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ing mortalit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표식개체의 실내사육 및 방류효과 (Effects of Stocking and Laboratory Rearing i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Tagging)

  • 강경호;위종환;김광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5
    • /
    • 1996
  • 우리나라 연안성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대상종의 하나인 참전복의 표식 방류효과에 관한 조사는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배양장에서 자체 생산된 참전복의 표지 방법별 효과를 검토하고, 방류효과를 구명함으로서 연안 자원의 증강을 도모 하고자 1994년 11월 10일 부터 1995년 3월 30일까지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전복의 표지 및 표시 방법별 효과는 Al-teco에 의한 표지 부착이 가장 좋았다. 2. 실내 사육에 의한 표지의 탈락 및 폐사율은 각각 $6.7\%$$8.3\%$였고, 표지에 의한 폐사는 없었다. 3. 실내 사육 및 방류한 표지 개체는 실험 개시시 각구 공히 평균각장 및 전중량이 1.0 cm, 0.092 g 이던 것이 실험종료시에는 각각 1.80cm, 0.74 g, 1.68 cm, 0.68 g으로 성장하였다. 4. 재포된 모든 개체의 분포 중심 수심은 2.6m 였다. 재포된 모든 개체의 평균 이동 거리는 2.6m 였다. 6. 어획사망계수, 자연사망계수 및 전사망계수의 추정치는 각각 0.0195, 0.4652, 0.4847였다.

  • PDF

카리브호수 카펜타 자원량 추정을 위한 최대엔트피모델과 분석적 모델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aximum Entropy and Analytical Models for Assessing Kapenta (Limnothrissa miodon) Stock in Lake Kariba)

  • 이타이 텐다우펜유;표희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4호
    • /
    • pp.613-639
    • /
    • 2017
  • 카리브호수의 카펜타 자원량을 추정하기 위해 최대엔트로피(ME)모델과 분석적 모델이 적용된다. ME모델을 이용하여 25,372톤의 최대지속가능 어획량(MSY)과 MSY의 어획노력량인 109,731의 어획일수(fishing nights)를 추정하였는데, 이는 현재 어획노력량 수준이 과잉투자됨으로써 1988년 이후 2009년 현재까지 자원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인 것을 나타낸다. 분석적 모델은 매년의 생물학적 허용 어획량(ABC)과 연간 1.21의 어획사망계수(일반적 어획사망계수인 0.927 보다 큰)를 추정한다. 이 두 모델은 1982년 기준년도의 자원량 추정에 적용할 수 있는 유사한 자원량을 추정한다. ME모델에 의하면 1988년의 최대 자원량(156,047톤)에 대해 1/3수준이하 까지 점점 하락하는 결과를 추정하였는데, 이는 최근의 어획량이 MSY 수준 이하이지만 ABC수준보다 높게 나타나 남획된 것을 암시한다. 다시 말해서, 분석적 모델은 ME모델에서의 MSY보다 더 보수적인 ABC를 제공함으로써, 보수적인 어업관리정책(총허용어획량제도, 어획노력감소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함을 내포하고 있다.

부산 동리어촌계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A Population ecological study of the hen clam(Mactra chinensis) in the Dong-li self-regulatory community of Busan)

  • 박희원;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2호
    • /
    • pp.129-140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hen clam, Mactra chinensis, in the Dong-li self-regulatory community of Busan.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were $SH_{\infty}=86.24mm$, K=0.12/year, and = -1.37year. Survival rate(s) of the hen clam was 0.515.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M) was estimated to be 0.232/year and fishing mortality(F) 0.432/year for hen clam. The current biomass of the hen clam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713mt and the acceptable biological catch(ABC) was estimated under various harvest strategies based on $F_{0.1}$ and $F_{40%}$.

