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taxonom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산 어류 미토콘드리아 DNA의 분자계통학적 이용 및 보존 (The Use and Conservation in Molecular Phylogeny of Fish Mitochondrial DNAs in Korean Waters)

  • 김영자;김일찬;이세영;이완옥;조용철;이재성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21-234
    • /
    • 2003
  • 종다양성 규명을 위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는 원시형질의 상동성에 근거한 기존의 형태형질과 효율적인 새로운 분자계통분류학적 연구방법이 병행된다면 좀 더 정확한 분류 및 계통을 추적하는데 객관적인 결론을 제시 할수 있을 것이다.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분자계통분류를 재검토할 뿐아니라 계통진화학상 조상과 자손과의 관계를 유추하는데 새로운 가설을 세울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자리돔과 (Family Pomacentridae)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1. 자리돔과 어류의 분류학 적 재검토 (Morphological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Pomacentridae I. A Taxonomical Revision of the Family Pomacentr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고정락;명정구;김용억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2호
    • /
    • pp.173-192
    • /
    • 1997
  • 1994년 7월부터 1997년 5월사이 부산, 충무 및 제주도에서 채집된 자리돔과 어류가운데 Dascyllus melanurus(신칭:줄셋돔), Dascyllus trimaculatus(신칭:세점자리돔) 및 Pomacentrus nagasakiensis(신칭:나가사끼자리돔)가 국내 미기록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3종의 계수, 계측형질을 기재하였으며 이들과 함께 자리돔과 어류 6속 13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PDF

벼-담수어 복합생태농업이 논습지 식생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on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 공민재;김창현;이상민;박광래;안난희;조정래;김봉래;임종악;이창원;김형수;남홍식;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8-409
    • /
    • 2018
  • 최근 유기농법이 확산되며 벼농사와 더불어 맛과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하게 높은 가치를 평가받는 미꾸리를 활용한 생태농법이 농업과 어업이 결합된 차세대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복합생태농업이 식생다양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식생조사를 통한 식물학적 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지에서 식생조사 결과 38과 100속 107종 20변종 127종류가 출현하였다. 둠벙이 있는 복합생태논에서는 출현하였으나 둠벙이 없는 대조논에서 출현하지 않은 종은 총 15종류(Taxa)의 차이로 확인되어 둠벙의 유무에 따라 식생의 수분요구도 차이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생활형 분석결과 둠벙의 유무에 따라 접지, 일년생, 수생식물의 차이도 확인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도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분석되었다. 습지출현빈도 분석결과 둠벙이 있는 복합생태논이 대조논에 비해 절대습지식물과 임의습지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생육환경이 다양할수록 식생다양성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유형별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아 식생다양성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서 향후 둠벙의 유무, 면적, 둠벙의 깊이, 수문, 수질환경, 토양환경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 찾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etagonimus miyatai sp. nov. (Digenea: Heterophyidae), a new intestinal trematode transmitted by freshwater fishes in Japan and Korea

  • Saito, Susumu;Chai, Jong-Yil;Kim, Ki-Hong;Lee, Soon-Hyung;Rim, Ha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4호
    • /
    • pp.223-232
    • /
    • 1997
  • Metagonimus miyatai n. sp. (Digenea: Heterophyidae) is described based on adult flukes collected from experimental dogs and hamsters fed with metacercariae encysted in the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dace, Tribolodon hakonensis and T. taczanowskii, common fat-minnow. Morocco steindachneri pale chub, Zacco platypus, and dark chub, Zacco temmincki, and on those collected from naturally infected humans. The new species was morphologically compared with M. yokogawai and M. takahashii obtained from experimental animals fed with the sweetflsh and the crucian carp, Cnrossius caressius, respectively. The uterine loops of M. miyatai reached near the posterior end of the bod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wo testes, whereas those of M. yokogawai, occupied only the space between the acetabulum and anterior border of two testes. This uterine tubule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another closely related species, M. takahashii. However vitellaria of M. miyatai ended in front of the posterior end of the left testis, while those of M. takahcshii reached the posterior end of the left testis and ran it over. By raising M. miyatai as a new species, differentiation of M. yokogawai and M. takahashii became very clear. A key to the species of the genus Metagonimus in the Far East has been proposed.

