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ign body inges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수술적 처치가 필요했던 식도이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Surgical Treatment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y (10 cases report))

  • 황의두;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17-1120
    • /
    • 1997
  • 충남대학교병원에서 1980년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경험한 식도이물 10례를 수술 치료하였다. 나이는 25 세에서 71세로, 평균 나이는 45.3세였고 남녀의 비는 6:4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연하곤란, 발열, 이물감, 경부 동통이였다. 이물질은 생선뼈 3례였고, 거품 약포장지가 2례였고, 맥주병 마개,욕조 물마개, 깨진 사발 조각, 닭고기, 콩이 각각 1례였다. 진단은 수용성 식도 조영제와 식도 내시경을 이용하였다. 10례중 2례에서는 과거에 가성소다 섭취로 인해 식도 협착이 있었다. 1례에서는 정신과적 문제가 있었다. 식도이물은 모두 수술적 처치로 제거하였다 5례에서는 경부식도절게술을 시행하였고 1례는 우측 개흉술 을, 1례는 개복하여 위를 통해 위관을 역류성으로 통과 제거하였으며, 2례는 경부농양이 있어 절개후 배농하 였다. 3례는 수술 후 누출이 있었으나 수술치료없이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었으며,1례는 일시적인 애성이 있 었다. 1례는 외상성 기흉이 발생하여 폐쇄적 홉관 삽관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사망자는 없었다.

  • PDF

외측경부 종물로 나타난 어류골편이물 1례 (A Case of Fish Bone Foreign Body as a Lateral Neck Mass)

  • 주형로;고원혁;최동준;김일우;박일석;김범규;김용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2-77
    • /
    • 2007
  • The case report of migrating ingested fish bone presenting as an unresolving inflamed neck mass is rare. The diagnosis must be suspected in a patient with an unresolving inflamed cutaneous lesion, especially one with a punctum, the tenderness of the lesion elicited on swallowing and the presence of a palpable subcutaneous neck mass. In such a patient, a history of recent foreign body ingestion must be actively sought. An accurate early diagnosis of this easily treatable condition is desirable because it could avert unnecessary delays, inconveniences, anxiety, costs, and surgery.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lateral neck mass resulting from the migration of a fish bone which was successfully removed by surgical exploration and made a repor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PDF

위 절개술 접근과 긴 겸자를 이용한 식도 내 이물 제거 5례 (Gastrotomy Approach Retrie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using Long Forceps Technique in Five Dogs)

  • 윤헌영;강명곤;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28-631
    • /
    • 2009
  • 이물 섭취 병력을 보이는 다섯 마리 개가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병원과 한강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무기력, 식욕 감퇴, 구토 증상을 보였으며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심장 앞쪽 또는 뒤쪽 흉부 식도에 이물이 걸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도의 조영 촬영에서 큰 이물에 의한 식도 팽창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흉강 내로의 조영제 누수는 관찰 되지 않았다. 위 절개술을 통한 식도 내 이물 제거를 긴 겸자를 이용하여 실시 하였다. 다섯 마리 모두에서 식도 내 이물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10일 또는 2년에 정기 검진이 마무리 되었으며 수술과 관련한 구토, 연하 곤란, 식욕 저하, 과다 유연과 같은 합병 증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Gastric Pseudotumoral Lesion Caused by a Fish Bone Mimicking a Gastric Submucosal Tumor

  • Kim, Se Won;Kim, Sang Woon;Song, Sun Ky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3호
    • /
    • pp.204-206
    • /
    • 2014
  • Gastric complications following unintentional foreign body ingestion are extremely rare.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59-year-old healthy woman who presented with nonspecific abdominal pain and an apparent gastric submucosal tumor that was incidentally detected by gastrofiberscopy. The patient underwent laparoscopic surgery, which revealed an intact gastric wall with no tumor invasion, deformity, or evidence of a gastric submucosal lesion. However, an impacted fish bone was found.

식도천공 및 종격동염을 초래한 식도이물 1례 (A Case of Esophageal Perforation and Mediastinitis complicated after Foreign Body Ingestion)

  • 김무명;나기상;김광현;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5-9
    • /
    • 1981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그 합병증으로 식도천공과 이에 따른 종격동염을 일으키는 예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이러한 종격동염은 극히 위험한 합병증으로서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예도 적지 않다. 저자들은 최근 식도이물에 의한 식도천공으로 종격동염이 병발한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69세 여자로 음식물에 섞인 유리조각을 오연한 후 심한 연하곤란 및 연하통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당시 하경부에 팽창과 심한 피하기종을 볼 수 있었다. 식도천공을 의심하여 식도경검사를 시행한 결과 이물은 발견하지 못했으나 경부 식도 우측벽에 약 4cm가량의 식도 종천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량의 음식물 찌꺼기를 볼 수 있었다.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 후 금식과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나 입원 제 3일에 흉곽통이 있었으며 흥부 X선상상부 종격동 음영의 확장을 볼 수 있었다. 입원 제 4일에는 호흡곤란이 있어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피하기종도 감소되었다. 입원 제15일에 시행한 식도경검사에서 경부 식도 우측벽의 천공부위에서 다량의 농이 매출되어 우측하경부의 전면에 배농관을 삽입하였다. 술후농의 양은 감소되었으나 약 15일간 농의 배출은 계속되었고 전신상태가 호전되었으나 환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입원 제38일에 퇴원하였다. 그 후 항생제를 투여하며 통원가료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 PDF

