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t preference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7초

노년기 여성의 팬티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제1보) - 전북지역 거주 노년기 여성의 팬티 선호경향 및 구매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Briefs Design Development of the Elderly Women(Part 1) - Focusing on the Elderly Women's Clothing Behavior in Briefs -)

  • 이효진;김주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4호
    • /
    • pp.589-603
    • /
    • 2005
  •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esign of briefs for elderly women, aiming at understanding about the briefs that the elderly women currently wear and helping them draw happiness from wearing clothes. This study, based on the data analyzing the physique of old women that was investigated by the previous study, targeted the elderly women living in Jeonbuk area to conduct the research into their physique, brieff that they pre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women wore size 100 as looking into the size of briefs that elderly women put on and their physique. For the most part, they had relatively thinner waist compared to the belly and buttock. Second, they were found to have preference for briefs with narrow rubber band, and medium sized design that fit their line of buttock, waist and crotch, for reasons of the activity and comfort. Third, they were found to be generally happy with the briefs that they are currently wearing. Fourth, the factors leading elderly women to buy briefs were analyzed to come from the 4 considerations of beautiful appearance/customer service, practicality, economical reason/size and the comfortable feeling when wearing them. Among such factors, the greatest demand among those factors was the comfortable feeling they can have when they wear briefs, followed by the economical reason/size, practicality, beautiful appearance/customer service.

  • PDF

Post-purchase Evaluation on the Maternity Wear on the Current Korean Market by Survey and Wear test

  • Park, Soon-Jee;Lee, Hee-Jung;Suh, Chu-Yeon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3호
    • /
    • pp.15-34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llect a precise information concerning to the preference and evaluations after usage of pregnant Korean woman for the maternity wear bysurvey and wear tests. Through the survey, 212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what type of maternity wear they prefer and what requirements for maternity wear design a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the mostly preferred maternity wear items were pants and one-piece dress. Korean customers for maternity wear usually pay more for the one-piece dress than other items and they also usually put on medium price pants and low-price blouse. Concerning to the purchase criteria, it may be said that design and movability, fit factors are the buying decision criteria of great weight for Korean pregnant women. Special function most desired was thermal insulation, followed by buffer action, electromagnetic shield and quickly water-absorbent and dry property. Preferred maternity wear design details were flat collar, slightly fitted waist and empire style, gather skirt, rubber band waist. Wear test was performed for two kinds of blouse (BL) and one-piece dress (OP), and threekinds of pants (PT), which have different design detail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wear test for ready-to-wear maternity garments, the garment which consider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gnant women body shape earned much higher score no matter of brands or prices. Generally, high-priced national brands received an excellent evaluation in design aspect, but not satisfied with comfort to move.

국내 여성의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추구 및 착용실태 조사 - 20~5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rchasing and Wearing Status of Korean Women's Athleisure Wear Products -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to 50s -)

  • 이종규;임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0-37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aring status and design preferences regarding athleisure wear, focusing on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participating in yoga and fitness activities. A total of 33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survey by setting the same number of samples for each age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exhibited weight control,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maintained their health in relation to exercise. Athleisure wear brands were found to prefer foreign brands over domestic brands. When purchasing athleisure wear, the foremost considerations were material functionality, fit according to body shape, and reasonable prices. The preferred athleisure wear leggings design showed that both middle-aged women and young women preferred nine-piece leggings.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found to purchase and acquire information on athleisure wear online. Hence, the pattern of life is rapidly transition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the market structure of athleisure wear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ward an omni-channel society with a distribution market structure that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mobile technolog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thleisure wear of various functional products that meet the trends according to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 and consumer class.

Features of the Filum Terminale in Tethered Cord Syndrome with Focus on Pathology

  • Sim, Jungbo;Shim, Youngbo;Kim, Kyung Hyun;Kim, Seung-Ki;Lee, Ji Yeo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4호
    • /
    • pp.585-591
    • /
    • 2021
  • Objective : Filum transe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ly performed operative procedure in pediatric neurosurgery. However,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as well as the surgical indication are not well-establish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transection of the filum during the last 10 years in a single institute. Methods : A total of 82 patients underwent transection of the filum during the period. As a general rule, we performed the transection in patients who are symptomatic or have abnormality in the urologic or neuromuscular evaluations. There were exceptions as asymptomatic patients who only fit the definition of thickened filum (width greater than 2.0 mm or conus level below L3 vertebral body) were operated by parent's wish or surgeon's preference according to radiological findings, etc. Results : Seventy-six out of 82 patients had fibrous tissue in the pathologic specimen of filum. Interestingly, patients who had glial cells were more correlated with no preoperative syrinx, and no progression of syrinx even for those who did have syrinx initially. Also, larger percentage of symptomatic patients had peripheral nerve twigs than asymptomatic patients. No difference in conus level or thickness of filum was found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preoperative syrinx. Significantly more patients with syrinx (56%) were chosen to be operated without any symptom or abnormality in study i.e., solely based on radiological findings than those without syrinx (21%). The surgical outcome for syrinx was favorable, as all but one patient had either improved or static syrinx. The exceptional case had increase in size due to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proximal end of the cut filum. Conclusion : This study evaluated the pathological, clinical, radi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underwent transection of the filum. Interesting correlations between 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were found. Excellent outcome regarding preoperative syrinx was also shown.

