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group intakes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자의 연령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요인 분석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Men)

  • 유춘희;이정숙;이일하;김선희;이상선;강순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132-142
    • /
    • 2004
  • Nutritional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MD)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men were investigated to obtain baseline data for maintaining bone health. Information on diet and anthropometry was collected in 80 elementary school children, 83 high school students, 87 adults aged 25 to 35 years and 98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f age. Data for food and nutrient intake wer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BMDs of lumbar spine (L$_2$- L$_4$) and femoral neck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nutritional factors were analyzed. In the femoral neck, 5.7% of adults was classified as osteopenia and 47.9% and 37.8% of the elderly were classified as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t was shown that plant protein, Ca, p, Fe,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intakes were related with BMD in all age groups. As for the mean adequacy ratio (MAR) of nutrients, the lowest quartile group of BMD showed significantly lower MAR among children. The RDA percent of nutrients was a strong influential factor on BMD. Subjects who consumed below 75% of Korean RDA in energy, vitamin A, thiamin, and vitamin C showed lower BM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AR in children, vegetable Ca in adolescents, and vitamin C in adults and elderly people were the highest influential factor on BMD. Therefore,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d that not only calcium but also other nutrients such as protein, iron, vitamin A,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healthy bone status.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various dietary factors that influenced bone density, MAR was identified as the major factor that affected bone density. Thus, a balanced diet that includes all nutrients is necessary for a healthy bone density. (Korean J Nutrition 37(2) : 132-142, 2004)

Assessment of vitamin $B_6$ status in Kore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 Ahn, Hee-Jung;Min, Kyung-Wan;Cho, Youn-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34-3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itamin $B_6$ intake and status in Kore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Sixty-fou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and 8-11% glycated hemoglobin (A1C), along with 28 age-matched non-diabetic subjects, participated. Dietary vitamin $B_6$ intake was estimated by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plasma pyridoxal 5'-phosphate (PLP) was measu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otal calorie intake between the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1,917{\pm}376$ vs $2,093{\pm}311\;kca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ntake of total vitamin $B_6$ ($2.51{\pm}0.91$ vs $2.53{\pm}0.81\;mg/d$) or vitamin $B_6$/1,000 kcal ($1.31{\pm}0.42$ vs $1.20{\pm}0.32\;mg$) between the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and I intakes of total vitamin $B_6$ were above the Korean RDA in both groups ($180.0{\pm}57.9$ vs $179.0{\pm}65.4$).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diabetic subjects whose plasma PLP concentration was < 30 nmol/L compared to non-diabetic group. Plasma PLP levels tended to be lower in the diabetic subjects than in the non-diabetic subject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a large standard deviation ($80.0{\pm}61.2\;nmol/L$ vs $68.2{\pm}38.5\;nmol/L$). Nevertheless, plasma PLP levels should be monitored in pre-diabetic patients with diabetic risk factors as well as in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for long-term management of diabetes, even though this factor is not a major risk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egenerative complications in certain patients.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3$) on Growth of GR-transgenic Coho Salmon, Oncorhynchus Kitsutch

  • Kang, Duk-Young;Robert H. Devli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01-101
    • /
    • 2002
  • GH-transgenic coho salmon (Oncorhynchus kitsutch) juveniles in tGH*T$_3$and tGH*PTU were fed with the diets containing 1 ug/g fish of 3,5,3'-triiodo-L-thyronine (T$_3$) and 30 ug/g fish of 6-n-propyl-2- thiouracil (PTU),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drugs on the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growth and survival rate in comparison with normal transgenic (tGH*C) and nontransgenic coho salmon (Wild) for 90 days. Although the daily food intakes of all transgenic (tGH)-groups were higher than Wild, the amount was reduced by exogenous PTU supply. The fred efficiencies of tGH-groups were lower than Wild, but the efficiency was reduced both by T$_3$and PTU. The survival rate of tGH-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i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GH-groups. Although the growth of tGH-coho salmon was faster than Wild. the growth rate of transgenic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 but was reduced by PTU Plasma TT$_4$levels of tGH-groups was approximately 2-fold higher relative to Wil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of plasma TT$_4$levels among tGH-groups. plasma TT$_3$level or tGH-coho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administration, but was reduced by exogenous PTU. In addition, although plasma GH levels of all tGH-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Wild, the GH level in plasma of transgenic coho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and reduced by exogenous PTU. In the meantime, the transgenic fishes also displayed head, jaw and opercular abnormalities typical of the offsets of this gene construct in coho salmon, indicating that some imbalance in growth processes has been induced. However, the abnormalities of transgenic coho salmon was reduced following exogenous PTU administration.

