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fluorescenc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5초

즉석 추어탕을 냉동 건조미꾸라지의 저장성 (Storage Stability of Freeze Dried Loach for Instant Choo-o-tang)

  • 류홍수;문숙임;이수정;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3-160
    • /
    • 1999
  • Storage stability of boiled and freeze dried loach and antioxidative effe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ere studi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in development of instant choo o tang(Korean traditional loach soup).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did not cause a measurable change in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within 45 days of storage but remarkable quality changes were occurred in all samples stored after 60 days. Vacuum packag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4 oC) had some effect in retarding protein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delay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oxidation. Maximum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were reached in 15 days, and there were a slow(TBA value) and rapid reduction(POV) after peaks were reached. In contrast, increasing brown pigment development and fluorescence intensity continued until 90 days of storage. Treatment of ethanolic extract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prior to freeze drying could protect against lipid oxidation of freeze dried loach products.

  • PDF

전복 용매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활성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Extract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37-7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동결 건조시킨 후 전복의 지방산을 비교 분석하였고 세포독성 활성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전복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방산 조성 변화를 살펴보면 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16:0의 함량이 건조 전복에서 높았고 불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건조 전복의 경우 낮은 함량의 20:4n-6와 높은 함량의 22:6n-3를 나타내었다. 전복 A+M 추출물을 0.05 및 0.1 mg/ml 첨가농도로 HT-29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24%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MeOH 추출물의 경우 A+M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가 낮았다. 건조 전복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세포독성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에서 낮은 농도에서는 MeOH 추출물보다는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분획물들 간 큰 차이는 없으나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생성 억제효과가 다소 높아 36%의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adiponectin (AdipoQ) gene in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 Wang, Linjie;Xue, Ke;Wang, Yan;Niu, Lili;Li, Li;Zhong, Tao;Guo, Jiazhong;Feng, Jing;Song, Tianzeng;Zhang, Hongp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088-1097
    • /
    • 2018
  • Objective: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adiponectin binds to its two receptors to regulate fatty acid metabolism in adipocytes. To better understand their functions in the regulation of intramuscular adipogenesis in goats, we cloned the three genes (adiponectin [AdipoQ], adiponectin receptor 1 [AdipoR1], and AdipoR2) encoding these proteins and detected their mRNA distribution in different tissues. We also determined the role of AdipoQ i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SMSCs). Methods: SMSCs were isolated using 1 mg/mL Pronase E from the longissimus dorsi muscles of 3-day-old female Nanjiang brown goats. Adipogenic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satellite cells by transferring the cells to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pplemented with an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cocktail. The pEGFP-N1-AD plasmid was transfected into SMSCs using Lipofectamine 2000. Expression of adiponectin in tissues and SMSCs was detect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 Results: The three genes were predominantly expressed in adipose and skeletal muscle tissues. According to fluorescence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es, adiponectin protein expression was only observed in the cytoplasm, suggesting that adiponectin is localized to the cytoplasm of goat SMSCs. In SMSCs overexpressing the AdipoQ gene, adiponectin promoted SMSC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nd significantly (p<0.05) up-regulated expression of AdipoR2, acetyl-CoA carboxylase, fatty-acid synth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though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AdipoR1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nclusion: Adiponectin induced SMSC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dicating that adiponectin may promote intramuscular adipogenesis in goat SMSC.

Cloning of OLR1 Gene in Pig Adipose Tissue and Preliminary Study on Its Lipid-accumulating Effect

  • Sun, Chao;Liu, Chun-wei;Zhang, Zhong-p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1420-1428
    • /
    • 2009
  • In this study we cloned and characterized a novel lipid-accumulating gene, the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1 (OLR1), which is associated with lipogenesis. We analyzed the gene structure and detected the mRNA transcriptional expression levels in pig adipose tissues at different months of age (MA) and in different economic types (lean type and obese type) using real-time fluorescence quantitative PCR. OLR1 expression profile in different tissues of pig was analyzed. Finally,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OLR1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2$ ($PPAR{\gamma}2$), fatty acid synthetase (FAS), triacylglycerol hydrolase (TGH), 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Results indicated that the OLR1 gene of the pig exhibited the highest homology with the cattle (84%), and the lowest with the mouse (27%). The signal peptide located from amino acid 38 to 60 and the domain from amino acid 144 to 256 were shared by the C-type lectin family. The expression level of OLR1 in pig lung was exceedingly higher than other tested tissues (p<0.01). In pig adipose tissue, the expression level of OLR1 mRNA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growth (p<0.01). The expression level of OLR1 mRNA in obese-type pig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ean-type pigs of the same monthly age (p<0.05). In adipose tissue, the expression of OLR1 correlated with $PPAR{\gamma}2$, FAS and SREBP-1c, but not TGH or C/EBP${\alpha}$. In conclusion, OLR1 was highly associated with fat deposition and its transcription, as suggested by high correlations, was possibly regulated by $PPAR{\gamma}2$ and SREBP-1c.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staphylococcal Substance from Pseudomonas sp. KUH-001

