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ar uptak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Evaluation of Foliar Uptake of Eight Fungicides Using a New Measuring Tool, Congo Red Method

  • Yu, Ju-Hyun;Lim, He-Kyoung;Cho, Kwang-Yun;Kim, Jeong-H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27-31
    • /
    • 2001
  • Using a new evaluation method, Congo red method, the foliar uptakes of eight fungicides were measured. Among the fungicides tested, fenarimol, myclobutanil, edifenphos, isoprothiolane, and tricyclazole were found to be penetrable (11.0~42.8%), and were continuously absorbed into the leaf regardless of their formulation types. Procymidone, dimethomorpb, and ethaboxan were seldomly absorbed into plant leaf. The uptakes of dimethomorph and ethaboxam were facilitated (18.1~22.7%) in the presence of Koremul-OE-20, as an activator, showing plateau phase at 12h after application. Foliar uptake of fenarimol and myclobutanil into cucumber plant by spray application was larger than that by dropping application, while observed opposite in the cases of dimethomorph and ethaboxam containing activator. Congo red method in conjunction with spraying application used in the present study produced the clear results on foliar uptake of fungicides and therefore proved to be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dropping application of pesticide has been used.

  • PDF

Fatty Alcohol Ethoxylate에 의해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성 영향 인자 (Factors Influencing the Foliar Uptake of Dimethomorph into Cucumber Induced by Fatty Alcohol Ethoxylate)

  • 유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8-126
    • /
    • 2008
  • 침투성 증진을 목적으로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dimethomorph 제제를 살포하였을 때 오이 엽면 침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비교 평가함으로써 실용적인 견지에서 각 요인을 고려한 dimethomorph의 제제와 이의 사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험한 모든 환경요인과 식물요인 중 dimethomorph의 침투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제를 살포한 후의 온도와, 오이 재배시 채광량과 습도 등의 인자를 반영하는 오이 잎의 왁스량이었다. 약제 살포 후 채광이 양호한 경우 침투성이 증가하였으며, 수화제나 친수기 polyoxyethylene의 길이가 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아세톤 수용액과 같은 가용화 제제가 습도 변화에 안전하였다. 오이 품종에 따른 dimethomorph의 엽면 침투성 변화는 그리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침투성이 증진된 dimethomorph 제제는 polyoxyethylene의 길이가 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화제가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제는 살포 후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고, 너무 강한 햇빛을 피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 사용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liar Colonization and Growth Promotion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by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 Lee, Min-Kyoung;Chauhan, Puneet Singh;Yim, Woo-Jong;Lee, Gyeong-Ja;Kim, Young-Sang;Park, Kee-Woong;Sa, Tong-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120-125
    • /
    • 2011
  • In order to exploit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as of plant growth promoting agent, different inoculation methods have been evaluat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soil, foliar, and soil+foliar inoculations of M. oryzae CBMB20 to improve the growth, fruit yield, and nutrient uptake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population range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tagged M. oryzae CBMB20 using the three inoculation methods was 2.5-2.9 ${\log}_{10}$ cfu/g in the rhizosphere and 4.5-6.0 ${\log}_{10}$ cfu/g in the phyllosphere of red pepper plants.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results confirmed the colonization of M. oryzae CBMB20 endophytically on leaf surface. Plant height, fruit dry weight, and total biom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p{\leq}0.05$) in all M. oryzae CBMB20 inoculation methods as compared to non-inoculated control. Furthermore, uptake of mineral nutrients such as N, P, K, Ca, and Mg in red pepper plants in all M. oryzae CBMB20 inoculation methods was higher than in non-inoculated control. Comparative results of inoculation methods clearly demonstrated that soil+foliar inoculation of M. oryzae CBMB20 lead to the highest biomass accumulation and nutrient uptake which may be due to its efficient colonization in the red pepper rhizosphere and phyllosphere.

Zn Acquisition by Extraradical Hyphae in Arbuscular Mycorrhizal Plant Depending on Zn Nutritional Status of Cucumber(Cucumis sativus cv. Baekdadagi)

  • Lee, Yun-Jeong;Kim, Tae-W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1-196
    • /
    • 2004
  • The contribution of plant nutrition status in arbuscular mycorrhizal (AM) plant to the nutrient acquisition by extraradical hyphae of AM fungi was investigated using cucumber colonized with Glomus intraradicies (BEG 110) focusing on the Zn. Compartmentalized pots with separated Bones for hyphal growth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extraradical AM hyphae to Zn uptake from hyphal zones. $0.5\;{\mu}M$ Zn was supplied into the hyphal zones as nutrient solution (10 mL/day) with a form of $ZnSO_4$. Zn foliar application was made two times for one week before harvest (8 mL/plant). The colonization rate by AM were high in all of Zn treatments. The dry weight of cucumber increased by AM colonization compared to those of non-mycorrhizal counterpart. However: Zn foliar application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weight between mycorrhizal- and non-mycorrhizal plant. In addition, the enhancement of Zn content in cucumber shoot by AM colonization were also reduced by Zn foliar appl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ost plant and AM fungus for nutrient uptake might be related to plant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contents. In consequence, higher Zn contents in host plant by foliar application of Zn could restrict the role of extraradical hyphae of AM fungus on the Zn acquisition and transfer from fungus to host plant.

