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nutrition information

검색결과 1,915건 처리시간 0.025초

딸기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 밸리데이션 (Antioxidant activities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of Marker compounds in strawberry fruits from various cultivars)

  • 용예슬;이송미;변나영;선상욱;김민정;장서우;장원석;이선이;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17-5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딸기 추출물로부터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하여 농업기술원에서 시료를 제공받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ellagic acid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을 위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22.77-107.61 mg/100 g FW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17.58-44.12 mg/100 g FW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결과 Aiberry와 Elie star에서 가장 많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1540.6-1124.0 μmol TEAC/100 g FW 범위를 나타내었고, Derunoka가 1.541 μmol TE/100 g FW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험결과 6352.3-4592.3 μmol TEAC/100 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FA23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llagic acid 표준물질에 대한 검량선의 상관계수(R2)값은 0.9998-1.0000으로 매우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딸기 추출물의 ellagic acid 함량은 9.2-22.9 μg/mL을 나타냈으며, 그 중 Asca 추출물이 22.9 μg/mL로 가장 높은 ellag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밸리데이션 결과 정확성은 평균 100-10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정밀성 또한 농도별로 10 μg/mL에서는 5.31, 5.30%, 50 μg/mL에서는 0.66, 0.88%, 100 μg/mL에서는 0.20, 0.82%의 RSD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양한 딸기품종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자유라디칼의 산화를 억제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천연항산화제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 정량분석 및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본 실험에서 사용된 딸기추출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함량분석에 대한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시사한다.

고구마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of sweetpotato genomics research)

  • 윤웅한;정재철;곽상수;양정욱;김태호;이형운;남상식;한장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61-167
    • /
    • 2015
  • 고구마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세계 7대 농작물로 식량뿐만 아니라 사료용, 전분 등의 산업용으로도 중요하다. 최근 고구마는 항산화물질, 식이섬유질 등을 고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구마 유전체 해독에 관한 연구는 고구마의 중요도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총설의 목적은 고구마 유전체 연구 동향분석을 통하여 유전체 해독 연구의 효율성 증대 및 유용형질 유전자의 실용화 연구를 위한 기반구축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NGS 분석을 통한 동식물 유전체해독이 급진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구마 유전체 해독의 경우는 다배수성 문제와 이질유전체 문제로 유전체 완전해독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반면 전사체 분석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2015년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2배체 고구마의 유전체 해독 초안이 보고되었다. 한중일 고구마 연구협의회(Trilateral Research Association of Sweetpotato, TRAS)에 의해 6배체 고구마 Xushu 18의 유전자지도 작성 및 유전체 해독 연구가 2014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빌게이츠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은 사하라사막 남쪽 아프리카지역의 기근과 영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구마 유전체 기반 분자육종을 위한 분자도구 개발에 관한 프로젝트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출범하였다. 고구마 유전체 해독과정 중에 분석된 고구마 엽록체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진화학적 해석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을 통하여 고구마 유전체 해독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동향 분석은 고구마의 생산성 및 기능성 향상 등의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최근의 연구현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세계적인 식량, 에너지, 환경문제의 해결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을 이용한 홍고추의 발효를 통한 항비만과 항당뇨 효과 (Effects Against Obesity and Diabete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준형;김병혁;윤여초;김중규;박예은;박혜숙;황학수;권인숙;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4-361
    • /
    • 2019
  • 고추(Capsicum annuum L.)는 한국 전통 음식의 중요한 채소 중 하나이며,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고추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고혈압, 소화 장애, 스트레스 및 노화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 홍고추 및 발효하지 않은 홍고추의 항비만 및 당뇨병 효과를 조사하였다. 8 주 동안 45% HFD를 공급하여 비만 유도 시킨 C57BL / 6N 마우스는 HFD 사료와2.5% NRM, 1.25% FRM, 2.5% FRM을 함유한 HFD 사료를 8 주간 투여하였다. 식이섭취 시킨 후 7주 경과 후 경구당 부하검사(OGTT)를 진행하였고 8주 경과 후 체중, 간, 부고환 지방량, 혈청 인슐린 수치 및 HOMA-IR을 측정하고 지질 함량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5% FRM이 HFD와 2.5% NRM보다 체중, 조직 중량, 지질 함량, 혈청 인슐린 수치 및 HOMA-IR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를 통해 발효 홍고추는 항비만 및 항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발효 홍고추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 생리활성증대 소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Accreditation Experience -Focused on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s-)

