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loor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5초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56-164
    • /
    • 2008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ulti-purpos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partial cutting for stand regulation to examine agroforestry practice as well as other concurrent forest resour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partial cutting intensities (68.1%, 48.6%, and control) were performed in the unmanag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order to improve the growing condition, especially light condition, for introducing some commercial herbaceous plants on the forest floor to establish agroforestry and/or silvopastoral system. Dominated by Quercus varibilis Blume (50.5%) and Quercus dentata Thum. ex Murray (42.6%), eight tree species were composed of the study forest, including poles of Pinus desiflora Siebold & Zucc and sapling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The total of 87 (13 tree species, 12 shrub species, 58 herbaceous species, and 4 woody climbers) vascular plant species were observed in study site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s, while that of before partial cutting was 53 species (14 tree species, 8 shrubs species, 30 herbaceous species, and 1 woody climbers). The proportion of life form spectra in plot B was Mi (28.4%)-Na (23.0%)-Ge (17.5%)-Ch (10.8%)-He (9.5%)-MM (6.7%)-Th (4.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ife form spectra from before to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 and among partial cutting gradients in this study. Partial cutting and scratching for forage sow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light partial cutting (LPC) plot (500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heavy partial cutting (HPC) plot (310 stems/ha) and control plot (1,270 stems/ha).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s of Litterfall in Oak and Pine Forests at Mt. Worak National Park

  • Mun, Hyeong-Tae;Kim, Song-Ja;Shin, Chang-H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63-68
    • /
    • 2007
  • Litter production, nutrient contents of each component of litterfall and amount of nutrients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5 through April 2006 in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forests at Mt. Worak National Park. Total amount of litterfall during one year in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forests was 542.7, 459.2 and $306.9\;g\;m^{-2}\;yr^{-1}$, respectively. Of the total litterfall, leaf litter, branch and bark, reproductive organ and the others occupied 50.3%, 22.7%, 10.1 % and 16.9% in Q. mongolica forest, 81.9%, 7.2%, 3.1% and 7.9% in Q. variabilis forest, 57.4%, 12.8%, 5.6% and 24.1 % in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Nutrients concentrations in oak litterfall were higher than those in needle litter. N, P, K, Ca and Mg concentration in leaf litterfall were 13.8, 1.1, 7.2, 4.2 and 1.3 mg/g for Q. mongolica forest, 10.5, 0.7, 3.2, 3.7 and 1.6 mg/g for Q. variabilis forest, 5.3, 0.4, 1.2, 2.8 and 0.6mg/g for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The amount of annual input of N, P, K, Ca and Mg to the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43.36, 2.89, 21.38, 23.31 and $5.62\;kg\;ha^{-1}\;yr^{-1}$ for Q. mongolica forest, 32.28, 2.01, 10.23, 20.29 and $7.78\;kg\;ha^{-1}\;yr^{-1}$ for Q. variabilis forest, 15.80, 1.04, 3.99, 9.70 and $2.10\;kg\;ha^{-1}\;yr^{-1}$ for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Forest Floor Biomass, Litterfal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long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 Regimes in Tropics of Chhattisgarh, India

  • Oraon, P.R.;Singh, Lalji;Jhariya, Manoj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5호
    • /
    • pp.359-375
    • /
    • 2018
  • The long term ecological effects have been reported in natural forest ecosystem due to various anthropogenic disturbances, especially in tropics of the worl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sanctuary area of central India to assess the changes on litter biomass, litterfall pattern and soil attributes under different disturbance regimes. The study area includes three forest circles i.e., Bhoramdeo, Jamunpani and Salehwara each comprising three disturbances regimes viz., high, medium and low severity of biotic pressure. A noticeable variation and impact were recorded in different sites. The impact varies significantly from least disturbed sites to highly disturbed sites across the circle and among different disturbances level. The seasonal mean total forest floor biomass across the forest circles varied from 2.18 to $3.30t\;ha^{-1}$. It was found highest under lightly disturbed site and lowest under heavily disturbed site. Total litterfall varied from 5.11 to $7.06t\;ha^{-1}\;yr^{-1}$ across the forest circle. Lowest litterfall was recorded at heavily disturbed site while highest in lightly disturbed site. Annual turnover of litter varied from 69-73% and the turnover time ranged between 1.37-1.45 years. The turn over time was higher for heavily disturbed site and lower for lightly disturbed site. The heavily disturbed site of all the circle showed the sandy loam soil texture, whereas moderately and lightly disturbed site comprised of sandy loam, sandy clay loam and clay soil texture, respectively. The bulk density decreases from heavily disturbed site to lightly disturbed site and the pH of soils ranged from 5.57-6.89 across the circle. Across the circle the total soil nitrogen ranged from 0.12-0.21%, phosphorus from 10.03-24.00 kg and Potassium from $139.88-448.35kg\;ha^{-1}$, resp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nthropogenic disturbances regime significantly influences forest floors in terms of mass, composition and dynamics along with litterfall rate and soil properties.