KNF-1002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 증진에 의한 보리 흰가루병 방제 효과 (Fungicidal Activity Enhancement of KNF-1002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by Facilitating Foliar Uptake and Deposition)

  • 유주현;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2-279
    • /
    • 2010
  • KNF-1002는 strobilurin계 합성 살균 활성물질로 여러 가지 식물병에 대하여 예방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작물의 경엽 침투성이 매우 약하여 보랴 흰가루병 등에 대한 치료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ngo Red 방법을 이용하여 KNF-1002의 보리와 밀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을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물질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증진된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KNF-1002를 100 mg/L 함유하는 acetone 수용액으로 보리 잎에 분무하였을 때 24시간 동안 유효성분의 0.1%가 침투하였지만, heptaethylene glycol monooctadecenyl cther(OE-7), dodccacthylene glycol monohexadecyl ethcr(CE-12) 등의 계명활성제를 500 mg/L 첨가하였을 때는 침투율이 최고 48.5%까지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KNF-1002 분무용 용액은 밀에 대해서도 침투성과 부착성을 매우 증진하였으며, 그 효과는 polyoxyethylene계 계면활성제의 지방족 알콜의 종류와 ethylene oxide 부가몰수에 따라 달랐다. 침투성과 부착량을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보조제로써 nonacthylene glycol monododccyl ether(LE-9)틀 함유하는 KNF-1002 제제는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뚜렷하게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zoxystrobin과 Kresoxim-methyl의 오이 엽면 침투성과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 (Effect of Foliar Uptake of Azoxystrobin and Kresoxim-methyl on Fungicidal Activity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 유주현;최경자;김흥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08-113
    • /
    • 2008
  • Azoxystrobin과 kresoxim-methyl의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오이 잎에서 유효성분의 침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선발하고 이를 함유하는 제제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수화제 현탁액으로 살포한 azoxystrobin은 오이 잎에 거의 침투되지 않았으나 polyoxyethylene monohexadecyl ether(CE-12, 에틸렌옥사이드 12몰 중합물)를 500 mg/l 첨가함으로써 침투성이 분무 24시간 후에 25.7%까지 증가하였다. 수화성 입제를 물에 희석하여 100 mg/l의 농도로 처리한 kresoxim-methyl은 4.1%만이 오이잎에 침투되었지만 polyoxyethylene monooctadecyl ether(에틸렌옥사이드 14몰 중합물)를 1,000 mg/l 첨가하였을 때 침투율이 58.0%까지 증가하였따. 계면활성제 CE-12(500 mg/l)에 의한 오이 엽면 침투율은 같은 유효성분 농도(50 mg/l)에서 kresoximmethyl이 azoxystrobin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침투성 증진용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azoxystrobin 수화제 현탁액은 수화제 처리 대조구보다 온실 내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증가시켰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므로 azoxystrobin의 경우에는 침투성 증진이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은 아니었다. 반면에 kresoxim-methyl은 유효성분의 높은 증기압 때문에 동절기 말폐된 온실 내에서는 침투성 증진에 따른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 변화를 측정할 수 없었다.

계면활성제가 살균제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성과 오이 노균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lnfluence of Surfactants on Foliar Uptake of Dimethomorph into Cucumber Plant and Fungicidal Activity to Cucumber Downy Mildew)