한국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우럭, Mya japonica의 자원생태학적 특성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c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 이선길;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34-243
    • /
    • 2000
  • This paper is to study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o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For describing growth of the clam a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as adopted,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had an additive error structure and the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were SH/sub ∞/=79.83mm, K=0.26, and t/sub 0/= -0.01. Survival rate (S) of the soft-shelled clam was 0.26 (SD=0.02).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was estimated to be 0.78/year and fishing mortality (F) 0.57/year for the soft-shelled clam.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was estimated as 2.69 year.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bottom type were 3.40 inds./m²(SE=0.18) in the sand, 63.4 inds./m²(SE= 0.53) in the muddy sand, and 0 inds./m2 (SE=0) in the gravelly sand.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3 different areas were 4.88 inds./m²(SE=0.09), 2.61 inds./m²(SE=0.13), 7.20 inds./m²(SE=0.18),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of the clam were estimated as 131mt, 121mt, 665mt, respectively. An yield-per-recruit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yield-per-recruit of about 8.30g with F=0.57/yea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2.69 year, was lower than the maximum possible yield-per-recruit of 9.60g. Fixing to at the current level and increased fishing intensity (F) could produce an increase in the predicted yield-per-recruit from 8.30g to about 9.40. However, estimated yield-per-recruit increased to 1.30g by decreasing to from the current age (2.69 year) to age two with F fixed at the current level. Yield-per-recruit was estimated under harvest strategies based on F/sub max/ and F/sub 0.1/.

  • PDF

한산도 진두해역 양식 바지락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the Jindu Coast of Hansan Island, Korea)

  • 조상만;정우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0
    • /
    • 2007
  • 양식생물의 최적생산을 위해서는 적극적 관리 외에도 환경 개선과 지속적으로 최대생산을 위하여 수산자원학적 관리방안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어느 시기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생물을 선택적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인가는 양식생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중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_c$와 F를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46 g에 해당하였지만, $t_c$의 경우 3.48 세까지, F의 경우 0.9295/yr까지 증가시키면 약 5% (3.63 g)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equalities in External-Cause Mortality in 2018 across Industries in Republic of Korea

  • Lim, Jiyoung;Ko, Kwon;Lee, Kyung Eun;Park, Jae Bum;Lee, Seungho;Jeong, Inchu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117-125
    • /
    • 2022
  • Background: External-cause mortality is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worldwide. Considering its significance to workers' health and inequalities across industries, we aimed to describe the state of external-cause mortality and investigate its difference by industry in Republic of Korea based on data for 2018. Methods: Data obtained from the Statistics Korea and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were used. External causes of deat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icide, transport accident, and others), and death occurred during employment period or within 90 days after unemployment was regarded as workers' death. We calculated age- and sex-standardized mortalities per 100,000,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SMR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tal workers, and mortality rate ratios (RRs) across industri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 a reference.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income, education, and mortality were conducted. Results: Age- and sex-standardized external-cause mortality per 100,000 in all workers was 29.4 (suicide: 16.2, transport accident: 6.6, others: 6.6).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all external-cause and suicide SMRs were significantly low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port accidents. When compared to total workers, wholesale, transportation, and business facilities management showed higher SMR for suicide,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mining and quarrying,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defense showed higher SMR for transport accidents. A moderate to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ducation level and mortality (both age- and sex-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nd SMR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Conclusion: Inequalities in external-cause mortalities from suicide, transport accidents, and other causes were found. For reducing the differences, improved policies are needed for industries with higher mortalities.

강원도 양양 남대천에서 채집된 일본재첩, Corbicula (Corbicula) japonica Prime의 수산자원학적 연구 (Population Dynamics of Corbicula ( Corbicula) japonica Prime from Namdae Stream in Yangyang, Korea)

  • 권대현;강용주;김완기;이채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86-695
    • /
    • 2002
  • Samples of Corbicula ( Corbicula) japonica Prime of Namdae Stream in Gangnung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0 to October 2001. Age of C. (C.) japonic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shell length of the samples ranged from 8 mm to 38 mm. The ring on the shell was formed once a year in March. Von Bertalanffy's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a nonlinear regression method, asyinptotie shell length ($L_{\omega}$) was 48,98 mm, K was 0.20421year, theoretical age at 0 shell length $(t_0)$ was 0.3169 year, and asymptotic total weight ($W_{\omega}$) was 41.37 g. The formula of allomeky between shell length (L, mm) and total weight (W, g) of the brackish water clam was W=3.42$\times$10^{-4}L^{3}. The annual survival rate was estimated at 0.3799,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mortality was 0.5007/year, and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fishing mortality was 0.46721year.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at 2.1593 year using shell length compositions of the brackish water clam, The current yield-per-recruit at 0.4672/year of fishing mortality was 0.6595 g. F_0.1 was estimated at 0.1865/year, Acceptable biological catch was estimated at 14.4 metric ton.

