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isturbance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8초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현존식생 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 오승환;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30-542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을 위하여 총 119개 조사구에서 수집한 식생 정보를 바탕으로 TWINSPAN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현존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 배열 상태를 파악, 기술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신갈나무-철쭉형, 신갈나무-조록싸리형, 층층나무-산뽕나무형, 신갈나무-까치박달형, 비목나무-찔레꽃형, 졸참나무-산초나무형, 졸참나무-조릿대형 등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고 대개 위도, 해발고도, 성립 기간, 시업 이력, 주변 임분 특성, 교란 정도 등에 따른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림과 주변 잠재자연식생(신갈나무림와 졸참나무림)의 종구성적 유사성을 Jaccard 계수에 의해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갈나무림과는 평균 0.21, 졸참나무림과는 평균 0.32로 나타나 아직 전반적으로 종구성이 이질적인 경향이었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naturally inhabited by Dolbae trees(Pyrus pyrifolia) on Mt. Kaya

  • Ahn, Young-Hee;Chung, Kyu-Hw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1호
    • /
    • pp.1149-1156
    • /
    • 2002
  •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lbae trees, a valuable genetic resource for native pyrus fruit trees, were investigated at four naturally inhabited areas on Mount Kaya, Gyeongsangnam-Do. Most Dolbae trees were found on the southwest side of an old hiking path to a mountain valley at altitudes of 610∼670 m. The surrounding flora consisted of 46 families, 69 genera, 75 species, and 10 varieties. The natural habitat of the Dolbae trees was basically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with a predominance of Quercus serrata and ligneous plants(xylophytes) from the Fagaceae and Betulaceae families. The habitat was also found to be in a second transition resulting from forest disturbance and exhibited a degree of diversity of 2.901-5.065, based on Shannon-Weiner's index. Examination of the Dolbae trees found in Mount Kaya revealed diameter breast heights(DBHs) ranging from 10 to 60 cm, including six old and large Dolbae trees with a DBH of 50∼60 cm, which will be particularly valuable as a genetic resource.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y areas are a secondary forest in a typical mid-temperate zone resulting from forest damage about 10 years earlier.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assemblage in the urban landscape, Korea

  • Jung, Jong-Kook;Kim, Seung-Tae;Lee, Sue-Yeon;Park, Chang-Kyu;Lee, Eun-Heui;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2호
    • /
    • pp.79-89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clarifying the effects of land-use types on a species of ground beetle's richness, abundance, and composition; the study focused on urban landscapes. We also selected the potential bioindicators classifying land-use types; eleven sites were selected from an urban landscape in Korea. Overall, land-use types in urban landscapes did not appear to cause significant de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the abundance of total ground beetle assemblage. According to habitat preferences, several land-use types and distances from the fores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hile the open-habitat species were not affected by these variables. Land-use types were classified into two major groups, forest and non-forest areas, based on ground beetle assemblage; several indicators, such as $Dolichus$ $halensis$ $halensis$ and subfamily Carabinae species, were of particular consideration. In conclusion, environmental change by anthropogenic disturbance can cause different effects on ground beetle assemblages, and forest specialists can be negatively affected.

내설악 전나무림 천연갱신과 임분특성 - 전나무 자연림에서 천연갱신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중심으로 - (The Natural Regener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Fir Stand in Nae Sorak -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the Natural Regeneration in a Natural Fir Forest -)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전나무의 천연갱신 형태를 임분의 특성과 연관하여 내설악 길골 총 30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임학적 의미의 천연갱신은 주로 예전에 인공적 교란이 있었던 곳에서 나타나며 자연림의 특성이 강할수록 오히려 의미를 상실한다. 이것은 인공적 교란이 천연갱신에 더 나은 환경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자연림에서 갱신단계는 인공림처럼 명확할 수 없고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상태이며 세대교체는 임분구조 변화의 일부라는 표현이 적합하다. 특히 patch dynamic이 임분구조를 결정하고 주 구성수종이 음수인 전나무 자연림에서는 인공림에서 사용되는 천연갱신 개념은 원천적으로 의미를 상실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치유 효과 측정 지표로써 과산화지질의 활용가능성 분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alondialdehyde(MDA) as Indicator of Forest Therapy Effectiveness)

