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nsic entomolog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The Influence of Skinning a Carcass on Insect Succession and Decomposition

  • Yoon, Joo-Hyuk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4호
    • /
    • pp.204-211
    • /
    • 2022
  • Forensic entomology is a field of study that includes the succession of insects attracted to and found on cadavers. One of its main focusses is estimating post-mortem interval (PMI) based on the growth stage of insects found in and around human cadavers. In many countries, the diversity of insect occurrence is studied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 cadaver may be exposed to or the effects of different clothes.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and differences in insect succession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skinned and intact water deer carcasses. Five orders, 15 families, and 21 species of insects were identified, most of which were Dipteran and Coleopteran. The skinned carcass decomposed more rapidly than the intact carcass, which was linked to differences in insect succession. The difference in the decomposition rate and insect success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ditions of the carcas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imating the PMI of the carcass and setting the forensic entom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ensically Important Blow Flies Chrysomya pinguis, C. villeneuvi, and Lucilia porphyrina (Diptera: Calliphoridae) in a Case of Human Remains in Thailand

  • Monum, Tawatchai;Sukontason, Kabkaew L.;Sribanditmongkol, Pongruk;Sukontason, Kom;Samerjai, Chutharat;Limsopatham, Kwankamol;Suwannayod, Suttida;Klong-klaew, Tunwadee;Wannasan, Ancha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71-76
    • /
    • 2017
  •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Chrysomya pinguis (Walker) and Lucilia porphyrina (Walker) (Diptera: Calliphoridae) as forensically important blow fly species from human cadavers in Thailand, in addition to Chrysomya villeneuvi (Patton) already known in Thailand. In 2016, a fully decomposed body of an unknown adult male was discovered in a high mountainous forest during winter in Chiang Mai province. The remains were infested heavily with thousands of blow fly larvae feeding simultaneously on them.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dults reared from the larvae, and molecular analysis based on sequencing of 1,247 bp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CO1) of the larvae and puparia, confirmed the above mentioned 3 species. The approving forensic fly evidence by molecular approach wa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Thailand. Moreover,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O1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latedness of the species, thereby affirming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As species of entomofauna varies among cases in different geographic and climatic circumstances, C. pinguis and L. porphyrina were added to the list of Thai forensic entomology caseworks, including colonizers of human remains in open, high mountainous areas during winter.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hese 3 species, for which no developmental data are currently available.

고라니 사체 부패 진행에 따른 시식성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Diversity on Necrophagous Insect of the Water Deer Carcass Decaying)

  • 윤주혁;최미정;박종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39-248
    • /
    • 2022
  • 법곤충학은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을 통하여 현장재구성을 목표로 하는 학문으로, 국내연구는 주로 돼지와 닭 등의 사체를 이용하여 연구되고 있다. 이에 기존에 연구된 돼지와 비교하여 털의 밀도와 길이의 조건이 다른 고라니의 사체를 활용하여 시식성 곤충상을 알아보고 특이점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라니 사체는 전남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에서 분양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21년 5월 19일부터 2021년 7월 2일까지 약 6주간 사체의 부패진행단계를 관찰하고 각 단계별로 사체에 접근하여 활동하는 곤충을 위주로 채집하였다. 총 4목 21과 51종의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금파리, 연두금파리, 큰검정뺨금파리, 큰검정파리, 검정송장벌레, 꼬마검정송장벌레 등이 가장 많이 채집되어 시식성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사체가 완전히 부패한 후 기타 곤충의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단계에서도 수시렁이, 거저리등의 곤충이 고라니 사체의 털과 가죽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채집되어 파리목 외에 딱정벌레목의 곤충들이 모질을 보유한 사체의 부패에 관하여 법곤충학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돼지 사체에 출현하는 곤충상의 천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hropod Succession in Exposed Pig Carrion)

  • 정재봉;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400-1409
    • /
    • 2008
  • 본 연구는 집돼지 사체주위에서 채집되는 곤충의 천이패턴을 이용해서 사체의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법의학적 증거모델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사체의 주변에서 총 7목28과 48종의 곤충이 채집되었는데, 계절에 따라 많이 나타나는 곤충이 변하여 3월, 5월 및 10월에는 검정파리과가, 7월에는 검정파리과와 반날개과가 같은 비율로, 9월에는 반날개과가 많이 관찰되었다. 검정파리과 곤충은 모든 실험을 통해서 사체에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곤충이며 또한, 부패초기의 지표곤충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부패후기의 지표곤충은 3월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기간 중에는 반날개과, 3월에는 집파리과였는데, 3월에는 낮은 온도로 인해서 사체 부패 기간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므로 사체 주위에 모여든 집파리과의 개체수도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사체의 사후경과시간을 유추하기 위해서는 사체의 부패 정도나 사체 주변에 나타나는 곤충 뿐 아니라, 조사 지역의 기후 조건도 고려해야 할것으로 생각되었다.