A case of intra-abdominal abscess caused by unconsciously ingestion of fish bone in elderly patient

  • Kim, Bo Ra;Kim, Hong Jun;Hahm, Jong Ryeal;Ha, Chang Yoon;Jung, Woon Tae;Lee, Ok Jae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 /
    • 제33권3호
    • /
    • pp.415-421
    • /
    • 2018
  • Cases showing complications such as esophageal injury, deep neck infection, and mediastinitis caused by accidental ingestion of fish bone are common. But ingestion of fish bone rarely causes perfo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or an intra-abdominal abscess. We report herein a case of a 78-year-old man with a periumbilical mesenteric abscess caused by fish bone which was ingested unconsciously. The fish bone was found in the terminal ileum and it was removed by colonoscopy. The patient improved and he was discharged after systemic antibiotic therapy. Occasionally, when patients swallow fish bone without a foreign body sensation, clinicians should suspect perforation caused by fish bone in case of an intra-abdominal abscess of unknown cause.

13년간 체류하였던 종격동 이물 (A Case of Retained Foreign Body in the Mediastinum for 13 Years)

  • 이양선;지중민;김정도;조영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3.3-3
    • /
    • 1978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근자에 와서는 유소아에서 식도이물의 대부분은 주화이물이 차지하고 있다. 주화이물은 식도경하에 대부분의 경우 용이하게 제거되나 때로는 여의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본교실에서는 13년간이나 50환 주화 일매가 기관분지의 상부에서 기관과 식도 사이에 개재하면서도 위험한 증상을 초래하지 않고 경과하다가, 본교실에 내방한 16세 소아에서 전신마취하에 관혈적으로 제거란 일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을 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도이물 1례 (A Case of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

  • 김석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3-8
    • /
    • 1981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며 많은 증례 및 통계학적고찰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는 양잿물을 삼킨적이 있는 57세 여자에서 담낭관을 실로 묶어서 담즙을 함유하고 있는 개(狗)의 쓸개(膽囊)를 씹지 않고 삼키다가 식도의 제이생리협착부와 제삼생리협착부사이에 개재된 흥미있는 식도이물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oreign Body Removal in Children Using Foley Catheter or Magnet Tube from Gastrointestinal Tract

  • Choe, Jae Young;Choe, Byung-H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2호
    • /
    • pp.132-141
    • /
    • 2019
  • Foreign body (FB) ingestion of children is a common pediatric emergency requiring medical attention. Pediatric emergency physicians and gastroenterologists often encounter nervous and distressed situations, because of children presenting with this condition in the common clinical practice. Whe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iming and indications for intervention, physicians should consider multiple patient- and FB-related factors. The utilization of a flexible endoscopy is considered safe and effective to use in these cases, with a high success rate, for the effective extraction of FBs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child. Additionally, a Foley catheter and a magnet-attached Levin tube have been used for decades in the case of FB removal. Although their us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times, these instruments continue to be used for several indications. Using a Foley catheter for this purpose does not require special training an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sedation of the patient or fluoroscopy, which serve as advantages of utilizing this method for foreign object retrieval. An ingested magnet or iron-containing FB can be retrieved using a magnet-attached tube, and can be effective to retrieve an object from any section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that can be reached. Simple and inexpensive devices such as Foley catheters and magnetattached tubes can be used in emergencies such as with the esophageal impaction of disk batteries if endoscopy cannot be performed immediately (e.g., in rural areas and/or in patients presenting at midnight in a facility, especially in those without access to endoscopes or emergency services, or in any situation that warrants urgent removal of a foreign object).

A Case Series of Ingested Open Safety Pin Removal Using a Proposed Endoscopic Removal Technique Algorithm

  • Demiroren, Ka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5호
    • /
    • pp.441-446
    • /
    • 2019
  • Purpose: Safety pin ingestion is common in some regions of the world and may lead to severe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ingested safety pins using an accompanying algorithm,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iteratur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ingested safety pins during a 4-year period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Median age of patients was 9.5 months (interquartile range, 6.3-14 months), and 70% were girls. On endoscopic examination, safety pins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25%), duodenal bulb (20%), upper esophagus (15%), middle esophagus (10%), and second part of the duodenum (10%) but were not observed in 20% of the cases. Safety pins were removed using endoscopy in 15 cases (75%). In four cases (20%), no safety pin was observed on endoscopic examination. In one case (5%) involving a 6-month-old infant, the safety pin could not be removed although it was observed using endoscopy. No surgical intervention was needed for any patient. No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or deaths developed, except for erosions, due to the foreign body removal procedure. Conclusion: Safety pins are easily removed endoscopically. The best option is to remove the safety pin using endoscopy while it is still in the esophagus and stomach. For this reason, endoscopic procedures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in children who have ingested safety p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