  • 최경자;임희경;김정한;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09-115
    • /
    • 2001
  • 살균제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이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dimethomorph의 약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Congo red를 추적물질로 사용한 엽면 침투율 측정법으로 6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을 측정하고, 증진된 dimethomorph의 엽면 침투율에 따른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아세톤 수용액(20%)에 녹인 dimethomorph 수화제는 250 ${\mu}g/ml$의 농도에서 오이 잎에 거의 침투되지 않았으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치료 효과도 거의 없거나 미약하였다. 반면에 dimethomorph 수화제 현탁액에 아세톤 20%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000 ${\mu}g/ml$첨가하였을 때 최고 59.7%의 엽면 침투율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치료 효과도 침투율에 비례하여 증진되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 polyoxyethylene cetyl ether를 함유하는 시험용 dimethomorph 분산성 액제는 계면활성제 함량이 증가할수록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과 오이 노균병 치료 효과가 증진되었으나, 예방 효과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dimethomorph와 polyoxyethylene cetyl ether가 1 : 2(w/w)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도 희석 배율이 증가할수록 엽면 침투율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dimethomorph 분산성 액제 중에 침투성 증진 효과가 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그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유지하면서 치료 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Thifluzamide 제제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 증진이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Enhancement of Foliar Uptake and Leaf Deposit of Thifluzamide Formulation and Fungicidal Activity Against Rice Sheath Blight)

  • 유주현;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1
  • 벼의 줄기에 주로 발생하는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thifluzamide의 방제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벼 경엽을 통한 thifluzamide의 침투성을 강화하거나 벼 부착량을 증진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선발하고 이를 함유하는 제제의 병 방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화제 현탁액에 dodecaethylene glycol monohexadecyl ether를 첨가함으로써 벼 잎에 대한 thifluzamide의 침투성을 증진할 수 있었으나 병 예방효과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수화제 현탁액에 첨가하였을 때 유효성분 부착량이 약 5배 증대되었으나 잎집무늬마름병 예방효과는 약간 증가하여 $EC_{50}$가 5.8 mg $L^{-1}$에서 각각 4.4 mg $L^{-1}$와 3.4 mg $L^{-1}$로 감소하였다.

Fatty Alcohol Ethoxylate에 의해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 기작 (Mechanism of Action of Fatty Alcohol Ethoxylate on Foliar Penetration of Dimethomorph into Cucumber)

  • 유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7-133
    • /
    • 2008
  • 침투성 증진 물질로 fatty alcohol ethoxylate(FAE) 혹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dimethomorph 수용액을 오이 잎에 분무 살포하여 침투율을 측정하고, FAE의 각기 다른 분자내 친수기와 친유기의 구성에 따른 dimethomorph의 침투율을 조사함으로써 FAE에 의해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침투 기작을 추론하였다. Polyoxyethylene mono-9-octadecenyl ether(ethylene oxide 부가몰수 6 몰, $C_{18=9}E_6$)에 의해 유도된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량은 분무액 중의 $C_{18=9}E_6$의 농도와 dimethomorph농도에 비례하였다. 따라서 FAE의 엽면 침투와 그로 인하여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침투성은 잎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일어나는 단순한 확산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몰농도로 첨가된 지방산 에스테르와 FAE를 이용한 실험에서 dimethomorph의 오이 잎 침투성 증진에는 친유기로 octadecanol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여기에 부가된 친수기 polyoxyethylene은 ethylene oxide(EO) 부가몰수가 20 몰까지 증가할수록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FAE 계면활성제의 친유기는 dimethomorph의 확산 침투가 용이해지도록 주로 오이 잎의 cuticular wax의 이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20 몰 이하의 EO가 부가된 친수기 Polyoxyethylene은 FAE의 몰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FAE 자체의 확산 침투 속도를 늦추고 cuticular membrane 내에 오래 머물게 함으로써 dimethomorph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친유기에 의해 변화된 cuticular wax의 이화학성을 오래 동안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DC.)를 이용한 Bentazon의 생물학적 분해 (Bioremediation Bentazon using Minari(Oenanthe stolonifera DC.) Plant.)

  • 신중두;이명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7-211
    • /
    • 1997
  • Bentazon의 잔류를 제거하기 위한 미나리의 생물학적 정화능력을 검정코자 $^{14}C-Bentazon$의 흡수(uptake)와 이행(translocation), 그리고 분해(metabolism) 실험을 통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잎에 처리한지 2일 후에 있어서 $^{14}C$의 21%가 처리된 잎에서 관측되었고, 66%는 잎 표면을 물로 세척한 곳에 잔류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13%는 epicuticular wax층에서 발견되었다. Bentazon을 처리한 잎으로부터 $^{14}C$의 79%가 검출되었으며, 뿌리에는 9%만이 검출되어 잎으로부터 뿌리로의 이행은 매우 적었다. 처리한 2일후에 $^{14}C$의 methanol 추출물 분석에서 잎에 처리된 제초제의 60% 이상이 모든 식물체 부위에서 분해되었다. 본 실험에서 발견된 주요 bentazon의 분해물(Metabolites)은 bentazon이나 6-hydroxy 혹은 8-hydroxy bentazon 보다 덜 이온화(Polar)된 알려지지 않은 신 물질(unknown compound)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