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ous form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하악골에 발생한 거대한 cemento-ossifying fibroma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THE HUGE CEMENTO-OSSIFYING FIBROMA OF THE MANDIBLE)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백수;권용대;박종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70-75
    • /
    • 2000
  • 본과에서는 하악에서 발생한 거대한 백악질-골성 섬유종에서 원발병소부위에 대한 광범위한 외과적 적출술 및 후방 장골이식을 통해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안정성을 이루었으며 이환치아의 발거와 함께 술후 악간고정을 통하여 얇아진 하악하연부의 병적골절을 방지하였다. 현재까지 병소의 재발은 없고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보철수복과 함께 지속적인 평가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제 과정에 의한 탄화 셀룰로오스 섬유 구조의 증가 (Enhanced Fiber Structure of Carbonized Cellulose by Purification)

  • 김봉균;송재경;류광경;이희찬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57-261
    • /
    • 2005
  •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을 이루고 있는 셀룰로오스보다 순수한 형태로 존재하고 굵기가 20~50 nm인 fibril이 높은 배향성과 결정성으로 3차원적 망상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탄화과정의 적용은 기존의 PAN, Pitch, 재생 셀룰로오스(Rayon)를 사용한 탄소 섬유의 제조에서 얻지 못하는 섬유 구조 탄소 물질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탄화과정에 의해 생산된 섬유 구조의 탄화 셀룰로오스는 높은 결정성과 배향성을 갖는 나노 영역의 흑연 결정상의 섬유 제조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탄화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의 생산성에 대하여 세 가지 균주들에서 생산된 셀룰로오스의 양을 비교하여 G. xylinus ATCC 11142가 15mL 배지당 건조 질량 0.066 g의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셀룰로오스의 탄화과정에서 셀룰로오스의 열분해에 의해 생산된 타르(tar)에 의해 탄화 후, 셀룰로오스 탄화물의 섬유 구조를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소 나노튜브의 정제과정에서 연구된 액상, 기상 그리고 초음파 처리를 통한 정제방법들을 적용하여, 탄화 셀룰로오스에서는 초음파 처리를 통한 정제과정의 적용이 셀룰로오스 탄화물에서 섬유 구조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시멘트 페이스트 경화체의 self healing 특성 (Self-Healing Property of Hardened Cement Paste)

  • 김재영;변승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A호
    • /
    • pp.297-304
    • /
    • 2008
  • 콘크리트의 균열이 수밀성을 떨어트리고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균열에 의한 이러한 성능저하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물 뿐만이 아니라 염화물, 이산화탄소, 황산염과 같이 유해한 물질들의 침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균열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일부는 폐쇄 된다. 이러한 현상을 self-healing이라고 하며, self-healing은 균열면에서 새로이 생성되는 수화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콘크리트의 self-healing과 관련한 상당수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균열면 표면에서 CSH겔이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elf-healing에 관한 일부 연구에서는 CSH겔 뿐만 아니라 수산화칼슘 및 에트링자이트가 균열 표면에서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elf-healing에 의한 수화생성물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구체방수재가 self-healing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균열 표면에 대하여 XRD, DSC, SEM, EDX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멘트계에서 self-healing은 CSH겔, 수산화칼슘, 에트링자이트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방수재가 섬유상(또는 침상)의 수화물의 생성을 촉진하고 이들 수화물이 망목구조 형태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섬유상의 수화물이 시멘트 계의 self-healing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Elastofibroma Dorsi: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76 Cases

  • El Hammoumi, Massine;Qtaibi, Abderrahim;Arsalane, Adil;El Oueriachi, Faycal;Kabiri, El Hassan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11-116
    • /
    • 2014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linical, paraclinical, and treatment aspects of elastofibroma dorsi through a retrospective study of 76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2 in our department. Methods: Our study is retrospective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2. We admitted 79 patients with a subscapular mass, and only 76 patients had ED. The others (n=2) had high associated risk of anesthesia and were managed by a medical treatment and one patient had a subscapular sclerotic hemangioma.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9 years (range, 38 to 70 years), with a female predominance (54 females and 22 males). Subscapular location was constant. The right, left, and bilateral form was noted in 41, 15 and 20 cases, respectively. The diagnosis was clinical in 60 cases. Ultrasound and computerized tomography scans confirmed the diagnosis of an ill-defined mass in a subscapular location in all cases. Surgical treatment consisted of complete resection of the mass. The clinical diameter of the mass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urgical specimen (7 cm versus 12 cm) because the major hidden part of the mass in the subscapular area was inaccessible to palpation. Complications were noted in 9 cases (11.8%), seroma in 8 cases (10.5%), infection of wound site in 4 cases (5%), and parietal textilome in one case (1%). No case of recurrence was noted. Conclusion: Surgery of elastofibroma is unique because of the subscapular location of the parietal tumor, whose histological fibrous nature makes it very adherent to the chest wall.

