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ign academic journal article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성취정서의 국내외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Achievement Emotion)

  • 박서연;윤미선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35-58
    • /
    • 2017
  • 성취정서란 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로, 성취활동이나 성취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정서이다. 교육심리 분야에서 학생들의 동기와 정서에 대한 측면으로 연구의 관심이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성취정서 관련 연구들을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분석하고 구조화하여 성취정서 관련 연구의 흐름과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학업상황에 적합한 성취정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추출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으로, 국내 47편, 국외 58편, 총 105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기준은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나누었고, 연구시기는 기간을 통제하지 않고 분석하였으며, 연구내용에는 연구변인과 성취상황을 포함하였고, 연구방법에는 연구설계, 연구유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대상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국내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크게 성취정서에 대한 척도개발 연구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연구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성취정서를 측정하는 대표적 척도인 AEQ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국내 성취정서 연구에 적합한 척도개발 연구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의 경우 동기, 특히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업적 정서조절과 관련된 연구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성취정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ross-tabulation Analysis Indonesian Social Research in the COVID-19 Pandemic

  • Yusnaini;Nengyanti;Mery, Yanti;Anang Dwi Santos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1호
    • /
    • pp.131-15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vity of Indonesian social scienti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a particular concentration on their contributions to COVID-19 prevention and management. By categorizing social science research according to themes such as authors' gender, authors' institution of origin, forms of collaboration, and journal 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and factors that influence research output. Using information from the Scopus database, 1,071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in total.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llaborations with foreign researchers considerably improve productivity and publication quality, with Malaysian and Australian institutions serving as the most active partners. Nevertheless, there are gender disparities, as female authors write and are cited less frequently than male authors. The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mong Indonesian authors and implementing affirmative action policies to support and empower female researc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by providing policymakers, funding agencies, and academic institutions with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a more inclusive and influential research environment in Indonesia.

노인시설 내 공간영역의 통합과 분리측면에서 본 환경적 프라이버시 (The Environmental Privacy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f Spatial Area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89-9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rivacy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f spatial area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rough investigating required environmental privacy at each hierarchical space, the contextual situation and counterplan for the privacy. For the study, a content analysis for 35 foreign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August of 2013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hierarchical spaces had somewhat integrated characteristics as being required various types of privacy beyond the original features of each space. Especially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were needed the privacy similar to in private or semi-private areas. Second, the contextual situation for the privacy was mainly from undesirable access and psychological pressure of other residents, staff and etc. to the residents' personal space, stuff, and behaviors. The other was from no space (no sitting) or no equipments for privacy. Third, the counterplan for privacy was categorized as improvement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making defensible space or keeping physical distance of the elderly. It is suggested that welfare of the aged act in Korea about the room capacity for the elderly facili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for the privacy in their individual rooms and the privacy in semi-public and public area must be considered to make the behavior scope of the elderly extended.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현황과 과제 (Review and Prospects for Research on Family Resilience)

  • 박혜란;전귀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59-108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research methodology and findings of various researches on family resilience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13 years. A total of 93 publications related to family resilience between 1999 and June of 2012 were analyzed; 72 journal articles and 21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had not bee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has been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related researches since 1999, with a significant increase since the mid-2000s as various nontraditional families emerged and the perception of family problems began to change. (2) With regards to the methodology,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mpirical, using quantitative methods in bot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ost measurement scales employed were based on inventories developed by foreign researchers. (3) The research subjects encompass a wide range of individuals and groups from both vulnerable families and familie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Additionally, some researches focused on special interest areas including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and scale development. Although research on family resilience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needs to be more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theory grounded studies on different families and individual types to better understand family resilience in depth. In addition, specific measurement scales reflecting the unique Korean family culture should be developed. Other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family resilience are discussed.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 Focused on Research Papers between 2004 and 2013)

  • 최이랑
    • 기록학연구
    • /
    • 제43호
    • /
    • pp.147-177
    • /
    • 2015
  •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분석한 내용이다. 총 5종의 학술지에서 수집한 논문은 479편이며 키워드와 저자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고, 분석 도구는 KrKwic, Ucinet, NetDraw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전자기록이었으며,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키워드를 제외하고서는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학술 논문에 가장 많이 참여한 기관은 명지대, 한국외대, 중앙대, 부산대였고, 전체 기관 중 약 41%의 기관들이 대학 및 대학원이었다. 특히 명지대와 중앙대가 국내 기록관리학의 커뮤니티에서 가장 핵심 기관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Strategic Globalization Performance of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YANG, Hoe-Chang;CHU, Wujin;HWANG, Hee-Joong;YOUN, Myoung-Kil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59-6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other journals as well a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istribution science research by confirming the globalization performance of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JDS), the main journal of KODIS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863 papers published in JDS from 2011 to 2021 searched by scienceON were divided into 4 periods and analyzed under the headings of submission system, standardity, collaboration, and degree of achievement of publication goals. SPSS 24.0 and R 4.1.1 package were used to perform the publication frequency analysis, crosstab-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In addition, trend analysis with weight applied to each word was perform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English-written papers, which is the indicator of a journal's starndard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ratio of overseas authors, which is the indicator of collaboration,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It was confirmed through keyword trend analysis by period and LDA topic modeling results - which were weighted to confirm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journal's publication goal - that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journal has been in agreement with monthly research topic proposed by JDS. Conclusion: By examining the five criteria for globaliz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JDS's efforts for globalization are achieving significant results and providing effective directions for other academic journals. However, in order for JDS to become a top academic journal,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ystem for collaborative research by domestic and foreign authors, as well as to provide a clear definition for the monthly research topics and classification of sub-topics.