  • 정미애;박수진;이정희;박찬우;권진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30-536
    • /
    • 2013
  • 본 연구는 산림환경이 인체 내 과산화지질 농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산림치유 효과 측정을 위한 생리적 지표로써 과산화지질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9명을 대상으로 도시지역인 제주도의 제주시청 앞 인도와 산림지역인 삼나무 숲길에서 심리적 지표인 기분상태척도와 생리적 지표인 과산화지질수준 변화를 걷기 전후에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에 비해 산림지역에서 기분상태척도의 총기분장애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져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과산화지질 수준은 도시지역에서 2.9에서 3.5 수준(5점 수준, 만점)으로 유의하게 높아졌고, 산림지역에서는 2.4에서 1.9 수준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위와 같은 결과는 과산화지질이 단기간 환경노출에 의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적합한 지표라는 것을 보여준다. 산림과 도시에서 대기환경 및 심리적 안정도가 달라 과산화지질 수준의 변화 경향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환경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생리적 지표로써 과산화지질의 적합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생리적 지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Effects of Fertilization on Physiological Parameters in America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during Ozone Stress and Recovery Phase

  • Han, Sim-Hee;Kim, Du-Hyun;Lee, Jae-Cheon;Kim, Pan-G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3호
    • /
    • pp.149-158
    • /
    • 2009
  • American sycamore seedlings were grown in chambers with two different ozone concentrations ($O_3$-free air and air with additional $O_3$) for 45 days. Both the control and the $O_3$ chambers included non-fertilized and fertilized plants. After 18 days of $O_3$ fumigation, seedlings were placed in a clean chamber for 27 days. Seedlings under ozone fumiga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igment contents and photosynthetic activity,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Fertilization enhanced physiological damage such as the inhibi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the increase of lipid peroxidation under ozone fumigation. During the recovery phase, the physiological damage level of seedlings increased with ozone fumigation. In addition, physiological damage was observed in the fertilized seedling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ies of $O_3$-treated seedlings increased up to 33.8% and 16.3% in the fertilized plants. The increase of SOD activity was higher in the fertilized plants than in the non-fertilized plants. Negative effects of ozone treatment were observed in the biomass of the leaves and the total dry weight of the fertilized sycamore seedlings. The $O_3$-treated seedlings decreased in stem, root and total dry weight, and the loss of bioma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ertilized plants. In conclusion, physiological disturbance under normal nutrient conditions has an effect on growth response. In contrast, in conditions of energy shortage, although stress represents a physiological inhibition, it does not seem to affect the growth response.

