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y products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1초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따른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Tropical Fruits Depending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List System)

  • 강향리;박용배;도영숙;정진아;이성봉;조상훈;이효경;손지희;이미경;이병훈;박진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0-315
    • /
    • 2018
  •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는 당해 농산물에 등록된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으면 일률기준 0.01 mg/kg을 적용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에서 유통되는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PLS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국내 재배 열대과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내 유통되는 열대과일류 120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에 따라 잔류농약 220종을 검사한 결과 바나나, 망고, 키위 3품목 7건에서 6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바나나에서 azoxystrobin와 chlorpyrifos, 망고에서 chlorfenapyr, 키위에서 chlorothalonil, iprodione, procymidone이 검출되었다. 그 중 국내산 망고에서 chlorfenapyr, 국내산 키위에서 chlorothalonil이 각각 1건씩 검출되었고 PLS 적용 결과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 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류를 대상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함량 (Contents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Deep-sea Fish, Tuna, Billfish and Fishery Products)

  • 강석호;이명진;김재관;정유정;허은선;조윤식;모아라;박광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내 유통되고 있는 수산물(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산물 101건과 어류가공품 44건을 수거하여 수은분석기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전자포획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산물은 모두에서 총수은이 검출되었고 메틸수은은 92건에서 검출되어 9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함량은 각각 새치류 $1.968{\pm}0.505$, $0.496{\pm}0.057mg/kg$, 심해성어류 $0.665{\pm}0.091$, $0.252{\pm}0.033mg/kg$, 다랑어류 $0.577{\pm}0.085$, $0.218{\pm}0.025mg/kg$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새치의 평균값이 총수은은 1.968 mg/kg, 메틸수은은 0.496 mg/kg으로 가장 높았다. 총수은 대비 메틸수은 함량은 심해성 어류인 쏨뱅이류가 66.5%로 가장 높았다.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메틸수은함량은 원육함량 100%인 냉동식품이 가장 높았으며 원재료 함량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를 통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주간섭취량은 JECFA에서 설정한 PTWI의 4.72, 5.24%로 조사된 어류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노출량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각김치의 제조과정 중 잔류농약(diazinon, diniconazole, dimethomorph)의 제거율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Diazinon, Diniconazole, Dimethomorph) during Making and Fermentation of Chonggak Kimchi)

  • 이윤미;오문석;전종섭;이성봉;김한택;강향리;이효경;손지희;이병훈;이필석;김지원;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2-1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총각무에 검출빈도가 높은 3성분의 농약을 선택하여 농약 침지 후 잔류농약이 총각김치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총각무의 절임과 세척 과정 후에는 초기 처리농도에 대비 잎은 diazinon, diniconazole 및 dimethomorph 각각 43.8%, 41.9% 및 89.8%가 제거되었으며, 뿌리는 59.5%, 54.7% 및 85.1%가 제거되었다. 4℃에서 김치를 숙성하는 과정 중 농약의 잔류량은 4주간의 숙성기간 동안 초기 처리농도 대비 잎은 diazinon 82.4%, diniconazole 77.1% 그리고 dimethomorph 98.9%가 제거되었고, 뿌리의 경우 diazinon 94.0%, diniconazole 91.8% 그리고 dimethomorph 90.0%가 제거되었다. 총각김치 잔류농약 제거율을 제조과정별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절임과정에서 가장 많은 잔류농약 제거율을 보였으며, 그 결과 농약 3종은 44.6%-66.5%가 제거되었다. 반면 뿌리에서 diazinon, diniconazole은 숙성과정에서 51.8%-55.8%로 가장 많은 잔류농약 제거율을 보였다. 3종의 농약이 잔류하는 김치를 0℃, 4℃에서 4주간 숙성시키면서 온도에 따른 농약제거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diazinon은 뿌리에서 4℃가 0℃에 비해 농약제거율이 2.7%-10.8%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외의 농약에서는 숙성온도 별 잔류농약 제거율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울지역 유통 한약재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Pesticide Residues Monitoring of Medicinal Herbs in Seoul)

  • 최영희;박성규;김욱희;승현정;한성희;이영주;정희정;김윤희;조한빈;유인실;한기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5-349
    • /
    • 2011
  • 서울지역에서 유통되는 1,565개 한약재에 대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10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농약의 회수율은 71.0~119.7%이였다. 전체 시료 중 잔류농약 검출률은 5.3%이고, 0.9%가 MRLs를 초과하였다. 잔류농약 검출률이 높은 한약재는 택사, 진피, 구기자, 대추였다.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한약재는 택사(4), 천궁(4), 구절초(1), 진피(1), 지골피(1), 박하(1), 오미자(1), 포공영(1)이였다. 검출빈도가 높은 잔류농약은 cypermethrin, chlorpyrifos, phenthoate, endosulfan, isoprothiolane, chlorothalonil, chlorfenapyr였다. 검출된 농약의 EDI와 ADI를 비교한 %ADI 값으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천궁에서 검출된 ethoprophos가 26.85로 가장 높은 %ADI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천궁에서 pyraclofos와 endosulfan, 택사에서 endosulfan과 isoprothiolane, 포공영에서 cyprodinil이 1 이상의 %ADI를 나타내었지만 그 이외 한약재는 모두 1이하의 %ADI를 나타내었다.

