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rment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7초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시킨 밀가루 발효물의 첨가가 면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rter of Flour Ferment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Physical Properties of Noodle Dough)

  • 차욱진;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01-80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면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가루에 정상발효균인 L. acidophilus를 배양하여 면 제조 시 발효물로서 이용하고자 이를 첨가한 반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면의 주 원료인 밀가루, 물, 소금의 혼합액에 유산균인 L. acidophilus를 선택 접종시켜 30시간 배양 발효시켜 이를 밀가루 발효물로 사용하였다. 파리노그래프 특성에서 발효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반죽의 흡수율과 안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탄력도는 증가하였다. 발효물의 첨가량에 따른 반죽의 전체적인 강력도는 첨가량에 따라 상승하였으나 20%이상 첨가 시에는 떨어졌다. 아밀로그래프 특성에서 발효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발효물 첨가량 증가에 따라 명도가 비례적으로 밝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색도와 적색도도 높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밝고 투명도가 좋았다. 총색도 값은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Ferment Cultured by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5-800
    • /
    • 2009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farinograph, amylograph, extensograph, 발효팽창력, 반죽의 총산도 및 반죽의 pH 등을 측정하였다. Farinograph에서 밀가루의 흡수율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이 아주 적었으나 유청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의 반죽생성시간은 3.2분 길었고 안정도는 16.2분 짧았다. Amylograph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온도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을 거의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낮아졌다. Extensograph에서 반죽의 저항성과 R/E비율은 유청 발효물 첨가로 높아졌으나 신장성은 낮아졌다. 효모에 의한 발효팽창력은 유청 발효물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반죽의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는 낮아졌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한 밀가루 발효물이 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Ferment Cultur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s)

  • 차욱진;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25
    • /
    • 2008
  • 밀가루에 정상발효 젖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여 면 제조시 발효물로서 이의 실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실험은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물의 첨가에 따른 면의 호화도를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발효물을 첨가한 면의 엔탈피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면의 노화도는 첨가되는 발효물의 양이 많을수록 엔탈피가 감소되어 면의 노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물성 측정에서는 응집성은 대조구가 높았고, 점착성은 대조구가 낮았다. 탄성은 대조구가 발효물 첨가구보다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초기의 차이가 점차 좁혀져 12일 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탄성을 갖게 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에 대한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조직감은 대조구와 같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발효물이 10% 첨가된 면이 대조구보다도 높게 나타나, 면 제조 시 20%까지의 발효물 첨가는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Lactobacillusacidophilus를 이용한 밀가루 발효물을 제면산업에 이용할 경우에는 유익한 품질개선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야채발효원액이 성인병에 미치는 영향(II) (Effect on Adult Disease of Vegetable Ferment(II))

  • 신우진;이용태;최영현;최병태;박동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10-814
    • /
    • 2003
  • Backgroud and Purpose ; I intented to be helpful to treat adult disease through a clinical study of effect of vegetable ferment. Methods ; I studied 40 women of adipositas during 3 months from August. 2002 to July. November 2002, and then I analyzed level of examination after administration of vegetable ferment. Results and Conclusion ; vegetable ferment was administered to 40 women of adipositas for 3 months. The results level of 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vegetable ferment, but triglyceride and HDL-C increased. And the results level of fat mass, fat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vegetable ferment but obesity, fat distribution of abdomen and body weight didn't decreased.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한 밀가루 발효물이 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Preservation of Noodles Adding the Wheat Flour Ferment Cultur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차욱진;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4-168
    • /
    • 2007
  • 본 연구는 면의 특성 중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가루에 정상 발효균인 L. acidophilus를 배양한 발효물을 면 제조 시에 첨가하여 이의 실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면제조시 주원료인 밀가루, 물, 소금의 혼합액에 L. acidophilus를 선택 접종시켜 30시간 배양시킨 발효물의 첨가는 면의 pH를 감소시켰으며, 발효물 5% 첨가량 범위 내에서는 명도 및 총색도 등의 면 색상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생면의 경우 발효물 10% 이상 첨가 시에는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세균이 $log10^3$ 이상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생면의 변질은 저장 4일에 나타났으나, 5%와 10%의 발효물을 첨가 시에는 각각 저장 6일과 8일 후에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숙면의 변질은 저장 8일에 나타났으나, 5%의 발효물을 첨가한 숙면은 저장 12일에 나타나, 저장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L. acidophilus를 이용한 밀가루 발효물을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고 있는 제빵 및 제면산업에 이용할 경우에는 저장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을 생각된다.

밀가루 입국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만든 Seed mash를 첨가한 발효액종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ur Ferment with Seed Mash Containing Wheat Flour Koji and Lactic Acid Bacteria)

  • 이명구;강상모;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97-102
    • /
    • 2006
  • 빵의 노화와 풍미 향상을 목적으로 빵 제조시 첨가하기 위하여 제조한 유산균, 효모, seed mash을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액종(flour ferment)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ed mash를 첨가하지 않은 발효액종은 배양 6시간 경과시 pH와 TTA가 각각 5.6 및 2.5이었으며, seed mash 5%와 각기 다른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액종은 pH가 4.63-4.69와 TTA가 9.0-9.9이었다. 4시간 발효시킨 발효액종에 함유된 유기산은 대조구의 경우 프로피온산이 0.09mg/g, 젖산과 초산이 각각 0.06 및 0.04 mg/g 검출되었으며, seed mash와 효모만을 발효시킨 발효액종에서는 프로피온산이 0.21 mg/g, 젖산과 초산이 각각 0.16, 0.06 mg/g, seed mash와 유산균, 효모를 혼합 배양한 발효액종에서는 젖산이 0.23-0.27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프로피온산이 0.21 mg/g, 초산이 0.06-0.08 mg/g 검출되었다. 발효액종의 향기성분은 seed mash, 효모, 유산균을 혼합 배양한 발효액종에서 ethyl caprylate, ethyl caproate, ethyl acetate, ethyl caprate, phenylethyl acetate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대조구에서 보다 많이 검출되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P-12에 의한 대두 발효물의 Cyclo-His-Pro (CHP) 함량 증진 및 항당뇨 효과 (Enhancement of Cyclo-His-Pro (CHP) Content from Soybean Fermented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P-12 and Its Anti-diabetic Effect)