Nest Box Preference by Secondary Cavity-Nesting Birds in Forested Environments

  • Choi, Chang-Yong;Nam, Hyun-Young;Lee, Eun-Jae;Chung, Ok-Sik;Park, Yong-Su;Lee, Jong-Koo;Hyun, Jee-Yun;Lee, Woo-Sh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49-56
    • /
    • 2007
  • We placed and monitored 2,137 nest boxes to determine how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and the box placement influenced nest box selection by secondary cavity-nesting birds and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nest boxes for management of cavity-nesting birds in forested environments. A total of 566 pairs of seven bird species used the nest boxes from 1997 to 2006, 562 of which were secondary cavity-nesters. Sympatric tits such as varied tits (Parus varius), great tits (P. major), and marsh tits (P. palustris) were common breeding birds in nest boxes, and showed clear preferences for 4.0 cm, 3.5 cm and 3.0 cm nest holes, respectively. Tree sparrows (Passer montanus) and Eurasian nuthatches (Sitta europaea) preferred 4 cm and 3.5 cm holes, respectively. We did not detect selection for the directional orientation for the entrance hole, but the birds appeared to avoid nest boxes that faced steep or gentle upward slopes and those less than 1.8 m from the ground. These results are probably related to avoidance of disturbance and predation. We suggest that diverse species can be supported by the placement of nest boxes with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and that specific species can be targeted by selecting the hole sizes preferred by those species. To attract secondary cavity-nesters, managers should avoid placing nest boxes close to the ground and facing hill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areful selection and placement of nest boxes is needed to avoid biases in research using nest boxes.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07-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공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생천이, 종다양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전남지역의 8곳에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식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락으로 단순화되었다. 군락I은 다른 군락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상당히 낮았는데 이는 교목층에 우점한 편백의 수관이 울폐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 제거로 하층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군락 II~IV는 하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서로 경쟁하여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식생발달 초기라서 종다양성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 군락 V는 휴양림으로서 이용강도가 높아 식생구조가 단순하였다. 또한, 임상에 유입되는 광합성유효광과 출현종수 종다양성지수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은 과거 개벌 이후 묘목심기, 솎아베기, 풀베기 등의 산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편백림의 산림시업에 의한 교란빈도와 함께 식생천이프로세스 회전시간에 따라 군락별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천연림에 비해 편백림은 단순한 식생구조를 보였다. 인공림은 생물다양성이 낮고 생태계 서비스가 취약하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림으로 전환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써 생태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정성관;오정학;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156
    • /
    • 2005
  • 파편화와 같은 인위적 교란은 산림생태계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의 양적인 분포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은 산림생태계를 관리하는 기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의 건전성 평가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관지수와 GIS 기법을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산림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공간정보는 환경부에서 발행한 토지피복분류도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경관지수 상호간 정보의 중복을 배제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6개의 지수(LPI, PD, ED, MSI, CPLAND, IJI)를 선정하였다.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경관의 구조적 패턴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본류에 분포하는 유역들에서 파편화 정도가 다른 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낙동상주 유역과 낙동밀양 유역은 산림의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유역에 대해서는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산림복원 등의 생태적 관리를 위해 현장검증 및 영향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규모 교란현상 후 형성된 대형갈조류 감태(Ecklonia cava) 개체군의 계절적 변동 및 회복 양상 (Recovery Pattern and Seasonal Dynamics of Kelp Species, Ecklonia cava Population Formed Following the Large-scale Disturbance)

  • 김상일;강윤희;김태훈;박상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3호
    • /
    • pp.103-111
    • /
    • 2016
  • 대규모 교란현상 이후 형성된 대형갈조류 감태 개체군의 계절적 변동과 회복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감태의 형태학적 특성, 가입, 사망률, 밀도와 생물량을 2013년 6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감태의 전체 길이, 가장 긴 측엽의 길이와 개체당 무게는 뚜렷한 계절적 경향성을 보였다. 줄기부의 길이는 겨울부터 봄까지 증가하였으나,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태의 형태적 변화가 주로 엽상부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태의 성장은 수온이 $15{\sim}18^{\circ}C$인 겨울부터 봄까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20^{\circ}C$ 이상의 수온에서는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은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봄부터 여름에 걸쳐 매우 낮았다. 그러나 2015년 4월 생육밀도의 감소로 인해 감태의 피도가 매우 낮아진 시점에 대량의 가입이 발생하였으며, 이것은 감태의 가입이 계절적 요인 보다는 공간과 차광효과 같은 물리적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어린 개체는 부착기질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태풍 '볼라벤'에 의한 교란 이후 34개월이 되는 2015년 6월에 이르러 개체군의 구조가 교란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대규모 교란현상 이후 감태 개체군이 교란 이전의 개체군 구조로 회복되는 데에는 3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해중림을 구성하는 대형갈조류의 관리, 복원 및 보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귀중한 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