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risk map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 Caused by landslide and Its Minimization Using GIS-The Case Study in the Samwhadong, Donghae city, Kangwondo, Korea

  • Kang, Sang-Hyu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93-499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disaster control due to flood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Samwhadong, Donghae city, Kangwondo, broken out at 31, August 2002. In order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 one must consider social and geological conditions, the factors of flood risk were derived based on GIS.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flood hazard map was prepared for local residents. These information will support refuge activities, it would aid the reduction of flood damage.

  • PDF

공간정보기반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 (Flood Risk Mapping using 3D Virtual Reality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송영선;이필석;유연;김기홍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7-104
    • /
    • 2012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해 홍수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비구조적 방법이 있으며, 홍수위험지도의 제작과 활용은 비구조적 방법 중 하나이다. 홍수 위험지도는 홍수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발생 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지도상에 나타낸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홍수위험지도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고 정보의 직관성을 개선하고자 공간정보기반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제작하고,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디지털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시대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위험지도는 그 활용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홍수위험도에 의한 구호시설물의 입지분배 (Allocation of Rescue Facilities Based on Flood Risk Map)

  • 하성룡;김선우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요약문
    • /
    • pp.85-90
    • /
    • 1999
  • 최근 홍수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재해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홍수위험도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재대책의 수립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과거 홍수피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홍수위해성과 홍수위험성을 분석하여 홍수위해도(Flood Hazard Map)와 홍수위험도(Flood Risk Map)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현 방재계획에서 설정되어 있는 구호시설물의 서비스 지역을 분석하고, 구호시설물의 최적의 입지를 제시하였다.

  • PDF

하천제방 붕괴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홍수위험지도 개발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Flood Risk Map Considering Uncertainty of Levee Break)

  • 남명준;이재영;이창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25-13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나리오에 의해 발생한 제방붕괴에서 불확실성을 포함한 확률홍수위험지도를 산정하였다. 불확실성을 포함한 극치수문시나리오와 그에 따른 홍수위가 산정된 선행연구자료를 활용하였고 이에 따라 제방붕괴 예측지점을 산정하였다. 단순한 조건에 따른 일률적인 파제폭을 제시하는 경험식과 지반공학적 복합요소들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물리적 기반의 수치모의 방식을 결합하여 파제폭을 산정하였다. 이에 따라 확률론적 파제유입량을 결정하였고, 신뢰도를 기반으로 100회 모의수행을 통한 2차원 제내지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확률침수심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홍수위험지도 작성기법을 기반으로 확률침수심도와 결합하여 확률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제내지의 비상대처계획(EAP)의 정량적 근거자료로 보다 경제적, 안정적인 설계지표 제시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Pre-resilience Group Activities Against a Forthcoming Big Flood Disaster in Tokyo Below-Sea-Level Area

  • Ichiko, Taro;Kato, Takaarki;Ishikawa, Kinj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8
    • /
    • 2011
  • In April 2010, Japan Cabinet Office has published the first countermeasure report for severe flood disasters. This report showed various flood-disaster scenarios and factors that widened damages. One of important suggestions was to transmit precious information for long-distance evacuation. So far, local municipalities have made Flood Hazard Map to inform resident risk and evacuation. In this paper, cognition and effectiveness of a flood hazard map in the down ARAKAWA river Tokyo were measured by social questionnaire survey. In conclusion, there were 3 factors to effect validity of a flood hazard map. There were (1) commitment to their neighborhood organization, (2) experience of Kathleen typhoon in 1947 and (3) level of using targeted river. As results, a logical diagram about a flood hazard map perception was drawn and discussed from a view of community-based approach.

  • PDF

MIKE FLOOD를 이용한 하천 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alyzing Overflow in River)

  • 최계운;변성준;정연중;김영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6-1240
    • /
    • 2006
  • Flooding is an inevitable problem for many cities. The study has depended on a combined approach of physically based modeling and GIS. The stream network is structured by MIKE11 for basis of a network and extended by MIKE21 to make like 2D analysis. This method is called alternative 2D analysis. In this study, one of area in Korea is used to analyze overflow of stream. Flood risk of the area looks like not so big because an elevation of this area is very high and slope is steep, but it is very dangerous area due to the typhoons. The tools to make flood risk map are MIKE11 and MIKE21 include GIS program. And map is expressed 3-D animation with MIKE Animator. As a result of this work, the flood risk map is made. And everyone who is not an expert can check dangerous area for flooding. At present, the method which is viable and easily confirmable must be promote because one of matters of common interest, which is of the general public, is the flood disaster.

  • PDF

FOA를 이용한 홍수범람도 구축에서 불확실성 요소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Uncertainty Sources in Flood Inundation Mapping by using the First Order Approximation Method)

  • 정영훈;박제량;여규동;이승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293-2302
    • /
    • 2013
  • 홍수위험관리에서 홍수범람도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도 구축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정확한 홍수 방재계획 수립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확실성 요소를 제거하거나 개선하여 홍수범람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나, 모든 불확실성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경제적 타당성과 홍수에 대한 지식의 한계 때문에 불가능하며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홍수범람도에 전달되는 불확실성 요소의 영향은 다른 환경변수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변 환경의 조건을 고려한 불확실성 요소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제거해야하거나 개선시켜야할 불확실성 요소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전략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홍수위험관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홍수범람도에 미치는 불확실성 요소의 민감도를 FOA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미국 Indiana주 Columbus시 근처의 Flatrock 강에 적용하여 홍수범람도에 가장 큰 불확실성을 전달하는 요소를 선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하나의 불확실성 요소가 다른 입력변수나 매개변수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홍수범람도에 다르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대상유역의 홍수범람도 구축과정에서 가장 큰 불확실성 요소는 지형자료로 판명되었다.

홍수위험지도를 활용한 치수안전도 방법 개선 및 평가 - 영·섬진강 유역중심으로 -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flood control safety utilizing a flood risk map - Yeong-Seomjin River Basin -)

  • 어규;이성현;임인규;이규원;김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1호
    • /
    • pp.21-33
    • /
    • 2024
  • 최근 기후변화로 영향으로 재해의 양상이 다양화 및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안전한 치수계획을 세우기 위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PFD의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선행연구 대부분 PFD 인자를 수정·보완하거나 인자를 새로 추가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위험성 인자를 내포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를 사용하여 기존의 치수안전도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대상지역인 영·섬진강권역을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은 위험성 요소 및 잠재성 요소 분석, PFD 및 홍수방어수준 분석, 치수안전도 평가로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된 평가방법은 각종 치수안전도 평가 및 치수계획 수립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valuating Flood Risk Area using GIS and RADARSAT Data-A Case Study in Northeast Thailand

  • Mongkolsawat, C.;Thirangoon, P.;Suwanwerakamtorn, R.;Karladee, N.;Paiboonsak, 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9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od risk area by integrating GIS and RADARSAT data. The study area, Northeast Thailand, is subject to floo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main data used in this evaluation included RADARSAT data, landform and topographic map.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overlay operation of flood area in 2001, land form and buffer region beyond the flood areas with the selection criteria defined. Most of the flood risk areas were found in the low lying land form within the buffer region. The cloud penetrating capabilities of SAR is only a source of information for effectively assessment of flood risk area in Northeast Thailand.

  • PDF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 박준형;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85-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