A Pilo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continence Panty for Senior Wome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15-128
    • /
    • 2022
  • 본 연구는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요실금 증상 및 요실금 제품에 대한 착용실태 및 구매실태, 선호도 등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요실금 패드와 팬티 구입 시 방수기능, 흡수속도 등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요실금 제품의 추가 희망 기능은 샘 방지 기능이 가장 많았고, 선호 색상은 살색이 많았다. 요실금 횟수가 많을 때 흡수기능, 요실금 양이 적을 때는 치수나 맞음새가 중요하였지만, 요실금 양이 많아지면 방수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발생빈도가 높고 요실금 양이 많을 때 샘 방지 기능이 추가되기를 희망하였고, 팬티형 패드를 선호하였다. 분만 횟수가 많을수록 요실금의 양도 많았으며, 요실금 증상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폐경 연령에 따라서도 요실금 양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조기 폐경 시 요실금 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팽화미 제조 공정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Puffed Rice)

  • 천희순;조원일;진창호;백경환;류경헌;임수연;정명수;최준봉;임태환;황금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9
    • /
    • 2015
  • 본 연구는 팽화미를 제조할 때 팽화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의 조건인 건조 온도, 수분함량, 퍼핑 온도를 달리하고, 반응표면분석법과 등고선분석법을 이용하여 팽화미의 최적 제조 조건을 검토한 연구이다. 팽화미 제조에 적합한 국내산 신동진미를 팽화미 원료로 사용했고, 총 27가지 조건($3{\times}3$)에서 팽화미를 제조 후, 관능검사, 조직감, 색도, 밀도, 복원율, 크기 등 총 29개의 반응변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정에서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는 반응변수는 선호도, 색의 강도, 밀도, 복원율, 명도, 응집성이었다. 반응표면분석과 등고선분석 결과, 기호도는 수분 함량, 명도는 수분 함량 및 퍼핑 온도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퍼핑 전과 퍼핑 후의 팽화미를 SEM 촬영을 통해 비교한 결과,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쌀 단면 공극이 더 균일했으며, 기공이 많이 발생했다. 반응변수의 최적범위는 선호도 3.5 이상을 기본조건으로 하여 밀도는 40 이상, 응집성은 0.37부터 0.4까지, 그리고 복원율, 색의 강도, L value는 각각 2.75부터 3.0까지, 2.92 미만, 80.7 이상일 때 유효한 범위를 나타냈다. 팽화미 제조의 최적 공정조건은 건조온도 $40^{\circ}C$, 수분함량 11%, 퍼핑온도 $232.7^{\circ}C$ 이었다. 본 연구는 팽화미 제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며, 팽화미의 최적 조건을 활용하여 제조 시, 전자레인지 및 열수에 복원되는 팽화미의 품질의 향상이 기대된다.

