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luster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1초

비파 씨로부터 Tyrosinase 저해 활성물질의 분리 (A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 김태훈;신승렬;김태완;이인철;박문영;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5-441
    • /
    • 2009
  • 비파 씨를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tyrosinase, DPPH 및 SOD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6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benzaldehyde (1), chlorogenic acid (2), caffeic acid (3), benzoic acid (4), ferulic acid (5) 및 amygdalin (6)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benzaldehyde (1)는 125 mg/mL농도에서 tyrosinase저해활성이 70.8%로 나타나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의 5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2.5 mg/mL 실험농도에서 chlorogenic acid (2)와 caffeic acid (3)가 각각 43.7, 81.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파 씨의 SOD 활성물질은 chlorogenic acid (2)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tyrosinase 및 라디칼소거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파 씨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reduces body weight and fat deposition in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s

  • Lee, Eun Young;Kim, Sun Lim;Kang, Hyeon Jung;Kim, Myung Hwan;Ha, Ae Wha;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575-582
    • /
    • 2016
  • BACKGROUNG/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on body weight and fat deposition in experimental animals. MATERIALS/METHODS: A total of 30 male C57BL/6J mice, 4-weeks-old, were purchas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weight using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 normal-fat (NF) group received 7% fat (diet weight basis), the high-fat (HF) group received 25% fat and 0.5% cholesterol, and the high-fat corn silk (HFCS) group received high-fat diet and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at 100 mg/kg body weight through daily oral administration. Body weight and body fat were measured,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fat accumulation, fat synthesis, lipolysis, and fat oxidation in adipose tissue and the liver were measured. RESULTS: After experimental diet intake for 8 weeks,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CS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P < 0.05), and kidney fa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CS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P < 0.05). In the HFCS group,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bet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1$ (PPAR-${\gamma}1$), and PPAR-${\gamma}2$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 < 0.05) in the epididymal fat pad, whereas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lipoprotein lipase, acetyl-CoA carboxylase-1,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isozyme-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1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iver and adipose tissues (P < 0.05). In the HFCS group, mRNA expression levels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hormone-sensitive lipase,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were elevated (P < 0.05).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inhibits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fat accumulation, and fat synthesis as well as promotes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olysis and fat oxidation, further inhibiting body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elevation in experimental animals.

중.장년기 여성의 식사패턴과 골밀도간의 연관성 연구: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예방유전체 지역사회 코호트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A Cohort of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 박선주;안윤진;김효미;주성은;오경수;박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2-360
    • /
    • 2007
  • Several nutrients are known to affect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these nutrients are combined with food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and BM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BMD in Korea Genome Epidemiology Study subjects. Among 2,884 women (40-69 yr) recruited at baseline study (2001), 861 subjects with BMD measurements at baseline and a 4-year follow up study (2005) completed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MD was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Ultrasound method. One hundred three food items were combined into 17 food groups and 4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using factor score classified each subject into one of three dietary pattern groups named 'Rice and kimchi eating' (n = 617), 'Contented eating' (n = 124), and 'Healthy and light eating' (n = 120).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 of fruit, vegetables, fish, milk and dairy products, and younger age, more exercise,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than other groups. The tibia BMD of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fter adjusting for the age. After the adjustment for the age BMI and exercise,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odds of tibia osteopenia/osteoporosis risk compared to the 'Rice and kimchi eating' group both at the baseline [OR(95% CI) : 0.50(0.30-0.84)] and follow-up [OR(95% CI) : 0.59(0.36-0.97)] examinations. The dietary pattern with low calorie and high intakes of fruit, vegetables, fish, milk and dairy product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MD in middle-aged women.

전통민속소주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jues)

  • 이동선;박혜성;김건;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49-654
    • /
    • 1994
  • 증류주의 pH는 $3.43{\sim}5.85$ 범위였으며 안동소주, 이강주, 마오타이츄, 문배술, 옛향-보리 등은 약 pH4.00이하 이었다. 총산은 마오타이츄가 매우 높았으며 일본의 센바타누키, 중국산 빠이걸, 북한산 백로술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우리나라 민속소주의 총산은 $11{\sim}88\;mg/100ml$였다. 첨가물이 있는 백로술, 빠이걸, 츄우예칭츄, 이강주의 전기전도도값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증류주의 밀도는 $0.9121{\sim}1.0833\;g/ml$ 범위였고 백로술이 특이하게 1.0000 g/ml보다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증류주의 굴절률은 $1.3263{\sim}1.3610$ 범위였다. 우리나라 전통민속주들은 $274{\sim}278\;nm$ 부근에서 자외부 흡수극대를 나타내었고 스카치위스키, 진도홍주, 마오타이츄, 츄우예칭츄등 착색된 증류주는 넓은 파장 범위에서 강한 자외부흡수를 나타내었다. 물리화학적 특성값보다는 흡광도 자료에 대한 주성분 분석이 우리나라 민속소주와 중국산 카오리양츄를 서로 다른 집락으로 잘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증류주의 품질관리, 분류동정, 유사성과 이질성 파악에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한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 등재 재래닭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Korean Native Chicken Populations in DAD-IS Database Using 25 Microsatellite Markers)

