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Korean Culture of Embroidery Art in Modern Times

한국 근대 자수문화 연구

  • Kwon, Hea J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Received : 2013.03.18
  • Accepted : 2013.11.1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times to 1945 which was the year of independence from Japan. An objective basis is presented by the analysis of articles and illustrations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s of the corresponding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which connected traditional times with modern Korean culture in order to investigate its identity. Due to Korea's modern embroidery art being started i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there are some limits in it because of it being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embroidery art and Japanese embroidery design. However,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expanded from the private space to public space such as schools, open lectures and exhibitions. It has also accepted diverse foreign embroidery forms, which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accepted as art. The embroidery craft as commerce and art has given women the chance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and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Modern Korean embroidery was art for the modern woman who had been educated in academic art, as well as a liberal art for wealthy housewives. It was the founda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for poor rural women. It can be concluded that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has been accepted and developed by women in modern times.

Keywords

References

  1. 김철효 (2004), 근대기 한국자수미술개념의 변천, 한국근대미술사학, 12.
  2. 임소영 (2010), 한국 근대 섬유공예 연구-자수미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주현 (2009), 여성 공예와 한국 근대 자수, 한국여성학, 25(3).
  4. 아시아여성학센터 편 (2011), 여성의 눈으로 보는 근대기의 여성자수,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아시아여성과 공예 II.
  5. 자료검색일 2011. 10. 3, http://www.newslibrary.naver.com
  6. 홍인숙 (2006), 계몽기 여성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8.
  7. 조선교육령 (1911), 일본칙령 제229호 제15조.
  8. 김철효 (2004), 근대기 한국자수미술개념의 변천, 한국근대미술사학, 12. p. 103.
  9. "조선여자기예학원" (1938. 1. 4), 동아일보, p. 2.
  10. 이덕주 (1990), 한국교회 처음여성들, 서울: 기독교문사, p. 173.
  11. "장선희 여사의 조선여자기예원" (1932), 신동아, 7월호, pp. 98-100.
  12. "조선기예학원 자수 등 무료교수" (1935. 4. 12), 동아일보, p. 3.
  13. "상명여자기예학원" (1938. 1. 4), 동아일보, p. 3.
  14. "난지 두 달밖에 안되는 상명고등기예원" (1938. 1. 4), 동아일보, p. 10.
  15. "발전되는 여미교 작품은 미국에" (1926. 10. 26), 동아일보, p. 5.
  16. "여자미술학교 성적품전람회" (1927. 7. 21), 동아일보, p. 3.
  17. "조선여자기예원 신설될 직업부 기한 십오일로" (1933. 4. 29), 동아일보, p. 2.
  18. 일년에 한번밖에 없는 종합대강습회 폐물이용하기에는 가장 조흔기회 강사는 사게에 권위자" (1938. 10. 10), 동아일보, p. 3.
  19. "제2회 가정기예종합강습회" (1937.10. 3), 동아일보, p. 3.
  20. 임소영 (2010), 한국 근대 섬유공예 연구-자수미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21.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편 (2000), 한국의 자수 어제와 오늘, 서울: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p. 119.
  22.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편 (2000), 한국의 자수 어제와 오늘, 서울: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p. 120.
  23.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규방문화, 서울: 현암사, p. 40.
  24. 임소영 (2010), 한국 근대 섬유공예 연구-자수미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3.
  25. "조선수예보급회" (1926. 6. 9), 동아일보, p. 3.
  26. "집단제작의 공작" (1939. 2 17), 동아일보, p. 4.
  27. "집단제작의 결정 "공작"자수를 완성 삼년간 졸업반 마다 계속 제작" (1939. 2. 17.), 동아일보, p. 4.
  28. 최공호 (1996), 한국현대 공예사의 이해, 서울: 재원, p. 61.
  29. "하기 수예강습회" (1932. 7. 24), 동아일보, p. 4.
  30. "수예강습 성황으로 종료" (1928. 8. 7), 동아일보, p. 3.
  31. "불란서자수법 우신사 주최로 강습회 계최" (1924. 10. 7), 동아일보, p. 4.
  32. "로서아자수는 어떠한 것인가" (1929. 5. 17), 동아일보, p. 3.
  33. "배우기 쉬운 노국 자수강습" (1931. 4. 26), 동아일보, p. 5.
  34. "동물수" (1931. 4. 26), 동아일보, p. 5.
  35. 이경희 (1929), 러시아자수에 대하야, 조선강단, 1(1), pp. 46-48.
  36. "고령자수강습회" (1934. 12. 26), 동아일보, p. 3.
  37. "재봉강습 광경" (1927. 5. 21), 동아일보, p. 3.
  38. "재봉틀로 네 시간 동안에 수놓은 것" (1927. 5. 21), 동아일보, p. 3.
  39. "새로난 털실자수 매일 세시간만하면 이원 오십 전벌어" (1923. 10. 14), 동아일보, p. 3.
  40. 김수진 (2009), 신여성, 근대의 과잉, 서울: p. 88.
  41. "조선녀자실업사 경성녀자미술학교졸업생발기로" (1927. 2. 19), 동아일보, p. 3.
  42. "조선여자직업사설립 녀자직업긔능을 가르처 자활할길을 확장한다고" (1928. 1. 15), 동아일보, p. 3.
  43. "부인수예사 학생모집"(1928. 6. 9), 동아일보, p. 3.
  44. "파주자수강습수업" (1933. 5. 3), 동아일보, p. 3.
  45. "순창자수전람회 성황리에 종료" (1939. 10. 3), 동아일보, p. 3.
  46. 임소영 (2010), 한국 근대 섬유공예 연구-자수미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1.
  47. "본사개성지국후원 동양자수전람" (1938. 4. 14), 동아일보, p. 7.
  48. "소화윤봉숙 자수개인전람회" (1939. 5. 17), 동아일보, p. 4.
  49. 최공호 (1996), 한국현대 공예사의 이해, 서울: 재원, p. 70.
  50. 김철효 (2004), 근대기 한국자수미술개념의 변천, 한국근대미술사학, 12. p. 122.
  51. "쓰이는데 만흔 가정자수법(1)" (1931. 10. 30), 동아일보, p. 4.
  52. "조선자수, 여자미교 성적전 출품중" (1927. 7. 6), 동아일보, p. 3.
  53. "자수본뵈" (1932. 7. 25), 동아일보, p.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