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in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4초

Exhausted Medium에 의한 각막상피 세포의 세포고사 유도 (Apoptosis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Exhausted Medium)

  • 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3-87
    • /
    • 2000
  • 본 연구는 각막상피가 저절로 탈락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람의 각막상피 세포를 배양하여 배지의 영양이 고갈될 때까지 약 7일 정도 배지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 배양하여 세포고사를 조사하였다. 영양이 고갈된 배지인 Exhausted Medium을 여과하여 새로운 각막 상피세포에 넣어 2일 정도 배양을 계속하였다. Exhausted Medium에서 배양된 세포를 수확하여 세포고사를 검정하기 위해 Agarose gel electrophoresis로 DNA 단편을 확인하고 세포고사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인 M30 $CytoDEATH^*$. Fluorescein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Exhausted Medium에 의한 세포고사의 유발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사이토카인에 의한 유도인자 중 가장 많이 알려진 FAS나 FAS Ligand에 의한 유발여부를 soluble FAS and FAS Ligand에 대한 sandwich ELISA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인 DNA Ladder패턴을 보였으며 M30 $CytoDEATH^*$. Fluorescein에도 선명하게 염색되어 세포고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oluble FAS and FAS Ligand ELISA Kit로 Exhausted Medium이 FAS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거의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부족상태의 배지는 각막상피 세포가 세포고사를 거쳐 소모되는데 FAS and FAS Ligand system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y of Alginate Beads Immobilizing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 강미경;김진철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79-83
    • /
    • 2010
  •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알지네이트와 P(NIPAM-co-DMAEMA)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P(NIPAM-co-DMAEMA)로 코팅된 알지네이트 비드와 P(NIPAM-co-DMAEMA)을 함유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P(NIPAM-co-DMAEMA)은 자유 라디칼 반응으로 제조하였고 핵자기 공명분광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드의 온도 민감성 방출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모델시약으로 blue dextran과 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을 사용하였다. 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로부터의 방출 정도는 온도 의존성이 낮았고, 방출모델시약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더 높았다.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Dual-Vector System II in Creating a Reliable Phage-Displayed Combinatorial Fab Library

  • Song, Suk-yoon;Hur, Byung-ung;Lee, Kyung-woo;Choi, Hyo-jung;Kim, Sung-soo;Kang, Goo;Cha, Sa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3호
    • /
    • pp.313-319
    • /
    • 2009
  • The dual-vector system-II (DVS-II), which allows efficient display of Fab antibodies on phage,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but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 a phage-displayed antibody library has not been verified. To resolve this issue, we created two small combinatorial human Fab antibody libraries using the DVS-II, and isolation of target-specific antibodies was attempted. Biopanning of one antibody library, termed DVFAB-1L library, which has a $1.3{\times}10^7$ combinatorial antibody complexity, against fluorescein-BSA resulted in successful isolation of human Fab clones specific for the antigen despite the presence of only a single light chain in the library. By using the unique feature of the DVS-II, an antibody library of a larger size, named DVFAB-131L, which has a $1.5{\times}10^9$ combinatorial antibody complexity, was also generated in a rapid manner by combining $1.3{\times}10^7$ heavy chains and 131 light chains and more diverse anti-fluorescein-BSA Fab antibody clones were successfully obtain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VS-II can be applied readily in creating phage-displayed antibody libraries with much less effort, and target-specific antibody clones can be isolated reliably via light chain promiscuity of antibody molecules.

대두(Glycine max L.) 현탁배양 세포와 원형질체 내로의 외부 Calmodulin의 도입 (Introduction of Calmodulin into Suspension-Cultured Cells and Protoplasts of Soybean (Glycine max L.))