  • 나경수;최장원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41-48
    • /
    • 2011
  • To enhance cyclo-His-Pro (CHP) content, soybean hydrolysate was obtained using the strains isolated from Chungkukjang and further purified by various purification steps. First, twenty two strains were screened from Chungkukjang containing high level of CHP. Among them, the strain No. 12, which showed higher productivity of CHP from soybean ferment and have homologous sequence with 16S rDNA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was named B. amyloliquefaciens CHP-12.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processes, CHP was concentrated from soybean ferment using ultrafiltration, which showed the best efficiency of CHP production, with the yield (71.3%) and CHP content (2.14 mg/g). Moreover, when glucose tolerance test was performed in Type I Sprague-Dawley rat induced by streptozotocin using the soybean ferments [0.5 g soybean ferment/kg body weight (CHP-0.5 group)] and 1.0 g soybean ferment/kg body weight (CHP-1.0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ucose levels between diabetes-control group (265.3 mg/dL) and soybean ferment-treated groups (CHP-0.5 group: 84.3 mg/dL and CHP-1.0 group: 85.3 mg/dL) 120 min after glucose injection (2 g/kg body weight) (p < 0.05).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soybean ferment containing high level of CHP might be a candidate material as an anti-diabetic supplement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healthy foods.

Treatment of GABA from Fermented Rice Germ Ameliorates Caffeine-Induced Sleep Disturbance in Mice

  • Mabunga, Darine Froy N.;Gonzales, Edson Luck T.;Kim, Hee Jin;Choung, Se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3호
    • /
    • pp.268-274
    • /
    • 2015
  •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is involved in sleep physiology. Caffeine is widely used psychoactive substance known to induce wakefulness and insomnia to its consum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GABA extracts from fermented rice germ ameliorates caffeine-induced sleep disturbance in mice, without affecting spontaneous locomotor activity and motor coordination. Indeed, caffeine (10 mg/kg, i.p.) delayed sleep onset and reduced sleep duration of mice. Conversely, rice germ ferment extracts-GABA treatment (10, 30, or 100 mg/kg, p.o.), especially at 100 mg/kg, normalized the sleep disturbance induced by caffeine. In locomotor tests, rice germ ferment extracts-GABA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reduced the caffeine-induced increase in locomotor activity without affecting motor coordination. Additionally, rice germ ferment extracts-GABA per se did not affect the spontaneous locomotor activity and motor coordination of mice. In conclusion, rice germ ferment extracts-GABA supplementation can counter the sleep disturbance induced by caffeine, without affecting the general locomotor activities of mice.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생산물을 가축분뇨 퇴비화에서 수분조절제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use foodwaste ferment as a bulking agent in livestock waste composting)

  • 김성범;최훈근;김규연;이성기;송영일;김현중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1호
    • /
    • pp.58-6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생산물을 가축분뇨 퇴비화에서 수분조절제로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유기성 폐기물중 많은 발생량과 높은 농도의 오염도를 보여주는 음식물쓰레기와 가축분뇨를 처리함에 있어 비용적인 면과 환경적인 면을 고려하여 발효생산물을 수분조절제(Bulking agent)로 이용하여 퇴비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리화학적 변화, 중금속농도, 처리방법별 비용, 적정혼합비 등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과정에서 온도와 OM/N비는 16~24일을 전후하여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2. 축분과 발효생산물을 혼합한 퇴비의 염분은 0.5%내의 값을 나타내었는데, 축분이 발효생산물의 높은 염분농도를 희석한 것으로, 음식물퇴비의 염분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3. 축분의 퇴비화 공정에서 우분과 발효생산물을 4 : 6의 비율로 혼합한 방법이 가장 빠른 반응을 보여주었다. 4. 톱밥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호기성 퇴비화 평균비용은 40원/kg임에 비해서, 발효생산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호기성퇴비화의 평균비용은 30원/kg이므로, 경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새싹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MMP-1 inhibitory activity of Panax Ginseng Sprout Extracts)

  • 김민정;양예진;양주혜;이원융;김우현;이재남;박광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3-90
    • /
    • 2024
  • Objectives : As a substitute for high-price ginseng,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possibility of the ferment extract of Panax ginseng sprout whether leaves and roots can be used together as a cosmetic ingredient with anti-oxidative and wrinkle-care effects. Methods : In terms of a test metho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nfirmed through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Panax ginseng sprout. In addition, to assess wrinkle-care effectiveness,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 was analyzed through MTT assay, and inhibition of collagenase activity in the cells was tested using the Panax ginseng sprout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Resuits : The content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natural plants was highest in Panax Ginseng Sprout Extract at 100℃, which also demonstrated high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TT assay demonstrated that the Panax Ginseng Sprout Ferment Extract did not have a cytotoxic effect in CCD-986SK cell. Also, Panax Ginseng Sprout Ferment Extract was found to inhibit MMP-1 expression by 51.85±6.09% at a concentration of 10%. Conclusions : Therefore, this study has confirmed a possibility of Panax ginseng sprout ferment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with MMP-1-inhibitory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