  • PDF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in Korea

  • Shin, Ho-Joon;Im, Kyu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93-119
    • /
    • 2004
  • Acanthamoeba and Naegleria are widely distributed in fresh water, soil and dust throughout the world, and cause meningoencephalitis or keratoconjunctivitis in humans and other mammals. Korean isolates, namely, Naegleria sp. YM-1 and Acanthamoeba sp. YM-2, YM-3, YM-4, YM-5, YM-6 and YM-7, were collected from sewage, water puddles, a storage reservoir, the gills of a fresh water fish, and by corneal washing. These isolat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mortalities of infected mice namely, highly virulent (YM-4), moderately virulent (YM-2, YM-5 and YM-7) and nonpathogenic (YM-3). In addition, a new species of Acanthamoeba was isolated from a freshwater fish in Korea and tentatively named Korean isolate YM-4. The morphologic characters of its cysts were similar to those of A. culbertsoni and A. royreba, which were previously designated as Acanthamoeba group III. Based on experimentally infected mouse mortality, Acanthamoeba YM-4 was highly virulent. The isoenzymes profile of Acanthamoeba YM-4 was similar to that of A. royreba. Moreover, an anti-Acanthamoeba YM-4 monoclonal anti-body reacted only with Acanthamoeba YM-4, and not with A. culbertsoni.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 analysis and RFLP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and of a 188 small subunit ribosomal RNA, placed Acanthamoeba YM-4 in a separate cluster based on phylogenic distances. Thus Acanthamoeba YM-4 was identified as a new species, and assigned Acanthamoeba sohi. Up to the year 2002 in Korea, two clinical case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Acanthamoeba spp. These patients died of meningoencephalitis. In addition, one case of Acanthamoeba pneumonia with an immunodeficient status was reported and Acanthamoeba was detected in several cases of chronic relapsing corneal ulcer, chronic conjunctivitis, and keratitis.

울릉도 거북바위 조수웅덩이에서 분리된 해양 미세조류 옥세노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드 균주의 기술 및 응용 (D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a Marine Microalga Auxenochlorella protothecoides Isolated from Ulleung-do)

  • 장형석;강남선;김경미;전병희;박준상;홍지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52-1160
    • /
    • 2017
  • 단세포 녹조류 균주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거북바위 주변 조수웅덩이로부터 순수분리하여 형태적, 분자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옥세노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드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종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공식 기록이 없는 미기록종으로 옥세노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드 MM0011 균주라고 명명하였으며, 생장, 지질/광합성 색소 조성 및 바이오매스 특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리균주는 광범위한 온도($5-35^{\circ}C$)에서 생장할 수 있었으며 1.5 M 염화나트륨 농도까지 생존할 수 있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결과, 본 균주에는 영양적으로 중요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리놀네산(27.6%) 및 알파 리놀렌산(37.2%)이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토착 미세조류 균주는 어유 또는 식물성유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오메가-3 및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부가가치 항산화 물질인 루테인이 보조색소로서 본 균주에 의해 생합성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성분분석 결과 MM0011 균주의 휘발성물질 함량은 85.6%였으며, 원소분석 결과 총 발열량은 $20.3MJ\;kg^{-1}$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지로부터 40.5%의 전질소와 27.9%의 전인을 각각 제거할 수 있어 향후 바이오연료 원료물질 생산과 오 폐수처리를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MM0011 바이오매스는 높은 단백질 함량(51.4%)을 갖고 있어 우수한 동물사료의 원료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균주는 미세조류 기반 생화학 물질 생산 및 바이오매스 원료로서 상업적인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임원십육지(林園十六誌)"에 수록된 어패류의 향약성(鄕藥性)에 관한 연구 (The Medicinal Effects of Seafoods in ${\ulcorner}$Lim-Won-Sib-Rheuk-Ji${\lrcorner}$)

  • 최영진;백숙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7-19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nutritional nature of seafood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dicinal effects and the usages introduced in Lim-Won-Sib-Rheuk.-Ji, one of the well-known encyclopedias publishe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y were compared with those introduced in other cooking book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y were used in the diet of real-life. The seafoods of the book were first categorized into the fish 20, the mollusk 5, the crustacea 4, and the shellfish 7, and reptile according to the biological taxonomy, and then each one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taste and the food-nature. Generally, the fishes had the sweet taste; the crustacea and the shellfish the salty or sour in addition to the sweet taste; none of them were bitter or hot. Most of them had the mild nature; seven of them were regarded as warm; four as cool; one as cold from the standpoint of the traditional medicine. The food-nature of seafood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medicinal effects on the human body. These seafoods were characteristically used in daily dietary life as well as the medical applications; used as the side-dishes rather than the main-dishes. The cooking methods of boiling, steaming, and baking were preferred to drying and stewing. The preservation methods favored were the fermentation, drying and salting. These cooking and preservation methods were believed to reflect the nature of the seafoods to manifest the medicinal effects.

