, 간벌 이듬해인 2017년 04월 15일~05월 08일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온도데이터로거를 방형구 내 중앙에 위치한 수목의 지상 2.0m 높이에 북향으로 설치하여 동일기간동안 각 10분마다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설치하였다. 간벌이 산림 전역에 진행되어 산림 내 대조구 설정이 어려워 인근 도시에 위치한 동래구 지역별상세관측자료(AWS)를 대조구로 활용하였다. 산림생물량의 변화와 온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산림 내부 온도 변화는 한낮 시간대(PM12:00~15:00)에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산림생물량 중 수관체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간벌 직후(평균 $0.74^{\circ}C$)보다 간벌 후 1년이 경과한 시점(평균$1.91^{\circ}C$)에서 훨씬 높은 온도 상승을 보였다. 조사구별 수관체적 감소비율과 온도 상승정도를 비교한 결과, 수관체적 감소량이 15.4%로 가장 높았던 리기다소나무군락에서 간벌 직후와 1년 후 분석에서 각각 $1.06^{\circ}C$, $2.49^{\circ}C$로 가장 높은 온도 상승을 나타냈다. 수관체적 감소비율이 5.0%로 가장 적었던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에서 간벌 직후는 그 차이가 없었으며 1년 후 분석에서는 $0.92^{\circ}C$가 상승하였다. 천연림에서 간벌로 인한 산림생물량 감소는 산림내부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간벌 직후보다는 이듬해에 더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제거된 산림생물량에 의한 미기후 변화는 단기간에 회복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호흡의 측정과 국내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 이은혜;임종환;이재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4-276
    • /
    • 2010
  • 본 연구는 토양호흡 측정방법을 소개하고 국내에서 관측된 토양호흡 자료를 고찰하고, 토양호흡 관측 자료 비교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토양호흡측정 방법은 측정원리에 따라 알칼리흡습법, 밀폐상법, 밀폐상역학법, 통기법으로 분류된다. 국내 토양호흡연구를 종합분석한 결과, 국내의 생태계에 적용 된 토양 호흡 측정 방법은 밀폐상역학법(62%), 알칼리흡습법(17%), 통기법(13%), 밀폐상법(8%)이 이용되었고 이러한 방법에 사용된 기기로는 LI-6400-09, EGM-3, EGM-4, 자동토양호흡측정기 등이 있다. 또한, 국내 토양호흡은 대부분 산림 생태계에 국한되어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관측된 평균 토양호흡은 130~900mg $CO_2\;m^{-2}h^{-1}$ 범위였다. 그러나 국내 토양호흡 관측이 산발적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축적된 자료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토양호흡의 상호 비교 및 정량화를 위해 측정방법간의 비교 및 오차에 대한 검증된 연구가 없어 관측된 토양호흡값의 상호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반도 생태계의 탄소수지의 정확한 예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고 있다. 한반도 탄소순환 메커니즘의 이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생태계의 토양호흡 관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하며 토양호흡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다양한 기상 조건을 포함하는 토양호흡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더불어 토양호흡의 발생원 별 구분에 대한 국내의 연구결과는 대단히 미약한 수준으로 토양호흡의 메카니즘이해와 정확한 탄소수지이해를 위해 발생원 별 토양호흡량 정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