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irst Ladies' Fashion Style from a Perspectiv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 Centering around Jacqueline Kennedy and Michelle Obama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퍼스트레이디 패션 스타일 비교연구 - 재클린 케네디와 미셸 오바마를 중심으로 -

  • Lee, Misu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이미숙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9.0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Jacqueline Kennedy and Michelle Obama's fashion style from a perspectiv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was first,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Next, we explored the types of role performance of the first lad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ir fashion as an aid to their roles through the precedents of the research concerning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trend of formalism and anti-formalism. Jacqueline Kennedy made her public appearances wearing a formal dress in order to express the first lady's authoritarian figure of restrained elegance. The fashion of the first lady aspired to formalism. Meanwhile, Michelle Obama followed more of a free style by eschewing the typical formality of the first lady. She created diverse styles utilizing a variety of items, which were not interrupted by form or by using heterogeneous items. Second, there is a trend of elitism and populism. While Jacqueline Kennedy preferred only haute couture designers' costume in order to show the prestige and dignity of the upper class, Michelle Obama patronized unknown designers' clothing or mid-level casual brand goods that the public favors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public through her fashion. Third, while modernism regards totality or unity to be important, postmodernism puts an emphasis on the eclecticism by pursuing complexity and diversity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an indigenous genre. In case of Jacqueline Kennedy, this tendency featured monotone clothing color, which presented a unified full set dress that excluded decoration. Michelle Obama, in contrast, mixed and matched formal dresses and a casual cardigan or felicitously mixed luxury brand or low to middle priced brand goods.