  • PDF

신규의 Aminopeptidase M 저해제 MR-387A와 B를 생산하는 균주의 동정 및 저해제의 생산 (Taxonobic Characteristics of Strain Producing MR-387A and B,New Inhibitors of Aminopeptidase M,and their Production)

  • 정명철;전효곤;이호재;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47-452
    • /
    • 1994
  • The strain SL-387 which produces new inhibitors of aminopeptidase M, MR-387A and B, was isolated from a soil sample. The strain has branched substrate mycelia, from which aerial hyphae develop in the form of open spirals. Spore surface is smooth. Melanoid and soluble pigme- nts were observed. The isolate contains LL-diaminopimelic acid in its cell wall hydrolysate, and has no pectinolytic activity. The strain SL-387 is closely related to Streptomyces griseoruber and S. naganishii, but is different from these strains in some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rain was, therefore, designated as Streptomyces sp. SL-387. The effects of several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the production of the inhibitor were examined. Among them, glucose, galactose, mannose, and xylose were effective as a carbon source and soybean meal, soytone, fish meal, and gluten meal were effective as a nitrogen source. The maximum peak of the inhibitor production in jar fermentor was obtained on the fifth day of culture.

  • PDF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구입한 붕장어(Astroconger myriasser)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상황 (Infection status of the sea eel (Astyoconger muyinster) purchased from the Noryangjin fish market with anisakid larvae )

  • 채종일;조상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57-162
    • /
    • 1992
  • 해산 어류의 하나인 봉장어(Astroconger myriaster: 속칭 아나고)는 우리 나라에서 인체 바니사키스증의 중요한 감염원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실제 붕장어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상황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 등은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붕장어 26마리를 구입한 후 어체 부위 (내장, 근육, 머리와 껍질)별로 인공소화시킨 다음 아니사키스 유충을 수집하고 부위별 감염 상황, 유충의 종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붕장어 26마리 중 IS마리(57.5%)에서 바니사키스 유충 총 1,351마리가 회수되었고, 부위별로는 내장이 1,269마리로 가장 많았으나 근육에서도 66마리, 머리와 껍질에서도 16마리의 유충이 각각 회수되었다. 회수된 아니사키스 유충은 모두 7종류이 었으며,, Anisakis type I (Berland, 1961)이 564마리, Contracaecum type A 및 type D(Koyama et at., 1969)가 각각 409마리 및 5마리, Contracaecum type C'및 type D'(Chai et nt., 1986)가 각각 83마리 및 117마리, Contrntaecum type V(Yamaguti, 1935)가 1마리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172마리는 이미 보고된 유형과는 다른 것이어서 ◎ontracaecu산 type A'(new type)로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니사키스 유충은 우리 나라 근해산 붕장어에 농후하게 감염되어 있으며, 내장은 물론 근육에도 일부 기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유충 종류별로는 인체 기생을 잘 일으키는 Anigakis type I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려홍어 Hongeo koreana의 난각(연골어강: 홍어목: 홍어과) (Egg Capsule of Hongeo koreana (Chondrichthyes: Rajiformes: Rajidae))

  • 정충훈;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3-286
    • /
    • 2009
  • 고려홍어의 모식산지인 한반도 남서해안에서 포획한 암컷개체의 자궁에서 직접 적출한 난각 2개를 새롭게 기재하였다. 본종의 난각은 다른 종과 비교하여 보통 크기이고, 뿔(horn)을 포함한 전장은 124.5~133.7 mm, 뿔을 제외한 주부(main portion)의 체장은 102.8~109.4 mm, 최대폭은 41.0~42.2 mm이다. 측면에서 볼 때 배쪽으로 불룩한 비대칭이고, 표면은 비교적 부드러운 편이지만 세로로 미세한 고랑(longitudinal striations)은 뚜렷하고, 매우 발달한 섬유다발(견상사(絹狀絲) silky fibers)로 덥혀 있다. 앞뒤의 apron은 뚜렷하며, 네 뿔은 짧고 튜브모양이고 그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앞쪽 뿔은 안쪽으로 심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호흡공(respiratory fissure)은 네 뿔의 끝부분에 위치한다. 신선한 상태에서 밝은 갈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