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ed-precision-leve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딸기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s for Tetranychus urticae in Strawberry Greenhouses)

  • 최호정;강주완;정효진;최시라;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27-436
    • /
    • 2017
  • 두 개의 딸기 온실 (농약살포포장, 천적방사포장)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 (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표본추출은 조사구역당 3개엽으로 이루어진 복엽 1줄기를 기준으로 하여 3줄기를 채취하였다. 각 복엽은 Relative net precision (RNP) 값을 비교하기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단위(1엽, 2엽, 3엽)로 나뉘어졌다. RNP 값 결과 1엽 단위가 다른 단위들보다 정확도와 효율적인 면에서 우수했다. 공간분포 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각 딸기 온실별로 계산된 TPL 계수의 동질성검정에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기 위한 TPL 계수는 농약살포포장과 천적방사포장의 딸기 1엽 단위에서 점박이응애 밀도 자료를 합한 뒤 재계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박이응애 발생밀도수준을 3마리와 1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으로 확인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자동화 공정에서 워크스테이션 컨트롤러의 스케줄러 개발

  • 이원배;도성희;박경진;강무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3
    • /
    • 1992
  • As the demands of manufacturing automation is increasing, lots of efforts are devoted to the applications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CIM) concept in manufacturing shop floor. A workstation is a computer which controls differnet machines in the low level of factory(shop floor). A workstation can be utilized efficiently to enhance the coopetative work of machines. A scheduler is a component program in a workstation and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machines according to a fixed plan. A scheme for the scheduler has been developed for selected machines and software has been made. The fixed plan is stored in a schedule file which keeps machine names, communications methods,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s and time for the usages, etc. The scheduler carries out its role by th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file. Although the developed software has some Iimitations,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scheduler can be applied easily to the automation of the low level of factory.

식스시그마 프로젝트 사례에서 혁신효과 분석을 위한 품질척도의 특성 및 적용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s of Quality Metrics for Analyzing Innovation Effects in Six Sigma Projects)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9-176
    • /
    • 2014
  • This research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two types of quality metrics to analyze innovation effects in six sigma projects: fixed specification type and moving specification type. $Z_{st}$, $P_{pk}$ are quality metrics of fixed specification type that are influenced by predetermined specification. In contrast, the quality metrics of moving specification type such as Strictly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SMD), Z-Score, F-Statistic and t-Statistic are independent from predetermined specification. $Z_{st}$ sigma level obtains defective rates of Parts Per Million(PPM) and Defects Per Million Opportunities(DPMO). However, the defective rates between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are incomparable due to their own technological inherence. In order to explore relative method to compare defective rates between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the ratio of specification and natural tolerance called, $P_{pk}$, is used. The drawback of this $P_{pk}$ metric is that it is highly dependent on the specification. The metrics of F-Statistic and t-Statistic identify innovation effect by comparing before-and-after of accuracy and precision. These statistics are not affected by specification, but affected by type of statistical distribution models and sample size. Hence, statistical significance determined by above two statistics cannot give a same conclusion as prac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SSMD and Z-Score are the best quality metrics that are uninfluenced by fixed specification, theoretical distribution model and arbitrary sample size. Those metrics also identify the innovation effects for before-and-after of accuracy and precision. It is beneficial to use SSMD and Z-Score methods along with popular methods of $Z_{st}$ sigma level and $P_{pk}$ that are commonly employed in six sigma projects. The case studies from national six sigma contest from 2011 to 2012 are proposed and analyzed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usage of quality metrics for quality practitioners.

고정 샘플링 주파수에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레벨 선택 알고리즘 (Level Selection Algorithm with Fixed Sampling Frequency for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 김찬기;박창환;김장목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415-423
    • /
    • 2018
  • This study uses a level selection algorithm with fixed sampling frequency for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 systems. Theoretically,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the level infinitely while the sampling time remains the same. The proposed method called cluster stream buffer (CSB) consists of several clusters, wherein each cluster is composed of 32 submodules that depend on the level of the submodules in the MMC system.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MMC system, additional clusters are used, and the sampling time between clusters is determined from the sampling time between levels needed for utilizing the entire level from the MMC system. This method is crucial in the control of MMC-type HVDC systems because it improves scalability and precision.

파프리카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Bemisia tabaci in Paprika Greenhouses)

  • 최원석;박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59-167
    • /
    • 2015
  • 파프리카(Capsicum annuum var. angulosum)의 주요해충인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표본 조사법은 파프리카 온실의 담배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을 위해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시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수집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으로부터 180-220 cm), 중단(지상으로부터 80-120 cm), 하단(지상으로부터 30-70 cm)로 나누어 각 위치별 3개의 파프리카 잎에서 담배가루이 성충, 번데기를 관찰하고 그 총 수를 기록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식물체의 상부에서 움직이고 신초에 주로 산란하며 일정부분이 하단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번데기의 경우 상부에 알을 낳았지만 식물체가 크면서 알을 낳은 잎이 아랫부분이 되고 부화한 유충은 잎 뒤에 고착 상태로 우화까지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단과 하단에서 많이 분포하였다. 공간분포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TPL계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자료를 통합하여 계산된 새 TPL 상수값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담배가루이 성충과 번데기의 방제밀도수준을 2.0마리와 10.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 프로그램으로 평가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복합가공기용 초정밀급 새들 가공을 위한 최적의 고정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optimal Jig & fixture applied to ultra-precision saddle machining)

  • 김병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9-95
    • /
    • 2014
  • The increasing level of demand for multi-tasking machines requires a saddle with an ultra-precise machining accuracy level of $15{\mu}m$, as such a saddle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se machines. The manner of achieving ultra-precise machining accuracy mainly depends on the fixed forces. In this paper, we optimized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and the contact positions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saddle while it is machined.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proposed optimal jig and fixture a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latness, parallelism and perpendicularity of a machined saddle. The machining accuracy is found to be lower than $15{\mu}m$ at all measured points.