Keywords

References

  1.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p. 23-24.
  2. 고윤정, 김민자 (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 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 60(2), p. 96.
  3. "오바마 부부, 美연예지 선정 '2009 베스트 드레서'에 뽑혀", 자료검색일 2012. 9. 5, http://economy. hankooki.com/lpage/worldecono/200908/e2009080613105869880.htm.
  4.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p. 24-25.
  5.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 14.
  6.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 24.
  7. 장성은, 정혜정 (2005), 패션리더로서의 재클린 케네디의 의상 연구, 복식, 55(6), pp. 97-108
  8. 정혜정 (2007), 퍼스트레이디 시절 재클린 케네디의 의상 연구, 한복문화, 10(1), pp. 27-42
  9. 김해진, 정혜정 (2011), 2000년대 이후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의 패션스타일, 한국디자인학회지, 24(4), pp. 155-170
  10. 이영재 (2011), 현대 퍼스트레이디 룩의 형성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pp. 467-479
  11. 한지은, 정성혜 (2011), 미셸 오바마의 패션 색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1), pp. 89-102
  12. 정선주 (2012), 미셸 오바마의 헤어스타일 연구, 패션비즈니스, 16(4), pp. 88-99.
  13. 고윤정, 김민자 (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 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 60(2), p. 83.
  14. 윤민희 (2003), 문화의 키워드, 디자인, 서울: 예경, p. 22
  15.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 213
  16. 문신애 (2003),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4.
  17. 허다슬 (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16.
  18. 손정인 (2010), 브랜드 마크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변증법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
  19. 이숙경 (1995), 현대 디자인의 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20. 허다슬 (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6.
  21. 신승환 (2003),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서울: 살림, pp. 7-8.
  22. 박명희 (1999),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패션비즈니스, 3(1), p. 150.
  23. 강정현, 박명희 (2010), 21세기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이미지, 복식, 60(7), p. 132.
  24. 김미경 (2002), 벽화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4.
  25.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pp. 103-118
  26.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p. 369-392.
  27. 박명희 (1999),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패션비즈니스, 3(1), pp. 147-158.
  28. 이정후, 양숙희 (1999),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불확정성, 복식, 45, pp. 179-199.
  29. 조정미 (2003), 포스트모더니즘이 20세기 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문화연구, 11(6), pp.925-940.
  30. 고윤정, 김민자 (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 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 60(2), pp. 81-98.
  31. 우보경, 김영삼 (2011), 1990년대 이후 한국 연극의 무대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에 대한 연구, 복식, 61(1), pp. 109-123.
  32. 박재영, 윤영민 (2008), 한국의 영부인, 미디어, 젠더 & 문화, 10, pp. 75-78.
  33. O'Connor, K. Nye, B., & Van Assendelft, L. (1996), Wives in the White House: The political influence of first ladies,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26(3), pp. 835-853.
  34.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 37.
  35. Craghwell-Varda, K. (1999). Looking for Jackie, New York: Hearst Books, p. 7.
  36. "올 최고 퍼스트레이디 '베스트 드레서' 누구?", 자료검색일 2010. 8. 5,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0&no=414252.
  37.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 224.
  38.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p. 232-233.
  39. 김혜영, 김유연 (2005), 모더니즘을 통해 구현된 패션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1), p. 54.
  40. 고윤정, 김민자 (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 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 60(2), p. 93.
  41. Loiewski, O. (1995), A thousand days of magic, New York: Rizzoli, p. 98.
  42.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 35.
  43. Swimmer, S. (2009a),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New York: Black Dog& Leventhal Publishers, Inc. p. 115.
  44. "미셸 '패션 브랜드'되다", 자료검색일 2012. 9. 10,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0908170193.
  45. Tomer, M. (2009). The Face of Fashion Democracy, New York: Center Street. p. 128.
  46. Swimmer, S. (2009b),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최유나 역 (2009), 서울: 장서가, p. 57.
  47. "Michelle Obama's Style: Michelle Obama's 2009 Style Diaryich", 자료검색일 2012. 9. 5, http://www.instyle.com/instyle/package/general/photos/0,,20253745_20253744_20673916,00.html.
  48. Be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p. 18.
  49. 이미숙 (1998), 샤넬 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7.
  50. Swimmer, S. (2009b),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최유나 역 (2009), 서울: 장서가, pp. 164-165.
  51. 정정호, 강내희 (1991),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서울: 터, pp. 435-436.
  52. 윤민희 (2003), 문화의 키워드, 디자인, 서울: 예경, p. 26.
  53. 이은영 (2001), 재키 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54. Colbert, D. (2009), Michelle Obama: An american story, 박수연 역 (2009), 서울: 부키, pp. 44-45.
  55. 자료검색일 2012. 9. 20, http://www.anothermag.com
  56. 이은영 (2001), 재키 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57. 고윤정, 김민자 (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 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 60(2), p. 82.
  58. "민주당 대통령 후보 부인인 재클린 케네디와 어머니 로즈 케네디는 프랑스 고급 맞춤의상을 구입하는 데 1년에 3만 달러 이상을 쓴다" 자료검색일 2010. 5. 23, http://joongang.joinsmsn.com.
  59. Loiewski, O. (1995), A thousand days of magic, New York: Rizzoli, p. 12.
  60. Bowles, H., Jacqueline Kennedy: The White House years,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162.
  61. Bowles, H., Jacqueline Kennedy: The White House years,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4.
  62. Swimmer, S. (2009a),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New York: Black Dog& Leventhal Publishers, Inc. p. 82.
  63. Swimmer, S. (2009b),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최유나 역 (2009), 서울: 장서가, p. 60
  64. Swimmer, S. (2009b), Michelle Obama: First lady of fashion and style, 최유나 역 (2009), 서울: 장서가, p. 103.
  65. Tomer, M. (2009). The Face of Fashion Democracy, New York: Center Street. p. 18.
  66. 박숙현, 이관이 (2006), 샤넬 콜렉션에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적 경향,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2), p. 7.
  67. 채혜숙, 채금석 (2008), 현대 복식에 나타난 에스닉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53(3), p. 66.
  68. Loiewski, O. (1995), A thousand days of magic, New York: Rizzoli, p. 110.
  69. 자료검색일 2013. 2. 25, http://www.nylonmedia.co.kr/contents/index_view.html?contnumb=324
  70. 자료검색일 2013. 2. 25, Http://www.yonhapnews.co. kr/international/2012/02/13/0608000000AKR20120213098500009.HTML
  71. 자료검색일 2013. 2. 25, http://www.koreatowndaily. com/read.php?id=20130220172139§ion=local&type=fdb&ss=6
  72. 김미경 (2012), 리더의 스타일에 표현된 패션 폴리틱스 현상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16(5), p. 91.

Cited by

  1. A Study on the Fashion Images according to the Role Types of the Chinese First Ladies vol.18, pp.6,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4.18.6.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