대미 수출 수산물의 유통경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nnel of Fishery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 박혜진;이정필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3호
    • /
    • pp.29-43
    • /
    • 2023
  • The United States is Korea's important trading partner, ranking third (13.7%) in exports of fishery products in Korea. The impact on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if the seafood import provisions under the MMPA are implemented in 2024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documents proving production information will be required for all items when exporting to the U.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xports and expor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major fishery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Besides, there are currently no official system and procedures in Korea to prove production information for all fishery items, so we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by examining distribution channels for major export items to the U.S. In this study, five items including seaweed and halibut as domestic aquaculture items, tuna and squid as deep-sea fishing items, and fish cake using imported raw material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items for distribution channel investig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outes from production to processing, distribution, and export of each item and identified detailed distribution channel for major items exported to the U.S.

중국 고대 수산업의 변화와 발전에 관한 연구

  • 조원일;김종규
    • 중국학논총
    • /
    • 제71호
    • /
    • pp.237-254
    • /
    • 2021
  • It can be said that the fishery industry in ancient China did not originally occupy a very special economic area even when it was started. At that time, the fishery industry was only treated as a means for the livelihood of ordinary people. Over time, the value and economic benefit of aquatic products began to be valued. Its origin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Yugong(禹貢), which was established by King Yu. These records made it clear that the ancient kings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economic value of seafood and the importance of the fishery industry in the government. Thus, the fishery industry was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socio-economic system. In ancient China, the fishery industry was one of the industrial systems that supported traditional Chinese society along with agriculture.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way of thinking of modern Chinese people on the fishery industry through the study of the fishery industry in the traditional era of China. And based on this analysis, I think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 certain extent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eckless overfishing of fishery resources by Chinese fishermen in the West Sea, which is currently a problem.

기능성 쌀의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 안전성 실태조사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on Functional Rice Products)

  • 이유진;박명기;김기유;박은미;강흥규;임지현;조욱현;김윤호;이선영;용금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3-499
    • /
    • 2017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유통되는 기능성 쌀을 대상으로 농약 및 이산화황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2월부터 10월까지 대형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기능성 쌀 91건을 수거하여 수행하였다. GC/ECD, GC/NPD, GC/TOF/MS, LC/PDA, LC/FLD를 이용한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 3건(3.3%)에서 2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살균제 농약인 propiconazole과 살균제 및 식물생장조절제 농약인 isoprothiolane이며, 검출수준은 0.0340~0.0566 mg/kg으로 MRL (Maximum Residues Limits) 대비 각각 34%, 2.8% 이하로 검출되었다. Monier-Williams 변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황(sulfur dioxide)을 분석한 결과 91건의 시료 모두 불검출 이었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한 결과 %ADI (Hazard Index)는 0.24~1.25%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경기도 내 판매되고 있는 포도씨유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Grape Seed Oil being Sold in Gyeonggi Province)

  • 손미희;김재관;이유진;김지은;백은진;김병태;박명기;권보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3
    • /
    • 2024
  • 경기도에서 유통중인 포도씨유 50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50건 중 49건에서 10종의 잔류농약이 161회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boscalid, cyflufenamid, deltamethrin, difenoconazole, fluxapyroxad, fenpyrazamine, kresoxim-methyl, piperonyl butoxide, tebuconazole, trifloxystrobin으로 살충제 2종, 살균제 8종이었으며 살균제인 boscalid가 44회, fluxapyroxad가 35회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었다. 검출범위는 0.01-1.10 mg/kg으로 모두 포도의 잔류농약 허용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회수율은 72.6-129.8%이었으며 검출된 농약의 위해성을 알아보기 위해 %ADI를 산출한 결과 0.0028% 이하로 나타나 포도씨유의 잔류농약으로 인한 위해성은 안전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료의 수가 적고 GC/MS/MS로 분석가능한 농약만 조사하였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앞으로도 꾸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의 수산물 생산과 어정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quatic products and fishery administration in china)

  • 고재모
    • 수산경영론집
    • /
    • 제30권1호
    • /
    • pp.77-96
    • /
    • 1999
  • Since the onset of its economic reform and the open door policy in the late 1970s, China's overall economic growth rate has been continuing about 10% per year. The marine sector is not allowed exception, aquatic products increased sharply from 4.66 million MT in 1978 to 36.02 million MT in 1997, and then China is remained the largest producing country in the world aquatic market and her role would be expanded. Korea having a common boundaries to China is subjected unescapably both in domestic and export markets by the influence of the remarkable growth of China's aquatic products. If China were admitted entrance of WTO(World Trade Organization)in the near future, her influence is getting more serious. Well, we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aquatic products and to review fishery policies implemented by the China government.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two major parts, the one includes the structural changes of aquatic products, fishing and cultivating in the coast, latent and estimated production in China, and the other includes the main contents of fishery policies and measures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 characteristic of China's aquatic products is that cultivated production, especially, shellfish outputs continues to rapid increase. The major means of administration are an execution of fishing license system and setting up no-fishing zone and closed season for fishery. China is no longer a marginal player in international economic and world aquatic market. So, we will not only understand China's aquatic conditions and problems, but will also see the usefulness in continu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a long time to come.

  • PDF

한국고용직업분류에 의한 수해양산업의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 Classification of Fisheries Occupation by KECO)

  • 김삼곤;김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329-34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fishery occupations base on KECO(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ranks was fisheries duties, second rank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at were administration duties management duties financial affairs duties, social service duties marketing duties individual service duties, construction duties civil engineering duties, machinery duties manufacture duties repairing duties, production duties. Third ranks classify based on second ranks. Administration duties management duties financial affairs duties were classified fishery administration, fishery management, fishery financial affairs. Social service duties marketing duties individual service duties were classified fishery social service, fishery marketing, fishery individual service. Construction duties civil engineering duties were classified fishery construction, fishery civil engineering. Machinery duties manufacture duties repairing duties were classified fishery machinery duties, fishery manufacture, fishery repairing. Production duties were classified fishery processing, marine products, fishery environment. Fourth rank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ird r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