  • PDF

우리나라 노인의 복부비만과 관련 요인 - 생활습관, 정신건강, 질환 및 영양소섭취 상태 중심으로: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Abdominal Obesity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with a Focus on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the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1호
    • /
    • pp.42-53
    • /
    • 2020
  • The relationship of abdominal obesity ("AO") with co-morbidity and mortality is well established. This study assess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O, which was defined as a waist circumference ≥90 cm for men and ≥85 cm for women, in the group aged over 65 years. A total of 1,435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atistical methods for a complex sample were applied by using a SPSS program (ver. 25.0). AO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females.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eavy drinking (OR: 1.53), no weight training (OR: 0.68), stressful mental status (OR: 0.61), ba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EQ_5D, OR: 1.45), hypertension (OR: 2.18), prediabetes (OR: 1.94), diabetes (OR: 1.63), low HDL-cholesterol (OR: 1.86), anemia (OR: 0.55), and heavy energy intake (OR: 1.41)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AO after adjustment for gender. Heavy drinking (OR: 1.89), bad self-rating of health status (OR: 1.72), low HDL-cholesterol (OR: 1.85), heavy energy intake (OR: 1.79), low intake of riboflavin (OR: 1.60) were sti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AO after adjustment for gender and body mass index (BMI),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f health habits, mental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s may be associated with AO. This study did not establish the existence of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except for riboflavin, and risk of AO,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prospective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causal connections among those factors.

곡류.야채식이의 영양소 보완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I) - 단백질 대사를 중심으로 -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of Cereal-Vegetable Diet on the Growth of Rats (I) - Especially on Protein Metabolism -)

  • 부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198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nutritional defect of general Korean diet and the effective way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Seventy weanling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51.8$\pm$0.9g were blocked into ten groups and fed ten different diets ad libitum for eight weeks: Standard groups(st gp) was given 72% sugar-20% casein diet: Cereal-vegetable group(c-v gp) was fed cereal-vegetable diet(c-v diet) composed of rice, barley, soybean, spinach and cabbage: the other eight groups were fed c-v diets supplemented with casein, vitamin $B_{2}$, calcium, vitamin A, vitamin B2 and A, vitamin A and calcium, vitamin $B_{2}$ and calcium, vitamin A and $B_{2}$and calcium,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each nutrients content of standard di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od intakes and body weight gain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 gp. Among experimental groups, casein gp and vit B2 gp tended to gain more body weights than c-v gp. 2. Through all the experimental period, F.E.R., pp.E.R., and NDPcal% did no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nd st gp. 3. The weights of liver, kidney, and gastrocnemiu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st gp. But brain and sex organ weights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4. Nitrogen contents of total carcass, liver, and gastrocnemiu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ended to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st gp, and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y tended to be increased by casein supplementation and decreased by ca supplementation. 5. Apparent nitrogen digestibility, urinary and fecal nitrogen excretion, the amount of nitrogen retained, and N.P.U.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6. Serum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 PDF

절식요법을 시행한 입원환자의 후향적 연구 (The Retrospective Study on Modified Fasting Therapy in Inpatients)