동경만산 문치가자미Limanda yokohamae($G{\"{U}}NTHER$)의 자원양 변동의 해석 (Population Dynamics of Mabled sole Limanda yokohamae($G{\"{U}}NTHER$) in Tokyo Bay, Japan)

  • 김종수;청수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1991
  • 문치가자미는 동경만의 소형저인강 어업의 중요한 대상종이나 최근 어획노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자원을 영속적으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자원 평가를 하였다. 복수년급군에 대한 VPA 해석 결과, 1980년부터 1987년까지의 자원미수는 약 350만 마리에서 920만 마리였고, 1985년에 최대치를 보였다. 시험조업에 의한 추정량은 240만에서 870만 마리였고 최대치를 보인 해도 같았다. 양자의 차는 1987연에 약 2배였으나 그 밖의 해에는 0.8-l.5배의 차로 그다지 큰 차를 보이지 않았다. 양쪽 다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양의 증감 경향이 유사했다 어획률은 대부분의 해에 $30-50\%$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COHORT 해석을 하여 어획계수를 추정하고, 수명으로 추정한 자연사망계수와 어획물과 성장에 의해 검토한 어획개시연령을 이용하여 등어획량곡선을 그려 자원현상을 평가하고 어획증대의 가능성을 검토한 바 가입당 어획량의 최대치가 암컷은 2배 숫컷은 1.3배 정도 증대 가능성을 보였다. 어획증대를 위해서는 강목을 크게 하여, 어획개시년령을 높이는 관리방안이 바람직하다.

  • PDF

한국 남해안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의 자원평가 (Stock Assessment of Purp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영혜;권대현;;장대수;김종빈;김성태;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개조개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인 생잔율 (S = 0.5174), 순간자연사망계수 (M = 0.2012/year) 및 순간어획사망계수 (F = 0.4578/year), 어획개시연령 ($t_c\;=\;2.7506$ 세), 자원량 (B = 8.362 톤) 을 추정하였다. 갯장어 자원을 가입당생산량모델에 적용시킨 결과,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 = 0.4578/year), 어획개시연령 ($t_c\;=\;2.7506$ 세) 에서의 가입당생산량은 80.89 g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어획개시연령을 4 세 이상으로 높여야 하고, 현재의 어획개시연령을 유지한다면 순간어획사망계수를 0.2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낮추어야한다. $F_{0.1}$의 경우, 2 세에서 65.69 g으로 가장 높은 가입당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입당산란자원량모델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관리기준인 $F_{40%}$의 값을 현재의 어획상태를 고려하여 추정하였다.

  • PDF

거제도 연안에 서식하는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의 개체군 역학 (Population Dynamics of Crangon hakodatei from Coastal Area of Geoje Island, Korea)

  • 최정화;김정년;김성태;차형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0-385
    • /
    • 2002
  •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는 거제도 주변 해역에서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매월 채집하였다. 이들 개체군의 구조, 성장, 사망 및 성 성숙에 관한 분석은 갑각장을 이용한 체장빈도 데이터를 이용 ELEFAN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성장계수의 추정은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이용하였다.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빨라 성숙개체에 빨리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장변환 어획 곡선에 의해 구해진 전 사망계수는 $3.10yr^{-1}$로 나타났고, Pauly 식에 의해 산출된 자연사망계수는 $2.48yr^{-1}$로 나타났다. 또한 어획사망계수는 $0.62yr^{-1}$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성 성숙 개체의 크기는 갑각장 $11.00\~11.50$ mm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