노각나무의 분포(分布)와 생태(生態)(I)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Distribution and Communities Stewartia koreana (I) - Temple Huibang and Mt. Sogri -)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17
    • /
    • 1981
  • 본(本) 조사(調査)는 1978년(年) 9월(月)과 1980년(年) 10월(月)에 노각나무 자생지중(自生地中)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의 식생(植生)을 조사(調査)한 것으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실새풀, 조릿대,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이다. 2.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등이다. 3. 노각나무 자생지(自生地)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나무, 실새풀등이다. 4.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관목시하(灌木尸下) 임상식물(林床植物)은 조릿대, 실새풀이 73%를,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은 조릿대가 93%를 차지하고 있어 노각나무의 천연경신(天然更新)에 중요(重要)한 종(種)이다. 5.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에서 조릿대는 표고(標高) 700m 까지, 실새풀은 표고(標高) 800m 에서 우점종(優占種)을 이루었다.

  • PDF

남원(南原) 소재(所在) 소나무림(林)의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處理)가 송이 발생량(發生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n the Pine Mushroom Yield of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Pine Stands in Namwoon, Korea)

  • 박현;김세현;김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99-40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전라북도(全羅北道) 남원(南原) 소재(所在)의 송이 발생림(發生林)에서 각종(各種)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후(處理後) 10년간(年間) 조사(調査)한 송이 자실체(字實體) 발생량(發生量)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 분석(分析)하여 각(各) 처리(處理)가 송이 발생(發生)에 실질적(實質的)인 도움을 주는가 알아보고 송이 증산(增産)을 위(爲)하여 감안(勘案)하여야 할 인자(因子)에 대하여 고찰(考察)한 내용(內容)이다.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處理)는 식생정리(植生整理)와 임상조건조절(林床條件調節)이며 1983년(年) 초여름에 실시(實施)하였다. 각(各) 처리별(處理別) 송이 자실체(字實體) 생산량(生産量)은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시업전(施業前)인 1982년(年)의 각(各) 조사구별(調査區別) 송이 생산량(生産量)을 1로 기준(基準)하여 매년(每年) 자실체(字實體) 생산량(生産量)을 %로 환산(換算)하여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시업효과(施業效果)를 구분(區分)해 낼 수 있었다. 식생정리(植生整理)와 더불어 지피물(地被物)을 관리(管理)하는 것은 단기적(短期的)으로만 송이 생산량(生産量)에 영향(影響)을 미치므로 지속적(持續的)인 관리(管理)를 통해서만 송이산(山)의 생산성(生産性)을 유지(維持), 증진(增進)할 수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또한, 송이 산(山)의 생육조건(生育條件)도 중요(重要)하지만. 남원(南原)의 조사구(調査區)에서는 지표(地表)긁기가 송이 생산성(生産性) 향상(向上)에 가장 큰 영향(影響)올 나타내어 소나무 세근발달(細根發達)이 송이 생산성(生産性)에 더욱 큰 영향(影響)을 미침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本) 시험구(試驗區)에서는 낙엽제거(落葉除去)가 탁엽피복(落葉被覆)에 비(比)하여 오히려 송이 발생(發生)에 악영향(惡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질토양(砂質土壤)을 지닌 송이산(山)은 정적당(適當)한 낙엽(落葉)이 필요(必要)함을 알 수 있었다. 즉(卽), 토성(土性)을 고려(考慮)한 지피물(地被物) 관리(管理)가 필요(必要)하며, 지역별(地域別) 생산성(生産性) 증진기법(增進技法)은 각(各) 지역별(地域別)로 차별화(差別化)하여야 함을 재확인(再確認)할 수 있었다.