생분해성 다공질 Calcium Metaphosphate 블록의 조직적합성에 관한 연구 (Biocompatibility and Bone Conductivity of Porous Calcium Metaphosphate Blocks)

  • 이용무;김석영;신승윤;구영;류인철;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559-568
    • /
    • 1998
  • direct bone apposition during bone remodelling. To address these problem, we developed a new ceramic, calcium metaphosphate(CMP), and report herein the biologic response to CMP in subcutaneous tissue, muscle and bone. Porous CMP blocks were prepared by condensation of anhydrous $Ca(H_2PO_4)_2$ to form non-crystalline $Ca(PO_3)_2$. Macroporous scaffolds were made using a polyurethane sponge method. CMP block possesses a macroporous structure with approximate pore size range of 0.3-1mm. CMP blocks were implanted in 8mm sized calvarial defect, subcutaneous tissue and muscle of 6 Newzealand White rabbits and histologic observation were performed at 4 and 6 weeks later. CMP blocks in subcutaneous tissue and muscle were well adapted without any adverse tissue reaction and resorbed slowly and spontaneously. Histologic observation of calvarial defect at 4 and 6 weeks revealed that CMP matrix were mingled with and directly apposed to new bone without any intervention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CMP blocks didn't show any adverse tissue reaction and resorbed spontaneously also in calvarial defect. This result revealed that CMP had a high affinity for bone and was very biocompatible. From this preliminary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CMP was a promising ceramic as a bone substitute and tissue engineering scaffold for bone formation.

  • PDF

미량의 은이 첨가된 바나듐산화물 전극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n the Silver Doped Vanadium Oxide Xerogel)

  • 박희구;김근태;이만호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2
  • 졸-겔법을 이용하여 미량의 은이 도핑된 $Ag_xV_2O_5$ xerogel(x=0.06, 0.11, 0.22)을 합성하여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소재로서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Ag_xV_2O_5$ xerogel은 무정형의 층상구조로 열처리하면 orthorhombic 구조로 전환되었으며, 표면구조는 $V_2O_5$와 유사한 단위체가 서로 얽혀 일정한 방향으로 성장하여 비등방성 fibril을 형성하고 있다. $Li/Ag_xV_2O_5$ xerogel셀의 전지 용량(specific capacity)은 10mA/g의 방전율에서 평균 359mAh/g, 싸이클 효율 $94\%$이상이었으며, 바나듐산화물에 첨가된 미량의 은에 의해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NMR실험으로 서로 다른 환경의 $Li^{+}$이온이 전극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구리와 Methylglyoxal에 의한 조류의 성장 및 인 흡수 (The Algal Phosphorus Uptake and Growth by Copper and Methylglyoxal)

  • 이기태;이기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4호
    • /
    • pp.145-153
    • /
    • 1999
  •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copper in solid fibrous form and methylglyoxal (MG) on phosphorus uptake and growth change of green algae Scenedesmus obliquus were studi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ure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MG in growth of algae with parameters of cell numbers, photosynthetic rate and cellular morphology, and phosphorus uptake by cell. When the copper in media is treated with 25 mg or 50 mg per 100 ml of Bristol solution, the mean cell number of algae was 15.642${\times}$10$\^$6/ cells$.$ml$\^$-1/ and 12.986${\times}$10$\^$6/ cells$.$ml$\^$-1/, respectively, while those of algae in culture without copper was 18.486${\times}$10$\^$6/ cells$.$ml$\^$-1/. The mean cell area of 2450 ${\mu}$m$^2$, 1894 ${\mu}$m$^2$and 1697 ${\mu}$m$^2$in basic media, basic media with 25 mg of copper and basic media with 50 mg of copper was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f copper on algal growth. The algal growth was stimulated by MG when the culture was treated with 25 mg of copper or without copper, while it was inhibited when the culture was treated with 50 mg of copper.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pper and MG on algal growth.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in algal medium treated with 25 mg or 50 mg of copper was 29.435 ppm and 26.224 ppm, respectively, while those of algae in culture without copper was 52.8 ppm, which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copper in algal medium can prevent the availability of phosphorus to algal cell.

