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erformance test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36초

미세물분무 소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Water Mist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 김봉환;김용판;문철진;홍철현;이형욱;최현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7호
    • /
    • pp.572-578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of water mist spray subjected to thermal radiation in closed space. Downward-directed water mist sprays to interact with an under kerosine pool fire were investigated in test facility The mass mean diameters of water mist droplet were measured by PMAS under various flow conditions. The developed water mist spray nozzle was satisfied to the criteria of NFPA 750, Class 1. The mechanism of the fire suppression by water mist was attributed to the cooling of the fire surface which lead to suppressed of fuel evaporation. It was proved that the water mist spray system under lower pressures could be applied to underground fire protection system.

X-선 분석법을 이용한 난연 EPS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Fire Performance Testing Method for Fire Retardant EPS Sandwich Panel Using X-ray Analysis)

  • 심지훈;조남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76-83
    • /
    • 2015
  • EPS 샌드위치 패널은 난연제의 첨가로 화재 시 발화를 늦춰주며 발열을 적게 발생시켜 연소의 확대를 막는다. 하지만 난연성능 기준에 미달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할 경우, 재산 및 인명 피해가 확대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은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워 간편하면서도 빠른 평가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X-선 분석법(XRF, XRD)을 이용하여 EPS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안전평가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X-선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화재시험을 통한 난연 성능에 따라 특정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X-선 형광분석(XRF)을 통해 알루미늄성분이 부적합제품에 비해 적합제품에 훨씬 많이 함유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선 회절분석(XRD)을 통해 난연 EPS의 주된 결정성 물질로 확인된 깁사이트(gibbsite)는 적합제품과 부적합제품에 공통으로 함유되어 있었지만 결정성에 있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X-선 분석을 통한 원소분석과 결정분석으로 난연성능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의 소화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ressed Air Foam System)

  • 이장원;임우섭;김성수;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3-78
    • /
    • 2012
  • 본 연구는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포헤드 설비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압축공기포 소화설비는 포수용액에 압축공기를 혼입하여 포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해외에서는 원거리 방수가 가능하고 물 사용량을 줄여 수손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압축공기포 소화설비(CAFS: Compressed Air Foam System)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L162 기준으로 수성막포 3 % 포 소화약제를 적용하여 기존의 공기 혼입 방식에 의한 포 소화설비와 압축공기포 소화설비간 비교 실험을 통하여 소화 성능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의 공기 혼입 비율은 포 수용액과 1 : 1의 부피 비율로 하였으며 발포유량은 각각 140 L/min, 160 L/min, 180 L/min, 200 L/min으로 변화를 주면서 소화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소화 성능면에서는 압축공기포 소화설비가 공기 혼입 방식보다 모든 유량 조건에서 소화시간이 빠르게 나타났다.

민속마을 초가집의 방염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Fire Spreading Prevention of Straw-roofing House in Folk Village by Flame Resistant Treatment)

  • 박호천;김황진;이승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2-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방염에 의한 초가지붕과 목재구조에 대한 화재 예방대책을 고찰하였다. 초가지붕 재료인 볏짚에 함침시간을 달리하여 방염처리를 한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후에도 방염성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목재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방염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압함침법과 진공가압법, 붓칠 등의 방법으로 방염처리 하였다. 볏짚의 방염성능은 콘 히터를 이용하여 착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목재의 방염성능은 45도 연소시험과 콘 히터 실험을 통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수 가연물인 볏짚의 경우 방염처리한 볏짚의 착화지연시간이 처리되지 않은 것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으며 방염처리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경우에도 처리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방염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경우 진공가압법으로 방염처리한 시료의 방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붓칠이나 상압함침한 경우에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화재 확산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섬유혼입된 50 MPa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Fiber-Cocktail Reinforced 50 MPa High Strength Concrete)

  • 염광수;전현규;박종헌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55-60
    • /
    • 2009
  •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50MPa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해서 섬유혼입공법(폴리프로필렌섬유와 강섬유)을 적용하여 국토해양부 시행령에 따라 2가지 다른 섬유혼입량을 가진 총 4기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ISO 834 표준내화곡선에 따라서 180분간 내화시험을 실시하여 폭렬발생여부, 철근과 콘크리트의 온도분포를 통해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내화시험 후 모든 시험체에 폭렬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폭렬방지를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 폴리프로필렌섬유량은 콘크리트 단위용적당 0.57 kg이상 이다. 섬유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와 종방향철근의 온도분포를 비교한 결과, 섬유혼입량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판단된다.