  • PDF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에 분포하는 임상선태류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Terricolous Bryophyte Community in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n Deongnyusan)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0
    • /
    • 2002
  • 덕유산에 분포하는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군락을 식물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등식물군락의 조성에 대응하여 조릿대-구상나무/아기호랑꼬리이끼-여우꼬리이끼군락을 식별하였다 이 군락은 지리산에 분포하는 조릿대-구상나무/비꼬리이끼-수저잎산주목이끼군락의 동위군락으로 해석되었으나 군락 사이에 임상선태류군락의 조성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사회학적으로 조릿대-구상나무/아기호랑꼬리이끼-여우꼬리이끼군락은 쇠물푸레-구상나무군집에 속하는 하나의 분층군락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가 지리산지와 덕유산에 분포하는 침엽수림을 아한대(=아고산대)의 식생으로 취급하였다. 그렇지만, 현 연구결과는 식물사회학적 입장에서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이 냉온대 낙엽수림대의 식생임을 명백히 나타내었다. 덕유산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의 종다양성은 지리산의 침광혼효림의 것과 대개 비슷한 수준이었다. 덕유산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 분류군은 19과, 25속, 38종으로 구성되었다.

산화에 의한 토양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Forest Fire on Change of Soil Properties)

  • 박관수;이승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95-100
    • /
    • 2000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의 산화지에 대한 토양조사를 통해 산화에 의한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산불은 1997년 4월에 소나무 우점립에서 발생하였으며, 산불로 인한 고사목들은 별채되지 않았다. 토양시료는 1998년 11월에 산불지와 비산불지에서 각각 0-5, 5-10, 그리고 10-20cm의 토양층위에서 채취한 후 토양의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 칼슘, 미그네슘, 산도, 가비중, 수분함량을 분석하였다. 산불로 인해 산화지의 유기층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반면, 비산불지의 유기층은 약 4cm 깊이로 발달되어 있었다. 유효인산이 5-10cm 토양 깊이에서 비산불지에서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토양내 유기물, 전 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 칼슘, 미그네슘, 양이온 치환용량, 산도, 가비중, 그리고 수분함량은 모든 토양 깊이에서 산불지와 비산불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불은 유기층의 소실이외에는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인한 식생과 유기층의 유실은 장기적으로 볼 때 임지생산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산불유형과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 (Comparison of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returned to Forest Floor according to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 김정섭;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유형과 산불의 피해로부터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을 비교하였다. 산불대조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 (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낙엽생산량은 각각 $7.74{\pm}2.56$, $1.17{\pm}0.67$, $2.97{\pm}0.44$, $2.92{\pm}0.42ton{\cdot}ha^{-1}{\cdot}yr^{-1}$로 나타났다. 낙엽 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4년간 평균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은 산불대조구에서 각각 $22.20{\pm}12.43$, $1.16{\pm}0.46$, $2.68{\pm}1.44$, $16.22{\pm}4.69$, $1.36{\pm}0.32kg{\cdot}ha^{-1}{\cdot}yr^{-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는 각각 $3.73{\pm}2.31$, $0.10{\pm}0.09$, $0.27{\pm}0.20$, $2.75{\pm}2.58$, $0.24{\pm}0.27kg{\cdot}ha^{-1}{\cdot}yr^{-1}$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5개의 영양염류를 합산하여 보면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의 함량은 산불대조구 > 수관화 발생 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 (G-2) >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순으로 나타났다.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임목, 임상, 토양의 탄소량 비교 (Carbon Stocks of Tree,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in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김춘식;백경원;최병길;하지석;배은지;이광수;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69-178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주요 조림 수종으로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되는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유기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삼나무와 편백이 서로 인접한 지역에 조성된 대표적 조림지 13개 지역을 선정하고, 임목, 임상, 토양 10 cm 깊이의 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의 평균 임분 연령은 삼나무 45년, 편백 43년이었으며, 임분밀도는 삼나무가 989본 ha-1으로 편백 1,223본 ha-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평균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는 삼나무가 27.4 cm와 20.4 m, 편백은 23.9 cm와 17.9 m로 삼나무가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분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흉고단면적과 유의적인 선형회귀 관계(삼나무: r2 = 0.82; 편백: r2 = 0.92; P < 0.05)가 있었으나, 임분밀도 및 지위지수와는 회귀식에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지상부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삼나무 95.5 Mg C ha-1, 편백 117.7 Mg C ha-1로 편백 임분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나(P < 0.05), 임상 및 토양층의 유기 탄소 농도 및 탄소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된 두 수종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편백 임분이 삼나무 임분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상이나 토양 탄소량은 수종의 영향이 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