  • 조현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1-324
    • /
    • 2011
  • 본 연구는 1차 평가인증지표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인증 경험에 따라 평가인증의 운영과 제2차 평가인증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차 평가인증에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X^2$ 검증,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인증통과 후 사후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서만 나타났다. 인증경험이 없는 교사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인증경험이 있는 교사는 '보육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은 보육환경 영역의 '예술활동자료', 운영관리 영역의 '보육시설의 운영방침 및 정보 안내', '원아에 대한 관리', '종사자의 근로계약', 건강과 영양 영역의 '식자재, 조리 및 배식과정의 위생적 관리',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보호', '영유아와 종사자의 건강관리', '영유아를 위한 간식', 안전영역의 '영유아의 안전한 인계과정' 항목에서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실현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인증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기살균제 사용 의료기관 노출 현황 연구: 23개 노출 현장 실지 조사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Exposure Status to Humidifier Disinfectant in Hospitals: An On-site Investigation of 23 Hospitals)

  • 한경희;조은경;서영준;곽정현;양원호;김판기;최윤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33-44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 (HD) in hospitals based on an on-site investigation. Methods: A preliminary survey and on-site investigation of HD use were conducted in 23 hospitals. Among them, one hospital without previous information on HD use was selected for a pilot investigation; 22 hospital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documents and exposure statements from parliamentary investigation and exposure assessment regarding H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present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D purchase and HD use in hospitals. Also, details on interviews from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described. Results: Among the 23 hospitals, a total of ten were confirmed to have purchased and used an HD (nine hospitals) or HD-like product (one hospital). For the purchased HD products, four hospitals reported 'Aekyung Gaseupgi Mate', two hospitals reported 'Oxy Ssakssak New Gaseupgi Dangbun', and one hospital reported 'Homeplus Gaseupgi Chungjungje' (one hospital used three kinds of HD products). One hospital reported an HD-like product and four hospitals were 'Unknown'. For the number of HD products purchased, five hospitals reported '100 or less', two hospitals reported 'More than 100', and three hospitals were 'Unknown'. For each of the ten hospitals, we describe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HD purchase and its exposure status obtained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including the purchase volume (i.e., number of products), exposure space (i.e., patient's room, staff space), and exposure period. Additionally, a comparison of on-site investigation and parliamentary investigation or exposure assessment regarding HD was reported. Conclusion: This study introduced detailed cases of HD purchase and HD use in hospitals based on an on-site investigation, and our findings revealed a possibility of a considerable volume of HD exposure in various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hospitals.

퇴직한 납 취급 근로자들에서 골밀도 저하와 경골납량이 혈중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ne Demineralization and Tibia Lead on Blood Lead in Retired Lead Workers)

  • 김남수;김진호;김화성;김희선;이성수;;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4-333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ne demineralization and tibia lead on blood lead in retired lead workers. Two hundred thirty five(126 females and 109 males) retired lead workers who worked in 4 different lead factories and 101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subjects(51 females and 51 males) were recruited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4.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at left calcaneous bone area by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BUA) method with QUS-2(Metra Biosystems Inc, USA). The BUA value transformed into T-score by WHO standard conversion criteria. Tibia bone lead was measured for skeletal bone lead with K-xray fluorescence(K-XRF) and blood lead was analyzed with flameless atomic spectrophotometer. Hemoglobin, hematocrit, serum calcium and iron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information for smoking and drinking status and basic personal data such as age, gender and lead exposure were also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inquiry. Blood lead was correlated with tibia lead (r=0.664)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bivariate analysis. BMD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change of blood lead independent to tibia lead without any effect modification of age or gender; the one T-score unit decrease of mineral bone density made $0.43{\mu}g/dl$ increase of blood lead. On the other hand, tibia lead showed effect modification with gender on blood lead; the slope of tibia lead on blood lead in male was steeper than in female and crossed at around zero of tibia lea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lood lead and tibia lead on BMD after adjustment of related covariates, only blood le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MD. This study confirmed that BMD and blood lea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verify the causal association of BMD on blood lead and vice versa,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토마토 품종에 따른 과실의 이화학적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tomato varieties)