  • 노희종;김관우;이진욱;전다연;김승창;고응규;문성실;이현정;이준헌;오동엽;변재현;조창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65-75
    • /
    • 2019
  • 본 연구는 세계식량농업기구(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재래닭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외래품종과의 차별성을 분석하기 위해 25개의 초위성체(MS) 마커를 이용하여 총 18개 집단 548수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대($H_{\exp}$) 및 관측이형접합도($H_{obs}$), 다형정보지수(PIC), 유전거리, 유전적 균일도 등을 계산하였다. 마커별 다형성 분석 결과, 총 195개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났으며, $H_{\exp}$와 PIC의 경우 MCW0145에서 각각 0.646, 0.569로 가장 높았으며, $H_{obs}$의 경우 ADL0278에서 0.77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던 반면, MCW0078에서는 $H_{\exp}$, $H_{obs}$, PIC가 각각 0.263, 0.291, 0.217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간 다양성 분석 결과로는 MNA, $H_{\exp}$, $H_{obs}$, PIC 모두 황갈색재래종(KNY) 집단(각각 4.60, 0.627, 0.643, 0.563)에서 가장 높게, 횡성약닭(HYD) 집단(각각 1.84, 0.297, 0.286, 0.236)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립유전자형의 빈도를 바탕으로 계산된 18개 품종간의 DA 유전거리 분석 결과, 횡성약닭(HYD)와 화이트레그혼F(LGF) 집단 사이에서 0.675로 가장 먼 유전거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같은 품종인 로드아일랜드레드 두 집단(RRC, RRD) 사이에서 0.027로 가장 가까운 유전거리를 보였다. 한편, 같은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코니시 두 집단(COS, COH)사이에서는 0.313의 비교적 먼 유전거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집단의 실제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집단별 균일도 분석 결과, K=15에서 최적의 K값(${\Delta}K:66.22$)을 얻을 수 있었으며, 18개의 집단 중 14개의 집단에서 90% 이상의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나타내며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황갈색재래종(KNY), 현인흑계(HIC), 연산오계(KNO) 집단에서도 각각 88.9%, 83.9%, 76.3%로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제주재래닭(JJC)의 경우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지 못하고, 황갈색재래종(KNY) 집단이 속해 있는 2번 군락에서 가장 높은 44.3%의 균일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3번 군락(17.7%)과 8번 군락(19.1%)에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단 조성 과정에 있어 타집단과의 교잡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독립적인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추후 개체식별을 통한 지속적인 계획교배를 실시하여 유전적 고정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DAD-IS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재래닭 집단이 외래 토착종 집단과 확연하게 구분이 되며, 각 재래닭 집단간에도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고유 종자로서의 과학적인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재래닭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 수준의 관리 및 평가를 통해 다양한 육종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당식이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능성 잡곡의 지질 대사 개선 효과 (Anti-Lipogenic Effect of Functional Cereal Samples on High Sucrose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ice)

  • 이고은;송가락;정병진;정종성;허태곤;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89-796
    • /
    • 2016
  • 본 연구에서 고당식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의 체중 변화는 대조군보다 백미군,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체중증가율이 낮았고 간 무게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간 내 조직학적 지방구 수와 크기가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 지질 수치 역시 개선 효과를 보였는데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혈청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모두 증가하였다. 간 조직 내 지질합성 및 지방산 침투와 관련 유전자 인자에서 대조군보다 SREBP-1c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백미군, 혼합잡곡군 및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ACC 및 FAS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혼합잡곡군과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SCD-1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감소하였다. CD36 및 $PPAR-{\gamm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 또한 대조군보다 백미군,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감소하였다. 간 내 ${\beta}$산화로 지방축적 억제와 관련된 유전자 인자인 $PPAR-{\alpha}$ 및 CPT-1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대조군보다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증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당식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백미군, 혼합잡곡군 및 항비만혼합잡곡군 모두 지질 대사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항비만혼합잡곡군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easonal cultivar of salted-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 구경형;최은정;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2-519
    • /
    • 2014
  • 본 연구는 계절별 배추 원료의 최적 절임 조건 및 저장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계절별 절임배추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조사와 이들 특성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계절별(봄배추, 여름배추, 가을배추 및 겨울배추) 절임배추의 pH와 적정산도의 경우 가을배추 시료가 $6.02{\pm}0.04$$0.15{\pm}0.01%$로 다른 계절의 절임배추 시료보다 pH는 약간 높고 적정산도는 약간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월동배추가 $7.76{\pm}0.39%$로 가장 높았고, 염도 함량은 계절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균수의 경우 여름배추가 다른 계절의 배추보다 유의적으로 많은 균수가 있었고 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의 경우 경도(firmness)는 봄배추가 가장 높은 $4.92{\pm}0.06kg_f$였고, 단단한 정도(hardness)는 여름 배추가 $11.71{\pm}0.53kg_f$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절별 절임배추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 경도와 1% 유의수준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었다. 또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은) 전체 데이터의 각각 35.59%와 27.28%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62.87%였다. 주성분 F1은 계절, 밝기,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배추 두께, 총균수와 젖산균 수였고, 주성분 F2는 절임배추의 피크 개수였다.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봄배추, 여름배추 그리고 가을과 월동 배추로 3그룹으로 나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계절별 절임배추의 경우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품질 균일화와 고품질의 절임배추를 연중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계절별 배추의 품질 특성과 절임 적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임산물 가공품 개발을 위한 인식 및 구매 행동 조사 (Style for the Consumer's Awareness and Purchase Behavior about the Forest Product)