감귤원에서 가을철 귤응애 성충의 공간분포와 표본조사 (Spatial Dispersion and Sampling of Adult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McGregor) (Acari: Tetranychidae) in Citrus Orchard in Autumn Season)

  • 송정흡;김수남;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9-34
    • /
    • 2003
  • 귤응애 성충의 표본추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01-2002년)동안 8월부터 11월까지 잎과 열매에 대해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열매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으며, Taylor's power law (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다. 잎(X)과 열매(Y)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는 ln(Y+l)=1.029 ln(X+l)($r^2$=0.80)의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열매가 성숙될수록 잎보다 열매에서 귤응애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잎과 열매의 표본조사에서 TPL이 IPR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으며,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두 표본단위간, 연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착도 0.25일 때 요방제밀도 2.0, 2.5와 3.0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표본추출조사법을 개발하였으며, 조사에 필요한 최대조사나무수(고정표본크기에서 필요 나무수)는 각각 19, 16과 15주였으며, 이 때의 의사결정임 계값 $T_{critical}$은 각각 554,609와 659였다.,609와 659였다.

고추 온실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greenhouse pepper)

  • 엄소은;박태철;손기문;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164-171
    • /
    • 2022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는 500종 이상의 기주를 가지고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를 매개하는 해충이다. 전 세계적으로 방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는 저항성 그리고 환경 및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한계를 보였기 때문에 고정 정확도를 설정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level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고추(Capsicum annuum)의 꽃노랑총채벌레 성충 방제를 위한 표본 조사법은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지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구성되었다. 표본추출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에서 180 cm 이상), 중단(지상에서 120~160 cm 이상), 하단(지상에서 70~110 cm 이상)으로 나누어 각 높이별로 꽃 3개에서 나오는 꽃노랑총채벌레의 성충의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표본 추출을 통해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의 밀도는 다른 식물체 위치(중단, 하단)보다 상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왔다. 공간분포분석에서는 Taylor's power law (TPL)를 통해 도출한 각 위치별 계수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ANCOVA 결과에서 도출된 절편과 기울기의 P 값이 각각 0.94, 0.87인 것을 통해 식물체 내 위치별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자료를 통합(pooling)하여 계산된 TPL 계수를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지선을 구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방제의사결정을 위한 방제밀도 수준(m0)은 문헌을 참조하여 3과 18로 설정하였으며 설정값(m0)을 이용해 최대표본수(Nmax)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m0=3, 18일 때 Nmax값은 각각 약 97개, 1149개로 계산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적합성 검정을 위해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자료를 이용해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rogram (RVSP)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적합한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단계표본추출을 이용한 소결핵병 유병률 추정 (Two-stage Sampling for Estimation of Prevalence of Bovine Tuberculosis)

  • 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2-426
    • /
    • 2011
  • For a national survey in which wide geographic region or an entire country is targeted, multi-stage sampling approach is widely us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simple random sampling, to consider both herd- and anim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occurrence, and to adjust clustering effect of disease in the population in the calculation of sample siz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ample size for estimating bovine tuberculosis (TB) in Korea using stratified two-stage sampling design. The sample size was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le clustering of TB-infected animals on individual herd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the country was stratified into nine provinces (administrative unit) and herd, the primary sampling unit, was considered as a cluster. For all analyses, design effect of 2, between-cluster prevalence of 50% to yield maximum sample size, and mean herd size of 65 were assum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available. Using a two-stage sampling scheme, the number of cattle sampled per herd was 65 cattle, regardless of confidence level, prevalence, and mean herd size examined. Number of clusters to be sampled at a 95% level of confidence was estimated to be 296, 74, 33, 19, 12, and 9 for desired precision of 0.01, 0.02, 0.03, 0.04, 0.05, and 0.06, respectively. Therefore, the total sample size with a 95% confidence level was 172,872, 43,218, 19,224, 10,818, 6,930, and 4,806 for desired precision ranging from 0.01 to 0.06. The sample size was increased with desired precision and design effect.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cattle sampled per herd is fixed ranging from 5 to 40 with a 5-head interval, total sample size with a 95% confidence level was estimated to be 6,480, 10,080, 13,770, 17,280, 20.925, 24,570, 28,350, and 31,680, respectively. The percent increase in total sample size resulting from the use of intra-cluster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 was 22.2, 32.1, 36.3, 39.6, 41.9, 42.9, 42,2, and 44.3%,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e use of coefficient of 0.2.

Zoom FFT를 이용한 정밀 레벨 측정 장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Precise Level Measurement Device using Zoom FFT)

  • 지석준;이준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504-5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FMCW타입의 레이더 레벨 트랜스미터의 송 수신 신호간 주파수 차인 비트 주파수를 이용한 레벨 측정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레벨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 주파수는 FFT(Fast Fourier Transform)과정을 통해 해석되며, 주파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Zoom FFT 기법을 적용하였다. Zoom FFT는 신호 처리 장치의 설계 초기에 결정되는 샘플링 주파수나 샘플링 데이터 수를 변경하지 않고도 주파수 분해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Zoom FFT를 적용함으로써 146.5[mm]이던 거리 분해능을 5[mm]의 거리 분해능으로 크게 개선하였다. 또한, 스플라인 보간법을 활용하여 FFT point 수를 늘임으로써 레벨 측정 오차를 개선할 수 있었다. Zoom FFT를 적용한 거리 측정 방식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mm] 단위로 거리 조정이 가능한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700~2,000[mm]의 거리에서 ${\pm}2$[mm] 이내의 측정 오차로 정밀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