  • PDF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내에 있는 중장 상피세포들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Midgut Epithelial Cells in the Mosquito Larvae, Anopheles sinensis Wiedemann)

  • 류재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3호
    • /
    • pp.199-209
    • /
    • 2004
  •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Culicidae; Diptera)를 사육하여 종령 유충의 중장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에 대한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중장 상피조직은 원주상흡수세포, 재생세포 그리고 분비과립세포 등으로 구성된 단층 점막상피를 이루었다. 원주상흡수세포의 첨단부 원형질막은 미세융모로 변형되어 "brush border"를 형성하였다. 기저원형질막은 심하게 주름이 잡혀 "canaliculi"를 만들며 길게 발달한 사립체와 접해 있었다. 또한 원주상흡수세포는 세포질내에 과립소포체, 사립체 그리고 골지체 등이 고루 발달한 전형적인 물질 흡수세포의 형태이었다. 재생세포는 세포기관이 미분화된 상태이었고,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아 검게 보였다. 작은 재생세포들은 1개 혹은 $2{\sim}3$개가 집단 (nidi)을 이루어 원주상흡수세포의 기저부 사이에 위치하였다. 직경이 약 $200{\sim}400$ nm 크기의 분비과립을 가지는 분비과립세포가 관찰되었는데 이 세포는 기저막상, 원주상세포의 기부 사이에 위치하여 원추형으로 관찰되었다. 기저막 바깥쪽에는 전형적인 골격근으로 분화된 환상근과 종주근 다발이 있었으며, 기저막과 근육층사이 결합조직인 점막하층에는 신경세포와 기관세지들이 관찰되었다.

처트-백운석 반응에 의한 석면상 투각섬석의 생성과 형태적 특성 (Asbestiform Tremolite Formed by Chert-Dolomite Reaction and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정기영;최진범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8
    • /
    • 2013
  • 제천시 수산면의 고생대 백운암에는 속성기원 흑색 처트 단괴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흑운모 화강암 관입과 관련된 접촉변성작용으로 백운석과 처트가 반응하여 단괴 주위로 변질대가 형성되었다. 변질 초기에 활석 및 방해석이 처트와 백운암을 교대하며 생성되었지만, 후기에 투각섬석이 활석과 방해석을 교대하였다. 처트 단괴들이 밀집한 백운암 층준에서는 회백색 투각섬석이 다량으로 산출된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 관찰결과, 투각섬석은 다양한 종횡비의 신장된 입자 형태를 보이며, 수 mm의 좁은 공간에서 같이 산출된다. 침상-섬유상 입자들이 다발을 이루는 석면상 투각섬석도 있으나, 주상 입자들도 흔히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연 유래 석면물질의 경우, 모든 투각섬석이 석면상 투각섬석은 아니므로 석면 정량 시 유의해야 한다. 수산 지역에서 석면상 각섬석의 산출 환경은 함처트 백운암, 열원, 수용성 유체의 존재가 투각섬석 석면의 지질학적 생성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미세캡슐화를 위한 분무건조 다당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pray Dried Polysaccharides for Microencapsulation)

  • 이승철;임채환;이상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22-1326
    • /
    • 1997
  • 미세캡슐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다양한 다당류의 점도를 측정하고,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하였다. 10% maltodexrin의 점도는 2.2 mPa.s, 10% gum arabic은 9.2 mPa.s, 10% dextran은 13.0 mPa.s, 1% gum locust bean은 4660.0 mPa.s, 1% gum karaya는 77.0 mPa.s로 측정되었다.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각종 다당류의 미세캡슐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um arabic은 20%의 농도에 비하며 30%에서 입자가 크게 형성되었으나 40%에서는 섬유상의 늘어진 형태가 관찰되었다. Maltodextrin 30%메서 고른 분포의 원형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40%의 농도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뭉쳐서 관찰되었다. Dextran은 20%에서 구형의 캡슐이 골고루 관찰되었으나, 30%이상의 농초에 서는 섬유상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Gum arabic : maltodextrin (1:3, w/w) 경우에서는 20%, 30%, 40%농도에서 구형의 캡슐이 고르게 관찰되었고 농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