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diseas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7초

Consumer use of social media for food risk information: Survey find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ntext

  • Shim, Min Su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3-9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1) to share findings from the U.S. on customer use of social media for information seeking and sharing about food recall risks, and (2)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 context of food safety and risk communication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026 social media users aged 18 years or older in the U.S., recruited from the Knowledge Network's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Results: About 26 percent of respondents used social media either to seek or share food recall information in the past year, with social networking sites being the most popular tool. With respect to social media use for information seeking, being married, perceived risk of getting foodborne diseases, and trust in Internet were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s; being Whites and trust in health professionals were negative predictors. Social media use for information shar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ducation, being married, foodborne disease history, and perceived risk of foodborne diseases; Whites, income, and trust in health professionals were negative predictors. Conclusions: The study gives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context of food safety and risks in Korea.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최무영;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0-435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균들의 배양액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 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05)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개머루덩굴이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메타분석에 의한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의 최소감염량 분석 (The Analysis for Minimum Infective Dose of Foodborne Disease Pathogens by Meta-analysis)

  • 박명수;조준일;이순호;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5-311
    • /
    • 2014
  •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9종의 식중독 세균, 2종의 바이러스, 1종의 원생동물에 대한 최소 감염량(minimum infective dose)을 선정한 연구이다.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1980년부터 2012년까지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 등에서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 및 위해평가 자료 82종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메타분석(mata-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fi, 상대빈도 값)를 계산하여 가장 적정한 최소 감염량을 추정 및 선정하였다.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은, B. cereus $10^5cells/g$ (fi = 0.32), C. jejuni 500 cells/g (fi = 0.57), Cl. perfringens $10^7cells/g$ (fi = 0.56), Pathogenic E. coli 중 EHEC 10 cells/g (fi = 0.47), ETEC $10^8cells/g$ (fi = 0.71), EPEC $10^6cells/g$ (fi = 0.70), EIEC $10^6cells/g$ (fi = 0.60), L. monocytogenes $10^2{\sim}10^3cells/g$ (fi = 0.23), Salmonella spp. 10 cells/g (fi = 0.30), Shigella spp. 100 cells/g (fi = 0.32), S. aureus $10^5cells/g$ (fi = 0.45), V. parahaemolyticus $10^6cells/g$ (fi = 0.64), Hepatitis A virus $10{\sim}10^2particles/g$ (fi = 0.33), Noro virus 10 particles/g (fi = 0.71), C. pavum $10{\sim}10^2oocyst/g$ (fi = 0.3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QMRA를 통한 위해수준 추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접객업소(食品接客業所)의 위생개선(衛生改善)을 위(爲)한 검사항목(檢査項目) 개발(開發)과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HACCP 모델을 이용(利用)한 기여인자(寄與因子) 분석방법(分析方法)으로- (Development of an Inspection Item and its Application for the Hygienic Improvement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Using -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 Model-)

  • 홍종해;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2년도 학술강연회
    • /
    • pp.33-45
    • /
    • 1992
  • The sanitation inspection i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cedure to protect foods prepared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order to enhance foodservioe inspections and to improve post-inspection remedial measures, mor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for sanitation are required. The HACCP approach is based upon factors which contribute to foodborne disease rather than on factors which relate to aesthetics. Contributing factors for foodborne disease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reported in USA, Canada, and Engl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potential hazards during practical foodservioe operations. Hazards were classified at critical control points by risk ranking. Twenty-two observable practical indicators relating to each contributing factor were selected and adjusted to standardized procedures and hazard determiners at critical contral points. The weights for each inspection item were ranked as 1, 2, 3, 4 or 5 according to the risk level of contributing factors. And also application for the inspection item in different 6 types of work procedures was suggested for the use of specialized foodservice establishment and cafeteria, and of manager's self inspection in each establishment.

  • PDF

전기분해 해수의 활어패류 살균 효과 (Germicidal Effect of Electrolyzed Seawater on Live Fish and Shellfish)

  • 이희정;유홍식;오은경;신순범;박큰바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4-539
    • /
    • 2013
  • To secure the biological safety of live fish and shellfish for raw consumption, the germicidal effects of electrolyzed seawater were evaluated. Upon direct exposure to electrolyzed seawater, coliform group bacteria were killed and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after 1 da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were stable during the test period. A byproduct of chlorine disinfection, trihalomethane, was not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of seawater.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 in a live fish was effectively resolved by electrolyzed seawater and became undetectable after 12-36 h of treatment. Bioaccumulation of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bacteria in live oysters Crassostrea gigas was removed within 18 h of treatme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lectrolyzed seawater is an effective and safe germicidal agent for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and can help to prevent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raw fish and shellfish.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 박경진;천석조;박기환;홍종해;김정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9-145
    • /
    • 2003
  •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중(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l 3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내 신선 농산물 생물학적 위해요소 우선순위 설정 (Profiling and Priority Sel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Fresh Produce)

  • 이채윤;성동은;오상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5
    • /
    • 2012
  • 본 연구는 농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식중독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국내외의 자료를 조사하여 11가지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해 리스크 프로파일 목록을 작성하여 추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제 식품안전 관련 기관인 CODEX와 WHO/FAO 및 미국 일본 유럽 호주 뉴질랜드의 리스크 프로파일 선정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 가용한 자료를 고려하여 식중독 원인균을 중심으로 관리의 기본이 되는 질병의 빈도와 심각성, 식품 소비 빈도, 교차오염 가능성의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조사되고 있지 않으나 선진국에서 관리되고 있는 위해요소 중 앞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우선순위는 발생빈도 및 위해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가장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 그룹 I에는 Norovirus, E.coli, Salmonella, Clostridium botulinum, Listeria monocytogenes를 선정하였고, 그룹 II에는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를 지정하였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Yersinia enterocolitica, Shigella spp, Cronobacter sakazakii, Hepatitis A virus를 그룹 III에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교차오염의 가능성은 정량화 되지 않은 '가능성'만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으며, 앞으로 농장의 GAP, HACCP을 적용하여 농식품의 수확에서부터 제품 생산 전 단계에 걸쳐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농식품의 식중독 예방과 'farm to table' 전 과정의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