  • 정순관;김동은;유덕선;염승룡;송용선;권영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1-187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fasting therapy on body composition, blood cell count and blood chemistry in inpatients. Methods : The modified fasting therapy program consists of three phases, a period of reducing food intakes, fasting and refeeding. Body weight, body composition, and the degree of obesity were estimated in before fasting therapy and after refeeding. Blood cell count and blood chemistry were estimated in before fasting therapy, before refeeding and after refeeding. Results : After modified fasting therapy, body weight,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body mass index(BMI), body matabolic rate(BMR) and muscle mas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BC count and platelet count decreased significantly, RBC count and hemoglobi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hematocri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ut within normal limit. AST and ALT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patients group over BMI 25 within normal liver function. This study was not founded correlation between decreased muscle mass and increased liver function test. ALP, BUN, Tota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creased significantly. Creatinin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within normal limit. Sodium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potassium decreased significantly but within normal limi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dified fasting therapy will be beneficial if several measures complement.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 진단을 위한 간이 식습관평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 연미영;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38-47
    • /
    • 2009
  • 초등학교 $4{\sim}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는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분, 아연의 여섯가지 영양소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백분율과 평균 적정섭취비율 (MAR), 이들 여섯가지 영양소 중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식습관의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구하기 위하여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세끼 식사 여부, 아침식사 시간의 여유, 저녁식사의 규칙성, 식욕, 그리고 김치, 우유, 과일, 콩의 섭취 빈도에 관한 8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 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8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MAR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의수준이 0.05 미만인 4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식습관평가표의 영양부족위험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MAR < 0.75를 미량영양소 섭취부족군, MAR ${\geq}$ 0.75를 적정군으로 하여 총점 분포를 살펴본 후 각 총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평가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식습관평가표의 총점이 3점 이하 일 때 저위험군, $4{\sim}5$점일때 중간위험군, 6점 이상일 때 고위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식습관평가표의 진단기준에 따라 본 조사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영양소섭취를 비교한 결과 에너지와 단백질은 세 집단간 대상자 분포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1개의 미량영양소 중에서는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 아연 등 9개 영양소에서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고위험군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경우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저위험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비타민 $B_6$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8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토를 거치면 영양사업과 영양교육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시판 간편 이유식의 식품 구성에 따른 영양적 질 평가 (Nutritional quality evaluation of complementary baby food products in Korea according to food composition)

