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sh diversity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5초

Microsatellite marker distribution pattern in rock bream iridovirus (RBIV) infect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 Jung, Myung-Hwa;Jung, Sung-Ju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5
    • /
    • 2021
  •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is a highly valued aquaculture species in Korea.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suffers huge economic losses due to rock bream iridovirus (RBIV) infection in summ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DNAs isolated from two groups of rock bream after RBIV infection using five microsatellite (MS) markers. The first group of fish died early and the second group of fish died later after RBIV infection. In this experiment, 90 fish (5.1±1.0 cm and 4.1±1.3 g) were injected with 50 μl of RBIV (104 TCID50/ml) and maintained at 26℃ for 15 days. Genomic DNAs were extracted from fins of 20 fish that died earlier or later after RBIV infection. These DNAs were subjected to genotyping using five MS markers (CA-03, CA3-05, CA3-06, CA-10, and CA3-36). Of these markers, CA3-05 (early death group), CA3-06 (late death group), and CA3-36 (both early and late death groups) showed different alleles distribution rates. In-depth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selecting RBIV-resistant fish. In conclusion, microsatellite marker distribution pattern differences between early- and late- death groups of rock bream after RBIV infection showing different RBIV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using MS markers and genotyping.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S markers could be used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RBIV resistant rock bream.

3D 물고기 애니메이션 효율성 향상을 위한 Advanced Skeleton plug-in 연구 (Research on Fish Animation Based on Advanced Skeleton plug-in)

  • 리샤오;이병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1-363
    • /
    • 2021
  • 디지털 캐릭터 리깅은 애니메이션의 생동감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며, 다양하고 복잡한 방식의 리깅 시스템이 많다. 이에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위한 모션 테스트를 물고기로 진행한다. 왜냐하면, 2족, 4족 캐릭터의 자료들은 더러 있으나, 물고기(0족) 움직임에 관한 연구의 자료는 많이 없다. 물고기 움직임 제작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비효율적인 시간과 자본도 요구된다. 물고기 특성에 맞는 골조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는, 어떻게 효율적이고 민첩한 리깅 프로세스를 만드느냐에 달려있다. 본 연구는 높은 시간비용의 리깅 기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어드밴스드 스켈레톤(Advanced Skeleton) 기반의 애니메이션 리깅 제작 프로세스와 Maya Rig를 비교하여, 어드밴스드 스켈레톤(Advanced Skeleton)의 장점을 활용해 최적의 자동 리깅 툴을 모색하고, 물고기 애니메이션 연구 범주를 넓힐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옥정호에 도입된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식성 및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Feeding Habits of an Introduced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and Its Influence on Ichthyofauna in the Lake Okjeong, Korea)

  • 고명훈;박종영;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4
    • /
    • 2008
  •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옥정호에 도입된 외래어종 배스 Micropterus salmoides를 채집하여 식성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배스의 체장범위는 13~511 mm (n= 419)였다. 배스는 강한 육식성 어종으로 주로 어류를 섭식하였으며 그밖에 수서곤충과 새우류 등을 섭식하였다. 배스는 성장하면서 식성이 변하였는데, 10~20mm는 주로 지각류를 섭식하였고, 30~50 mm은 수서곤충과 소형어류를, 50 mm 이상의 개체는 피라미, 치리, 밀어와 같은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1981년부터 옥정호의 어류상을 분석한 결과, 강한 육식성 어종인 배스의 도입은 옥정호 토착종의 다양도와 출현비율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1 (낙동강)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1 (Nakdong River Site))

  • 강준구;김성중;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84-192
    • /
    • 2023
  • 최근 외래어종의 유입은 어류 서식처의 생물 다양성 위협 및 생태계 파괴를 가져오기도 한다.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사업은 환경적인 기능을 고려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등 관리하기 어려운 하천변 시설을 철거하고, 생태공원 등을 조성하여 수중생태계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하천공간으로의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정비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하천사업에도 불구하고, 외래어종은 환경공간을 파괴하고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에서 어류상 조사 및 우세종/외래어종 점유율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생태공원의 외래어종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산 어류 2 미기록종, Arius maculatus와 Luciogobius saikaiensis (New Records of Marine Fishes, Arius maculatus and Luciogobius saikaiensis from Korea)

  • 김익수;최승호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279-284
    • /
    • 1997
  • 한국 남해 서부 연안에서 채집된 Arius maculatus와 Luciogobius saikaiensis가 우리나라에서 출현함을 처음으로 보고하고 이들 주요 외부 형질의 재기재와 분포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A. maculatus의 국명은 [바다동자개]로, L.saikaiensis은 [왜미끈망둑]으로 명명하였다.