한국 근대 자수문화 연구 (A Study of Korean Culture of Embroidery Art in Modern Times)

  • 권혜진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1-13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times to 1945 which was the year of independence from Japan. An objective basis is presented by the analysis of articles and illustrations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s of the corresponding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which connected traditional times with modern Korean culture in order to investigate its identity. Due to Korea's modern embroidery art being started i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there are some limits in it because of it being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embroidery art and Japanese embroidery design. However,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expanded from the private space to public space such as schools, open lectures and exhibitions. It has also accepted diverse foreign embroidery forms, which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accepted as art. The embroidery craft as commerce and art has given women the chance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and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Modern Korean embroidery was art for the modern woman who had been educated in academic art, as well as a liberal art for wealthy housewives. It was the founda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for poor rural women. It can be concluded that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has been accepted and developed by women in modern times.

코로나19 연구논문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최근 학술출판 동향 -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Recent Academic Publishing Trends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of COVID-19 Articles: Focused on Medicine and Life Science)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32
    • /
    • 2021
  •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에 출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연구논문 데이터를 WoS로부터 수집하여 주제, 기관, 연구지원처별 분포를 파악하는 등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학술정보의 생산과 유통 활성화에 있어 중요 변수인 학술지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 코로나19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는 국제 학술지에 의학 분야 연구논문을 많이 발표하였고, 생물학, 다학제 분야 연구논문의 출판도 활발하였다. 이들 연구자는 해외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뿐만 아니라 국내 영문 학술지에도 연구논문을 다수 출판하였다. 분석된 연구논문의 94%가 오픈액세스였고, 출판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골드 오픈액세스도 전체의 약 70%에 달하였다. 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정형외과 연구논문을 PubMed로부터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심사소요일은 약 24일이었다.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의 분석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학술 출판 생태계의 협력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학술 출판 생태계 구성 주체의 협력이 계속 유지된다면 학술지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향상과 심사의 효율성 증진 등 학술출판계의 장기과제가 해결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의 효과성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Web-Based Inquiry Learning Effectiveness in Science Education: A Review of Publications in Selected Journals from 2000 to 2014)

  • 이정민;박현경;정연화;노지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65-57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에서 진행된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 효과성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 논문은 국내 외의 과학교과, 교육공학 관련 저명 저널 15개 학술지에 게재된 웹 기반 탐구학습 효과성 연구로 국내 16편, 국외 27편으로 총 43편이다. 논문 목록을 추출하기 위하여 '웹 기반 탐구학습', '탐구학습', 'WBI', 'Web-based inquiry learning', 'WISE' 등의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였으며 과학 분야와 관련된 연구들 중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양적연구와 혼합연구로 진행한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외 모두 2000년대 초반에는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련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국내의 경우에는 특정대상에 집중된 연구는 없었지만, 국외의 경우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둘째, 많은 연구에서 웹 기반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여 여러 종속변인들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연구와 개발연구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에서 과학교과에서 웹 기반 탐구학습은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탐구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메타분석 결과, 중간정도의 효과로 보고되었다. 셋째, 국내 외 웹 기반 탐구학습에 관련한 연구들은 학습 환경 설계 시, 상이한 학습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국내 연구의 경우 웹 기반 탐구학습을 위해 웹사이트를 새로 설계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경우가 많았지만, 국외에서는 다양한 테크놀로지 환경(WISE, SCY 등)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언하였다.

기사 삭제 청구권 신설의 타당성 검토 잊힐 권리를 중심으로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the Right To Delete News Articles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Proposed Revision of The Press Arbitration Act)

  • 문소영;김민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151-182
    • /
    • 2016
  • 디지털 시대에 개인의 프라이버시 및 인격권 보호를 위해 잊힐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은 유럽에서 촉발된 잊힐 권리에 대한 논의가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링크 삭제 청구권이라는 법적 권리로 구체화된 반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잊힐 권리 관련 논의가 언론 기사로 인한 개인의 인격권 침해 전반에 대한 피해 구제 차원으로 확대되면서 기사 삭제 청구권을 포함하는 법적 권리로 변용돼 논의되는 상황에 주목했다. 이에 본 논문은 잊힐 권리의 개념 및 그 보호법익을 해외 사례를 통해 파악한 후, 국내의 표현의 자유 규제 법률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추진되고 있는 기사 삭제 청구권 신설의 타당성을 검토했다. 한국은 헌법 21조 4항, 정보통신망법, 형법상의 명예훼손죄와 모욕죄, 민사상 명예훼손 손해배상 규정, 언론중재법, 공직선거법,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대법원 판례 등으로 인격권과 명예훼손을 구제하는 법망이 해외에 비해 꽉 짜여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기에 추가해 언론중재법에 기사 삭제 청구권을 신설하는 것은, 링크 삭제 청구권을 인정하지만 언론 기사 자체를 삭제하지는 않는 세계적 추세와 결을 달리할 뿐 아니라, 상충하는 법익들을 비교형량할 때 표현의 자유를 심대하게 침해할 위험이 크다고 주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