  • 이은영;여가은;이지오;전유화;조미숙;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는 임산물 가공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 행동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여 정읍시 임산물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정읍시 현지 관광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23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이 구매경험이 있는 지역 특산 가공품 중 식품은 주로 차류, 즙/진액/원액, 주류, 과자류, 청/효소/당절임 순으로 나타났으며 테라피는 비누, 아로마오일, 로션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관광지 지역 특산물 판매장에서 구입하였으며 구매 비용은 10,000원 이상 30,000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구매 용도는 직접 사용과 선물용이 많았으며 구매 상품의 만족도는 만족하는 경우가 56.8%로 품질이 좋음, 선물하기 좋음, 건강 기능성이 좋기 때문에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물 11종을 제시한 문항에서는 조사 대상자들은 복분자, 도라지, 야생화, 더덕, 고사리, 두릅, 마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 중 복분자와 야생화를 정읍시 대표 임산물로 인지하고 있었다. 식품과 테라피 제품 선택 속성에 따른 군집을 분석하여 타겟 소비자를 모색하였다. 임산물 가공품에 대해 관심이 있고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중시하는 집단이 임산물의 가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추후 상품 개발 시 임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임산물 가공품의 가치를 높여야 하겠다.

포장 소재에 따른 전자레인지 가열 조리 패턴 조사 (Investigation on the Heating Patterns Depending on the Packaging Materials During Microwave Cooking)

  • 이화신;조아름;문상권;윤찬석;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4
    • /
    • 2015
  • 전자레인지 가열용 제품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불균일한 가열이 일어남에 따라 포장재의 특정 부위에 열 변형이 발생하여 전자레인지 포장 소재에 따른 가열조리 패턴을 조사하였다. 전자레인지 가열용 포장재의 내면으로 이용되는 CPP의 grade에 따른 인장강도, 내열성 및 신장률을 비교하였다. High retortable CPP는 일반 CPP 재질과 비교하여 강한 열 접착강도 및 내열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다. 국외 및 국내 CPP 제품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은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160^{\circ}C$ 정도 수준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소스의 높은 점도와 염분을 함유하는 hot spicy 제품에서는 전자파의 침투가 원활하지 못하여 전자레인지 조리 시 내용물의 균일한 가열이 어려워 국지적 또는 액위선 부위에 포장재의 열 변형이 관찰되었다. G-PET/PET/PET/CPP와 G-PET/PET/NY/CPP로 구성된 포장재를 레토르트 처리했을 때와 레토르트 후 전자레인지 가열 처리하였을 때 상태변화 및 합지강도에 대한 분석결과 합지강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레토르트 처리 후 CPP 층의 변형이 관찰되었다. $TiO_2$가 포함된 유백 파우치와 투명 파우치의 열 변형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는 $TiO_2$가 포함된 포장재의 열 변형이 더 심하였고, 알루미늄 호일을 부착한 후 전자레인지 가열하였을 때에는 액위선에서 열 변형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바닥면에서 열 변형이 관찰되었다. 제품의 내면인 CPP 층의 개질/개선을 통한 내열안정성 확보 및 포장재의 전자파 투과-반사능을 조절하여 포장 내 전자파의 집중을 방지하는 등의 기술 도입 가능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홍삼 비사포닌 분획의 단핵세포 분화와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 (Non-saponin fraction of red ginseng inhibits monocyte-to-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vitro)

  • 강보빈;김채영;황지수;최현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0-8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홍삼 비사포닌 분획(NSF)의 항 염증 효과를 마우스 대식세포와 인간유래 단핵세포에서 확인하였다. NSF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 iNOS 그리고 COX-2의 양 뿐만 아니라 IL-6, $TNF-{\alpha}$, MCP-1과 같은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인간 유래 단핵세포에서는 PMA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분화인자인 $CD11{\beta}$와 CD36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염증성 싸이토카인들의 생성량 또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NSF의 항 염증 효과는 두 전사인자의 조절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즉 NSF는 $NF-{\kappa}B$의 핵으로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사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싸이토카인들의 발현을 저해하고 이와 반대로 Nrf2의 발현과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소이면서 항 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HO-1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NSF는 $NF-{\kappa}B$와 Nrf2의 두 가지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함으로써 항 염증 작용을 나타냈으며 이를 홍삼 NSF의 항 염증 기작으로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