  • 박상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15-120
    • /
    • 1993
  • 국내산 토마토의 품종별 가공적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무지주재배 가공용 토마토 5품종과 가공 및 생식 겸용 지주재배 토마토 4품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마토과실의 무게 및 최장길이, 폭, 두께 및 비중은 지주재배형 토마토품종이 무지주재배형 품종보다 더 큰 값을 보였으며 지주재배형 품종중에서는 Master 2가 가장 큰 값을 76Mo11-3-1-2-2가 가장 작은 값을 보였다. 무지주재배형 품종중의 무게, 최장길이, 폭 및 비중의 값을 비교하면 Jinhong이 가장 높았고 두께는 Good Hope가 가장 높았으며 $79078{\times}ARC$가 가장 낮았다. 경도는 무지주재배형 품종내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79078{\times}ARC$가 가장 낮았다. 토마토의 Sphericity는 무지주재배형이 지주재배형보다 더 높았으며 무지주재배형에서는 Good Hope가 가장 높았다. 과색의 Dominant wavelength는 무지주재배형이 지주재배형보다 컸으며 무지주재배형에서는 Good Hope가 가장 컸다. Lightness, % chroma는 재배형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수분함량은 재배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당은 일반적으로 지주재배형에서 높았고 Master 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는 무지주재배형 품종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Good Hope가 가장 높았다. pH와 Vitamin C 함량은 무지주재배에서는 $79078{\times}CL1561F6$가 가장 높았고 지주재배형에서는 76Mo11-3-1-2-2가 높았다.

  • PDF

Probiotic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이용한 starter 사용량이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52-2659
    • /
    • 2011
  •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5 : 0.1(Test 1군), 0.3 : 0.02(Test 2군), 0.15 : 0.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반죽의 pH와 비교시, 제빵효모를 사용하여 15시간 발효한 반죽의 pH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터균의 사용량을 달리한 세 가지 그룹들 중에서, 빵의 부피와 경도, 식빵껍질의 두께, 기공의 형태, 압박력 지수, 빵의 비용적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는 발효빵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est 2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Test 1군과 Test 3군들보다 Test 2군에서 우수한 제빵특성을 보였다.

Kocuria gwangalliensis 유래 phytoene desaturase 유전자의 cloning과 특성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ne Encoding Phytoene Desaturase from Kocuria gwangalliensis)

  • 서용배;최성석;남수완;김군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6-235
    • /
    • 2017
  • Phytoene, lycopene, ${\beta}-carotene$과 같은 카로티노이드는 식품의 착색제나 영양보조제, 사료첨가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이전 연구에서 본 연구진은 분홍색의 색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해양 세균인 K. gwangalliensis를 분리 동정하였다. Phytoene desaturase (CrtI) 효소는 crtI 유전자에 암호화되어 있으며, phytoene을 lycopene으로 전환하며, 카로티노이드 합성 초기 단계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CrtI는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조절의 주요 효소 중 하나이며,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를 생합성하는 생물들의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경로에 있어서 속도 조절 단계에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K. gwangalliensis로부터 lycopene 생합성을 담당하는 crtI 유전자를 클로닝 하였으며, 이 유전자는 1,584개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527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crtI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Kocuria rhizophila와 Myxococcus xanthus를 포함한 다른 종의 염기 서열과 비교한 결과, 진화 과정에서 잘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crtI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여 발현시킨 결과, 이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대장균은 약 57 kDa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화였으며, 이는 phytoene desaturase의 분자량에 해당한다. lycopene의 생합성은 lycopene 생합성에 필요한 crtE, crtB 유전자를 포함한 pRScrtEB plasmid를 E. coli에 형질전환 했을 때, Escherichia coli에서 합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자 수준에서 K. gwangalliensis CrtI의 1차 구조에 대한 폭 넓은 지식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국내 어린이 위해성평가를 위한 노출계수 연구 (Development of Korean Exposure Factors for Children in Korea)

  • 윤효정;서정관;김탁수;김주현;조아름;이병우;임현우;이대엽;김필제;최경희;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7-175
    • /
    • 2017
  • Objectives: Children may be more exposed to certain environmental contaminants because they react with greater sensitivity and have different food intakes and breathing rate per unit of body weight compared to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eneral exposure factors such as skin surface area, period and frequency of exposure, and others among Korean children aged ${\leq}18$ years o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Methods: We developed 23 recommended exposure factors for Korean children aged 0 to 18 years by reclassify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s well as through investigation by experiments in the absence of related data. Results: Reflecting the activity patterns of about 9,000 children, the daily inhalation rates for long-term exposure ranged from $9.49m^3/day$ for children from birth to <2 years to $14.98m^3/day$ for children aged 16 to <18 years. The research found that Korean children spent an average of 22.21 hours indoors, 0.67 hours outdoors, and 1.12 hours in-transit every day. Young children (${\leq}2$ years old) spent approximately 34 more minutes outdoors on weekends than they did on weekdays. Conclusion: Various physiological variables in the human body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at can directly influence risk exposure.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general exposure factors based on Korean children is required for appropriate risk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