  • Hyun Sook CHAE;Kyu Chung HUR;In Sun YOON;Bin G. KANG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63-367
    • /
    • 1994
  • 식물 세포의 신호전달 기작에 있어 calmodulin (CaM)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외부기원의 CaM을 식물 세포 내로 주입하였다. 이를 위하여 bovine testis로부터 CaM을 분리, 정제하여 SDS-PAGE상에서 순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세포 내로 주입한 후 실제 주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제된 CaM을 미리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로 표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FITC-CaM complex의 농도에 따른 fluorescent intensity를 측정하여 주입된 CaM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대두 현탁 배양 세포를 saponin (0.1 mg/mL)이 포함된 배지에서 15분간 배양하여 permeabilization시키고,FITC-CaM (1mg/mL)을 30분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조사했을 때 세포질에서 강한 형광이 나타났으며, 이 결과로 외부의 calmodulin이 세포 내로 주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두 현탁 배양 세포에 3가지의 세포벽 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원형질체를 분리하였고, 이 원형질체를 FITC-CaM이 들어있는 완충용액에 넣고 electroporation 하였을때 capacitance와 field strength가 증가할수록 원형질체의 생존률은 감소하였으나, 세포 내의 fluorescent intensity는 증가하였다. 이것은 외부의 calmodulin이 electroporation에 의해 대두의 원형질체 내로 도입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PDF

플루오레세인 유도체를 갖는 잔틴계 염료의 형광안료 제조로의 응용 및 제조된 안료의 광학 특성 분석 (Application of Xanthene Dyes with Fluorescein-Derived Structures for Production of Fluorescent Pigments, and The Analysis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igments)

  • 배수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3-316
    • /
    • 2018
  • 플루오레세인 구조를 갖는 잔틴계 염료의 형광안료로의 응용 가능성 및 제조되는 안료들의 광학 특성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료 제조에는 수용성 잔틴계 염료인 eosin Y (D&C Red No.22), phloxine B (D&C Red No.28)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염료를 용매에 용해시켜 분체와 분산, 교반하고 이를 건조시켜 분쇄함으로써 안료를 제조 하였고, 제조된 안료들에 대해서는 형광과 관련한 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사용한 용매의 종류, 염료의 함량, 그리고 염료의 혼합 투입 비율에 따라서 안료의 광학적 특성이 변함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분체에 흡착된 염료 중 일부분이 형광 발색을 하며, 나머지는 형광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안료를 구성하는 분체-염료 계 내부의 결합 (혹은 상호작용) 세기와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안료 수세실험 결과, 안료 계 내에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그 중 하나는 용매-염료 상호작용보다 비교적 강하였다.

Pluronic F127을 함유하는 Poly(ε-caprolacton)/ethyl cellulose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s and Release Property of Poly(ε-caprolacton)/ethyl cellulose Microcapsule Containing Pluronic F127)

  • 홍연지;김진철
    • 공업화학
    • /
    • 제20권6호
    • /
    • pp.632-637
    • /
    • 2009
  • Pluronic F127을 함유한 poly(${\varepsilon}-caprolacton$) / ethyl cellulose (PCL/EC) 마이크로 캡슐을 분무건조법으로 제조하였다. 20% (w/v)의 pluronic F127 수용액을 수상으로, 5% (w/w)의 PCL/EC이 녹아있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유기상으로 이용하여 water-in-oil (W/O)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얻어낼 수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과 입도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수 마이크로부터 수십 마이크로 크기의 마이크로 캡슐이 형성을 확인되었다. 시차주사열량측정기로 마이크로 캡슐의 상전이 온도를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 캡슐 제조 시 사용된 고분자들의 상전이 온도가 관찰되었다. 마이크로 캡슐의 온도 의존적 방출 특성은 $30{\sim}45^{\circ}C$에서 관찰하였으며, 수용성 염료인 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 (FITC-dextran)과 blue dextran을 방출모델시약으로 하였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마이크로 캡슐로부터 방출되는 양이 증가하였으며, 방출모델시약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더 많이 방출되었다.

광섬유 소산장을 이용한 식중독균 신속검출용 형광면역센서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for foodborn pathogens using an optical evanescent field)

  • 염세혁;박창섭;김도억;김규진;강병호;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1-448
    • /
    • 2007
  • In this study,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was designed to detect foodborne pathogens. The fabricated system is composed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on which antibodies are immobilized. Then, a sandwich immunoassay is applied to the fabricated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In the "sandwich" binding format, a primary or "capture" antibody is immobilized on the core surface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and a secondary or named as "tracer" antibody is added to the bulk solution. A tracer is labeled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lambda}ex$=492 nm, ${\lambda}em$= 520 nm).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ntigens are tested in different fibers. The detection limit of the fabricated system is 5.08×103 cfu/ml for Vibrio antigen and $0.1{\mu}g/ml$, $0.05{\mu}g/ml$ in non-labeled monolayer phosphate buffered saline (NMP), non-labeled monolayer carbonate bicarbonate buffer (NMC), respectively.