1920-30년대 한국의 이상적 '신여성' 이미지와 패션 (The Ideal Image and Fashion of the 'New Woman'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 이재윤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72-183
    • /
    • 2014
  • The term "new woman" (신여성 [Sinyeoseong], 新女性) refers to an idealized image of contemporary women during the so-called modern period in East Asia. In Korea, these "modern girls" were also referred to as modan (毛斷), or "cut-hair", reflecting changes in appearances that reject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in favor of "the new" in everyday life. Although it was used to refer to the perceived educated leaders of this new period, it also had the negative connotation of referring to frivolous women only interested in the latest fashion. The popular discourse on this "new woman" was constantly changing during this early modern period in East Asia, ranging from male-driven women's movements to women-driven liberal and socialist movements. The discourse often included ideals of what constituted female impeccability in women's domestic roles and enlightened views on housekeeping, yet in most cases the "new woman" was also expected to be a good wife and mother as well as a successful career woman. The concept of the "new woman" was also accompanied by an upheaval in women's social roles and their physical boundaries, and resulted in women repositioning themselves in the new society. The new look was a way of constructing their bodies to fit their new roles, and this again was rapidly reproduced in visual media. Newspapers, magazines, and plays had gained immense popularity by this time and provided visual material for the age with covers, advertisements, and illustrations.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fashion of the "new woman" through archival resources, specifically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will investigate how women's appearances and the images they pursued reflected the ideal image of the "new woman."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trendsetters, and levels of popular acceptance will also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early stage of the fashion industry in East Asia, includ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dditionally, as the idea of the "new woman" was a worldwide phenomenon throughout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e effect of Japanese colonialism on th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and its role as a cultural mediator will also be considered in how the ideal image of beauty was sought, and whether this was a western, colonial, or national preference.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 모델의 타당성 연구 : <해리포터 (Harry Potter)>를 중심으로 (A Validity Study on Brand Identity-based Strategy Model for Culture Content's One Source Multi Use : A Case Study on )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289-313
    • /
    • 2013
  • 브랜드 연구자들은 브랜드 마케팅과 관련된 모든 의사결정은 특정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의 논의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 OSMU는 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며, 모든 OSMU관련 의사결정은 특정 콘텐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성공한 문화콘텐츠이자 막대한 브랜드 가치를 지닌 파워브랜드로 평가되는 <해리포터>를 조사대상으로 선정,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브랜드 자산의 차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해리포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마법, 선악대결, 용기'가 반영된 상품에 대해서 더욱 호감을 느끼며, 품질이 좋은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적인 전달에 초점을 맞춘 OSMU 전략이 문화콘텐츠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모델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해리포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충성도, 지각된 품질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고, 그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가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피드백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이란 지속적인 소비자들의 콘텐츠 관련 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구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OSMU를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지속적인 전달이 정기적으로는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해석의 여지도 남아있는 바,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논의한 최초의 연구이며, 성공 프로젝트를 위한 논의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해리포터>와 같은 문화콘텐츠 파워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생면용에 적합한 밀가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suitable for Wet Noodle)

  • 신은주;김남근;정장호;김효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0-546
    • /
    • 2014
  • 국내 시판되는 각 제분사별 면용밀가루(n=8) 중에서 중력밀가루(AF, n=4)와 고급면용밀가루(PF, n=4)를 일반성분분석과 입도, 반죽특성, Texture analyzer,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함량은 AF, PF가 각각 평균 8.97~9.26%, 8.53~9.06%로 나타났고, 조회분함량은 AF, PF가 각각 0.38~0.40%, 0.35~0.39%로 PF가 단백질함량, 0.20~0.45%, 회분함량, 0.01~0.03%가 AF보다 낮은 결과였다. 국내에서 면용에 주로 이용되는 밀가루의 입도는 $47.5{\sim}56.5{\mu}m$의 범위임을 알 수 있었다. Farinogram의 흡수율은 AF가 57.08~59.70%, PF는 58.00~61.50%의 결과를 보여 PF가 1~2% 높은 흡수율임을 나타냈다. 형성시간은 AF가 1분20초~2분, PF는 5분-8분의 결과로 PF가 약 3분40초~6분 긴 형성시간의 특성을 보였다. 최고점도는 AF가 660~839 BU, PF는 667~983 BU의 범위를 보였다. Texture analyzer 측정값의 견고도, 부착성, 검성 모두 밀가루 종류별 차이보다는 제분사별 차이를 보여 제조공정 조건의 차이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부드러운 정도와 기호도는 PF가 AF보다 좋게 평가되었다. 상관관계의 결과와 같이 회분함량이 낮을수록, 입도가 작을수록, 반죽형성시간이 길수록, 강력도가 높고, 약화도가 작을수록, 부드러움이 좋았으며,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회분함량이 높은 AF(중력밀가루)보다 회분함량이 낮으며 입도가 작은 PF(고급면용밀가루)가 생면용에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가설-연역적 추론 관점에서 본 중학생의 과학적 정보 평가 양상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 이은미;강남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5-383
    • /
    • 2014
  • 이 연구는 대중매체에서 보고되는 과학 관련 정보에 관한 중학생들의 평가 양상을 가설-연역적 추론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과학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중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정보평가 능력 검사지를 사용한 지필 검사와 개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보평가능력 검사지는 6개의 주제에 관해 각 주제별 질문을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제시하였다.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고, 실측한 자료를 식별하여, 정보에서 설명하는 내용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각 단계에 나타난 학생들의 응답 유형과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를 평가하는지 여부 및 정보의 타당성 판단에 사용하는 근거에 대한 신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평가 과정에서 중학생들은 주어진 정보와 개인의 사전 경험 및 지식의 조합에 따른 여러가지 유형을 보였고,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를 평가한 사례는 적게 나타났다. 가설-연역적 추론을 한 학생의 경우 정보 판단에서 과학적 증거를 우선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가설-연역적 추론을 하지 않은 학생은 개인적 경험을 우선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적 소양을 위한 과학 수업 및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며 추후 연구에서 자료의 타당성에 관한 판단을 포함한 학생들의 평가 능력 측정 및 가설-연역적 추론 외 다른 형태의 추론 능력 역시 측정할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