  • PDF

내화충전구조 인정제도의 성능기준 및 등급분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Standard and Classification for the Firestop Accreditation System)

  • 이형도;최윤정;안재홍;정아영;서희원;박진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39
    • /
    • 2020
  • The fire compartments with fire-resistant construction are installed in the principal structural parts of a building in order to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As a fire may spread through a crack in the fire compartment, the firestop with secured performance is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methods, and standards specified in the detailed operation guideline. According to the current detailed operation guideline, vertical members (wall penetration) and horizontal members (floor penetration)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respective to each other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firestop. Therefore, an accreditation applicant must apply for the performance test for each structure even if the wall and the floor have the same structure. Also, Grade T is used for the firestop that penetrates the fire compartment. However,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 use of Grade F for the firestop is allowed even if it penetrates the fire compartment. The result of the precedent studie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low possibility of fire to spread even if Grade F was applied for a metallic duct that penetrated the fire compartment. In this study, the improved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 of firestops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firestop and domestic and overseas firestop qualification systems.

발신기.음향장치 성능시험 보고 (A REPORT ON TEST RESULTS OF MANUALLY ACTUATED SIGNALING BOXES AND AUDIBLE SIGNAL APPLIANCES)

  • 장양헌
    • 방재기술
    • /
    • 통권13호
    • /
    • pp.12-17
    • /
    • 1992
  • This report is announced about test results of manually actuated signaling boxes(manual call points) and audible signal appliances (alarm bell), so as to occupants, inhabitants or person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and direction of emergency action initialation is the area protected. The testing plan was progressed devided by three testing items,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performance test and environment proof test.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 PDF

ISO 9708 룸 설비를 이용한 구형 지하철 내장재 화재시험 (Fire Test of Old Type Interiors of Subway Vehicle in ISO 9705 Room)

  • 이덕희;박원희;정우성;황정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81-487
    • /
    • 2010
  • 구형 지하철 전동차의 내장재에 대하여 ISO 9705 시험 설비를 이용하여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점화용 버너는 CEN/TS 45545-1 규정에 따라 출력을 조정하였다. 이 내장재 화재시험의 목적은 화원의 규모에 따라서 철도차량에서의 화재거동과 화염의 전파 경로를 평가함과 동시에 객실 내장재의 화재가 플래시오버로 진행하는 경로의 화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험으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별 온도 값과 열류량 및 열방출률을 측정하였고 열방출률은 수정된 화염면적기반 합량법으로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CFD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철도차량 화재해석의 검증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내화 피복된 비대칭 H형강을 적용한 슬림플로어 보의 재하가열조건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ur of Asymmetric H Beam Slim floor under Load Condition in Fire)

  • 김형준;김흥열;민병렬;이재승;박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63-71
    • /
    • 2011
  • 비대칭 H형강을 활용한 슬림플로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열전달 속도가 낮은 콘크리트에 강재가 매립된 형상으로 설계되어 화재조건에서 강재의 강성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비대칭 H형강의 하부플렌지는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내화피복을 적용하여 슬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험계획은 재하 하중비 0.4와 0.3을 조정하여 하중조건에 따른 내화성능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철근보강에 따른 내화성능 향상효율, 내화피복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180분 내화성능 확보 유 무를 분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비 변화에 따른 실험체를 비교한 결과, 0.1 의 하중비를 낮출 경우 내화성능은 12분 차이가 나며, 처짐격차는 39mm였다. 철근보강에 따른 영향은 12분정도의 내화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최대 102.4mm의 처짐이 제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