Tumoral Accumulation of Long-Circulating, Self-Assembled Nanoparticles and Its Visualization by Gamma Scintigraphy

  • Cho, Yong-Woo;Kim, Yoo-Shin;Kim, In-San;Park, Rang-Woon;Oh, Seung-Jun;Moon, Dae-Hyuk;Kim, Sang-Yoon;Kwon, Ick-Cha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5-20
    • /
    • 2008
  • The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is used extensively for the passive targeting of many macromolecular drugs for tumors. Indeed, the EPR concept has been a gold standard in polymeric anticancer drug delivery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umoral distribution of self-assembled nanoparticles based on the EPR effect using fluorescein and radio-labeled nanoparticles. Self-assembled nanoparticles were prepared from amphiphilic chitosan derivatives, and their tissue distribution was examined in tumor-bearing mice.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was controlled to be 330 run, which is a size suited for opening between the defective endothelial cells in tumors. The long-circulating polymer nanoparticles were allowed to gradually accumulate in the tumors for 11 days. The amount of nanoparticles accumulated in the tumors was remarkably augmented from 3.4%ID/g tissue at 1 day to 25.9%ID/g tissue at 11 days after i.v. administration. The self-assembled nanoparticles were sustained at a high level throughout the 14 day experimental period, indicating their long systemic retention in the blood circulation. The ${\gamma}$-images provided clear evidence of selective tumor localization of the $^{131}I$-labeled nanoparticles. Confocal microscopy revealed the fluorescein-labeled nanoparticles to be preferentially localized in the perivascular regions, suggesting their extravasation to the tumors through the hyperpermeable angiogenic tumor vasculature. This highly selective tumoral accumulation of nanoparticles was attributed to the leakiness of the blood vessels in the tumors and their long residence time in the blood circulation.

광섬유 소산파를 이용한 면역 센서 제조 및 그 특성 (Fabrication of fiber-optic evanescent wave immunosensor and its measuring characteristics)

  • 최기봉;윤희주;차승희;최정도
    • 센서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356-361
    • /
    • 1997
  • 광섬유 소산파 센서(fiber-optic evanescent wave sensor)를 제작하였다. 클래드층을 제거한 광섬유 코아 표면에 anti-mouse immunoglobulin G(IgG)를 결합시키고, 형광이 표지된 mouse IgG와의 반응을 직접적인 방법과 경쟁적인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직접적인 방법과 경쟁적인 방법 모두 $1{\mu}g/m{\ell}$이하의 mouse IgG를 측정할 수 있는 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Anti-mouse IgG는 단순 흡착 방법에 의하여 광섬유 코아 표면의 93.9%에 고정되었고 비특이적 결합반응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한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 BSA)을 이용한 표면 코팅 효과는 없었다. Mouse IgG에 결합된 fluorescein의 비율이 높을수록 형광 발생량이 많았으나 관계는 직선적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광섬유 소산파 센서는 $1{\mu}g/m{\ell}$ 이하의 항원 항체 반응을 소산파 여기에 의한 형광량으로 측정할 수 있어 면역센서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이식형 단백질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알부민의 방출 거동 (Synthesis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b-poly($\varepsilon$-caprolactone) Diblock Copolymers and Release Behavior of Albumin for Implantable Protein Carriers)

  • 서광수;전세강;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2-238
    • /
    • 2004
  • 약물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MPEG, methoxypolyethylene glycol)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카프로탁톤 ($\varepsilon$-CL, $\varepsilon$-caprolactone)으로 구성된 MPEG-PCL 블록 공중합체를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의 결정성과 열적특성은 X선 굴절계와 시사주차열량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단백질로서 알부민 (FITC-BSA, albumin bovine-fluorescein isothiocyanate)과 블록 공중합체를 동결 제분 후, 직접압축 성형방법에 의해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은 pH 7.4 인산염완충액을 사용하여 37$^{\circ}C$에서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웨이퍼의 형태학적 관찰은 디지털 카메라와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 속도와 초기 burst는 MPEG-PCL 블록 공중합체의 분절 내에서 폴리(에틸렌 글리롤)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또한 폴리카프로락톤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많은 초기방출과 단축된 방출기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