  • 이은주;연지영;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5호
    • /
    • pp.537-553
    • /
    • 2023
  • 본 연구는 이유식 단계에 따른 시판 이유식의 영양소 함량 및 영양적 질 평가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영양평가 결과를 제시하여 국내 시판 이유식의 영양소 함량 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대형마트 방문조사와 이유식 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되고 있는 생후 5개월부터 36개월을 대상으로 한 시판 이유식 중 미음, 묽은 죽, 죽, 진밥, 밥에 해당하는 1,587개 제품의 식품 및 영양표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판매업체 규모는 모든 이유식 단계에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순으로 제품이 많았다 (p < 0.0001). 1포장량의 섭취 가능한 횟수는 1단계 2.8회, 2단계 1.9회, 3단계 1.4회, 4단계 1.1회로 나타났다. 모든 시판 이유식은 국내산 재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99.8%의 제품에 유기농산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시판 이유식 재료의 DVS는 1단계 3.4점, 2단계 5.5점, 3단계 7.1점, 4단계 9.7점으로 이유식 단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001). KDDS는 1단계 2.3점, 2단계 2.8점, 3단계 3.0점, 4단계 3.4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001). 식품군 패턴 분석결과, 이유식 단계가 높을수록 각 이유식 단계 내에서 곡류군, 곡류군/채소류군, 곡류군/육류군을 재료로 사용한 패턴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곡류군/육류군/채소류군을 사용한 패턴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시판 이유식의 이유식 단계에 따른 KDDS에 따른 영양평가에서 1단계와 2단계 이유식의 단백질 충분섭취량 또는 권장섭취량에 대한 충족률은 2점 이하 제품과 3점 이상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각각 p < 0.0001), 2점 이하 제품에 비해 3점 이상 제품의 충족률이 높았다. 3단계와 완료기 이유식의 단백질 권장섭취량에 대한 충족률은 KDDS가 증가할수록 충족률이 증가하였다 (각각 p < 0.0001). 시판 이유식의 이유식 단계별 CMV 패턴에 따른 영양평가에서 모든 이유식 단계의 단백질 함량과 단백질 충분섭취량 또는 권장섭취량에 대한 충족률은 육류군 (두류, 견과류, 육류, 난류, 어패류) 포함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각각 p < 0.0001), 육류군 제외 패턴에 비해 육류군이 포함된 식품군 패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시판 이유식의 영양표시 및 식품표시를 기반으로 영양적 질 평가를 실시하여 영·유아의 단계별 시판 이유식의 식품구성에 따른 영양적 가치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시판 이유식의 영양소 함량 기준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이유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각도의 영양평가를 통해 모유 섭취량을 고려한 영·유아 식사의 영양평가 기준과 시판 이유식의 영양소 함량 기준 설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20대 저체중 한국여성의 건강 및 영양 상태: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사랑;김성희;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99-110
    • /
    • 2016
  • 본 연구는 저체중인 20대 성인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20대 여성의 저체중군과 다른 군들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은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고 저체중군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은 세 군에 비해 소득수준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의 미혼 비율은 비만군보다 높았다. 2) 혈액 및 혈압 검사를 분석한 결과 각 항목의 평균은 비만도의 네 군 모두 정상수치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비만도별 네 군을 비교한 결과 저체중은 과체중, 비만보다 만성질환 위험이 낮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여성력 분석 결과 저체중군의 모유수유 경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출산 경험 비율이 가장 낮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만군보다 저체중군의 무월경의 비율은 낮았고 규칙적으로 월경을 하는 비율은 높았다. 4) 비만도군별 질환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과체중군과 비만군 보다 낮았으며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다. 고혈압 유병여부의 '고혈압 전단계' 비율은 저체중군이 정상군보다 높았으나 과체중군과 비만군보다 낮았다. 당뇨병 유병여부는 저체중군, 정상군에 비해 과체중군, 비만군이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20대의 젊은 연령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기 때문에 질환 유병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극소수로, 저체중인 20대 여성의 비만도군별 질환의 특성을 규명하기 어려웠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 여부는 극소수였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 비만군보다 유병률이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혈은 비만도가 낮을수록 유병률이 높았다. 5) 20대 여성의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은 네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영양섭취는 양호하였다. 6) 식품의 섭취빈도와 1일 섭취량 (g)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유제품 섭취빈도는 정상군, 과체중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았다. 또한 곡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정상군, 과체중군보다 매우 높았으며 난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비만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 결과 20대 저체중 여성의 건강은 정상체중 여성의 건강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저체중 여성은 과체중과 비만 여성보다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낮았고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으며 영양소 섭취는 비만도군 별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나트륨 섭취는 과다하고 칼슘 섭취가 부족하여서 향후 양호한 영양상태 및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올바른 식습관 등 건강행태와 적절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저체중 여성을 극저체중 여성과 구분하지 않았으므로 극저체중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이 성인 비만여성의 식이섭취, 스트레스지수 및 복부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복부비만감소군과 복부비만증가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

  • 이지원;유숙영;양소영;김혜숙;조성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27-139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0.80 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복부비만율 증가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의 변화,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영양소의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식물성 단백질, 칼륨, 비타민 A, 엽산, 식이섬유, 칼슘, 인,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식물성지방, 철분, 나트륨, 나이아신, 비타민 E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그리고 비타민 C의 INQ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인, 아연,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의 변화율은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더 컸으며,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섭취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어패류, 두류, 견과류, 채소류 그리고 버섯류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건강지수는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으로 구성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식이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완화시켜 복부비만율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장기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뒤 이러한 복부비만율 개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