  • PDF

Redescription of Ergasilus zacconis (Copepoda: Poesilostomatoida: Ergasilidae), Parasitic on the Freshwater Fish Zacco platypus from Japan

  • Kim, Il-Hoi;Nagasawa, Kazuy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121-125
    • /
    • 2006
  • Ergasilus zacconis (Yamaguti, 1936), the copepod parasite originally named as Pseudergasilus zaconnis, is redescribed based on the specimens newly collected from the freshwater fish Zacco platypus (Temminck and Schlegel) from Japan. Some errors appearing in the original description are emended. An explanation for the generic position of this species is given.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II. Fish

  • Gil, Joon-Woo;Hong, Young-Pyo;Park, Joon-Ho;Kim, Saywa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3-23
    • /
    • 2004
  • Four times of field survey were carried out to collect fish samples at six station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n October 1997, July 1998, May and October 2002. Sampling stations were located in upstream, middle and down of the southern river of Bukchong and three brackish lakes of lake Hommanpo, Daein and Hyunkum, respectively. A total of 29 species belonging to 11 families occurred. Family Cyprinidae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of 28% among total species occurred. No natural monument fishes or rare species were captured. Ten commercial fishes, five anadromous ones and five brackish ones were identified. Feeding habits divided fish fauna with 11 carnivores, two herbivores and seven omnivorous ones. In the river, 20 species belonging to seven families inhabited, 18 species of 6 families in lake Homanpo, 21 of seven III Hyunkum and 23 of eight in Daein, respectively. Ecological indices of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highest in lake Daein and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lake Hyunkum.

  • PDF

낙동강 상류 수계의 어류 군집 구조 분석 및 생태건강도 평가 (Fish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in the Headwater Watershed of Nakdong River)

  • 이재훈;홍영표;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03-411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강의 최상류 8개 지점을 대상으로 1999년 $6{\sim}8$월까지 어류군집을 이용한 전통적인 종다양도 지수(H')와 IBI 지수를 통한 생태 건강도 평가를 비교하였다. 채집된 총 종수는 19종이었고, 우점종은 갈겨니와 버들치로써 각각 51%, 28%를 차지하였다. 트로픽 길드 분석에 따르면, 전체 채집된 종에서 충식종이 87%였고, 잡식종의 빈도는 극히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에 의한 공간적인 변이의 패턴은 종수와 개체수의 패턴과 유사했지만, 내성도 및 트로픽길드 자료에 의한 패턴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지점 6에서 1.56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민감종과 내성종은 각각 최소, 최대값을 보였다. 한편, 지점 6에서 충식종과 잡식종이 각각 최소, 최대치를 보였다. 즉 종다양도 지수는 내성도 길드 및 트로픽 길드의 패턴과 어떤 유사성도 없으며, 전통적인 지수는 수계내에서의 어류군집의 전반적인 생태학적 특성들을 잘 반영할 수 없었다. 한편, 생태건강도 (IBI)의 평균 모델값은 33.5(n=8)로써 보통${\sim}$양호상태로 나타났고, 트로픽 길드 및 내성도 길드의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민감종과 충식종이 거의 최대치를 보인 2지점에서 IBI간은 최대치를 보였으며, 동일지점에서 내성종과 잡식종의 빈도는 최저치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IBI 값이 생태학적인 기능과 건강상태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인 종 다양도 지수는 어류를 이용한 생태건강도 군집평가에 비효율적인 반면, IBI를 이용한 접근방식은 하천구조를 잘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복원된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

  • 최준길;변화근;권용수;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41권3호
    • /
    • pp.374-381
    • /
    • 2008
  •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청계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어류는 총 6과 19종이었으며 이중 한국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줄납자루, 참갈겨니 등 2종(10.5%)이었다. 조사지점별 어류 발생은 Site 1에서 2과 7종 58개체, Site 2에서 3과 9종 53개체, Site 3에서 4과 9종 282개체, Site 4에서 5과 13종 293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지점별 우점종은 버들치(Site 1)와 피라미(Site 2, 3, 4)이었다. 미소서식지가 잘 발달된 하류지점 Site 4에서 종다양도 지수, 종풍부도 지수가 다른 지점에 비해 조사시기 동안 고르고 높게 나타나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어류군집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모수다차원척도법(NMDS)를 이용한 어류군집의 시공간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류군집은 하류에서 높은 종풍부도를 보여 장소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가 조사 후반부에 가장 높게 나타나 어류군집의 시간적 변동을 구분해 줌으로써 청계천 복원 공사 후 어류군집이 형성되고 점차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것을 반영해 주었다.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Macrozoobenthos at the Intensive fish Fanning Groun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임현식;김성수;박종수;전경암;이영식;이재성;김귀영;고우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4호
    • /
    • pp.235-246
    • /
    • 2002
  • 가두리를 이용한 집약적 어류양식은 지난 20년 동안 남해안의 만 내에서 크게 활성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약적 가두리 양식은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과 갊은 형태로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킨다. 본 조사는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인 가막만의 월호도와 통영의 학림해역에서 가두리 양식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1월에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가두리 양식장 인접지역에서 저서동물은 종 수. 밀도, 다양도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런 변화는 가두리로부터 30m 이내에서 나타났다. 가두리로부터 5m 이내에서 낮은 다양도와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다 15~30 m 지점에서는 높은 종 수와 밀도를, 그리고 가두리가 설치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높은 다양도를 보이는 정상적인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두리로부터 0~5m 지점은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부영양화 되었으며, 15~30m지점은 부영양화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두리 양식장은 다른 형태의 유기물 오염과 유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 폐쇄적인 만에서 가두리 양식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에 의한 자가오염은 해양 저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