사체의 유기장소별 부패진행에 따른 발생 파리류 비교 (Dipteran Comparison on Carcasses by Decomposition at Different Abandoned Site)

  • 임채석;조태호;이동운;추영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1-205
    • /
    • 2012
  •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곤충은 차이가 있다. 본 결과는 사체의 유기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절족동물의 종류를 법의학적으로 활용하고자 유기 가능성이 높은 여러 장소에서 수행한 일련의 연구 중 부패단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었던 몇몇 장소에서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였던 파리류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한 파리류는 유기장소(야산, 들판, 하천, 온실, 옥상)와 유기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및 사체의 매장 유무에 따라 부패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체의 부패는 여름에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겨울철 온실에서 유기한 사체는 다른 장소에 비하여 빨리 진행되었다. 그리고 매장한 사체에 비하여 노출되었던 사체의 부패가 빨리 진행되었다. 모든 유기장소에서 노출처리된 사체의 부패초기 단계인 신선기(fresh stage)에 발생한 파리류는 구리금파리(Phaenicia sericata)와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Lucilia sp., 큰검정빰금파리(Chrysomyia pinguis), 검정빰금파리(C. megacephala) 등 검정파리과(Calliphoridae)로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2일 이내에 성충이 사체를 찾아 들었다. 반면 매장처리에서는 신선기에 사체를 찾아드는 파리가 없었다. 쉬파리과(Sarcophagidae) 파리들은 유기 장소와 시기에 관계없이 사체에 유인되었으나 매장처리에 비하여 노출처리에 빨리 유인되었다. 또한 쉬파리과 파리는 온실에 유기한 사체에 더 빨리 유인되었으며 발생하는 시간도 짧았다. 온실에서 봄과 여름에는 신선기(fresh)에서 부패활성기(active decay) 사이에 유인되었으나 가을에는 신선기에서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 사이에 유인되었고, 겨울에는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와 유지기(remains) 사이에 유인되어 계절에 따른 부패단계에서도 발생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다. 큰검정파리와 두꼬리검정파리, 털검정파리는 봄과 겨울에 유기한 사체에 발생하는 우점종으로 fresh~active decay 단계에 주로 발생하여 활동시기가 다른 종과는 차이를 보였다. 매장된 사체에서는 검정파리과 유충보다는 쉬파리과 유충들이 먼저 출현하였다.

돼지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상과 사체의 부패 패턴에 대한 연구 (Arthropod Succession and Decomposition Patterns of Pig Carrions Varying with the Exposed Extent of the Carrions)

  • 정재봉;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68-1175
    • /
    • 2011
  • 본 연구는 유기된 돼지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와 부패 패턴을 이용해서 사체의 사후경과시간(Post Mortem Interval, PMI)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산 낙동강 주변의 초지에서 완전노출사체, 감은사체, 덮은사체 및 그늘진사체 각각 1구씩을 2010년 8월에 설치하여 총 7목 15과 20종의 곤충들이 관찰되었고 가장 먼저 접근한 곤충은 검정뺨금파리였다. 검정뺨금파리는 모든 사체에서 전 기간에 걸쳐 출현했으며, 꼭지파리과의 1 종, 왕반날개 및 딱정벌레과의 1종은 부패(III)~백골화(V)단계에 출현하여, 위 4종은 사체의 부패단계를 시사하는 지표곤충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부패속도는 완전노출사체(7일) > 덮은사체(10일) > 그늘진사체(13일) > 감은사체(15일)의 순으로 빨랐는데, 이는 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의 접근성 및 큰 비에 의한 사체손실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PMI 추정 시 사체의 노출 정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닭과 소의 사체에 유인되는 진드기류 (Acari Attracted to Carrion of Chicken and Cattle)

  • 임채석;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6-21
    • /
    • 2005
  • 2002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경남 진주시 경상대학교 인근의 야산, 초지, 하천변, 온실, 건물옥상, 논 및 채소밭에서 닭과 소의 사체를 매장하거나 노출 설치하여 유인되는 진드기류를 채집하였으며 동정 한 결과 다음과 같이 7종을 확인하였다. Suborder Ixodida 참진드기 아목 Family Ixodidae 참진드기 과 1.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작은소참진드기 Suborder Mesostigmata 중기문 아목 Family Machrochelidae 큰집게좀진드기 과 2. Macrocheies muscaedolnesticae(Scopoli, 1772) 파리큰집게좀진드기 3. Holostaspella ornata(Berlese, 1904) 무늬파리응애(국명 신칭) Family Ascidae 떠돌이응애 과 4. Protogamasellus micus(Athias-Henriot, 1961) 미카응애(국명 신칭) 5. Lasioseius sugawarai Ehara,1964 화살응애 6. Proctolaelaps sp. Suboder Prostigamta 전기문 아목 Family Erythraeidae 7. Abrolophus sp.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파리큰집게좀진드기(31.8%)와 미카응애 (28.2%)이었고, Holostaspella ornata (Berlese 1904)와 Protogamasellus micus(Athias-Henriot 1961)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