  • Hwang, Se-Young;Lee, So-Hee;Song, Kook-Jong;Kim, Yong-Pil;Kawahara, Kazuyos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11-118
    • /
    • 1998
  • A bacterium producing unique antistaphylococcal substance (ASS)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The isolated strain KUH-001 was identified to belong to Pseudomonas species from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its fluorescence and cellular 3-hydroxy fatty acid composition, etc. The ASS component was purified by procedures employ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with silica gel, preparative TLC and HPLC. This compound could also be purified mainly by repeating of trituration and precipitation with chilled ether. Purified ASS with a m.p. value of $140~142^{\circ}C$ showed marked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at $121^{\circ}C$ for 10 min) and extreme pHs (in 1N HC1 and 1N NaOH for 1 day) without significant loss of antibiotic activity. From spectral data of UV, IR, NMR, and FAB-MS, the compound was elucidated as 2-heptyl-4-hydroxyquinoline N-oxide (HHQO).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HHQO exhibited a narrow antimicrobial spectrum. active particularl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ncluding the methicillin resistant strain. Moreover, it did not induce resistance, and besides, interacted synergistically with certain antibiotics such as vancomycin or erythromycin.

  • PDF

KF/MgO 촉매를 이용한 대두유의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f Soybean Oil over KF/MgO Catalyst)

  • 조용범;전종기;박성훈;박영권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344-3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 MgO의 염기세기를 증가시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있어 보다 좋은 활성을 가지는 촉매를 만들고자 하였다. MgO를 실험실에서 제조한 후 지지체로 사용하였으며 염기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KF를 함침법으로 담지하였다. BET, XRD, XRF, $CO_2$ TPO로 촉매의 특성분석을 하였고, 대두유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바이오디젤을 합성한 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촉매의 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KF를 30% 담지한 촉매가 활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중간세기 염기도가 더 많이 관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PVC 포장재에서 식품유사용매와 식품으로 이행되는 알킬페놀 (Migration of Alkylphenols from PVC Food Packaging Materials to Food Simulants and Foods)

  • 이선희;임흥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6-422
    • /
    • 2001
  • 식품포장용 PVC제인 wrap, sheet 및 gasket으로부터 식품 유사용매와 식품으로 이행되는 알킬페놀류를 HPLC와 GC/MSD로 분석하였다. 세 가지 모든 재질에서 7개의 nonyl phenol 이성질체만이 검출되었고 다른 알킬페놀류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wrap이 sheet와 gasket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각 포장재질로부터 수용성 식품유사용매(증류수, 4% acetic acid, 20% ethanol)와 지용성 식품유사용매(n-heptane)에 의한 nonyl phenol의 용출량은 처리온도 $60^{\circ}C$보다는 $95^{\circ}C$에서, 수용성보다는 지용성 식품유사용매에서 각각 많았고, 또한 wrap에서 sheet와 gasket보다 그 양이 많았다. PVC gasket을 사용한 과일쥬스, olefin계 gasket을 사용한 유아용 쥬스, olefin계 병마개를 사용한 음료에서 nonyl phenol이 각각 포장재로부터 이행되었으며, 포장하기 전의 이들 식품에서도 nonyl phenol이 검출되었다.

  • PDF

패류의 건조조건에 따른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Shellfish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Drying)

  • 이강호;조태용;조호성;이종호;심기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48
    • /
    • 1998
  • 홍합, 바지락 등의 건제품은 주로 지질의 산화생성물과 단백질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의 품질저하를 일으키며 특히 시판 건제품은 상온에서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유통되고 있어 이들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의 열풍 건조온도($40^{\circ}C,\;50^{\circ}C,\;60^{\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과 갈변 및 형광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등의 아미노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홍합과 바지락의 열풍건조 중 수분의 감소는 $60^{\circ}C$에서 건조한 경우가 가장 컸으며, $40^{\circ}C$에서 건조한 경우 홍합이나 바지락은 10시간의 건조에 의해서도 곰팡이의 생육이 억제되는 수분활성 0.62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50^{\circ}C$의 경우 홍합은 8시간, 바지락은 10시간의 건조에 의해 Aw 0.61을 나타내었으며, $60^{\circ}C$ 건조구에서는 홍합은 6시간, 바지락은 8시간의 건조만으로도 수분함량 $10\%$ 정도로 건조되었다 지질의 산패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바지락이 홍합에 비해 육조직이 치밀하여 건조속도가 느리며 공기와의 접촉도 홍합에 비해 많지 않아 초기산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다. 갈변도와 형광강도의 경우도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조시간이 길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또한 홍합이 바지락보다도 형광물질의 생성량이 많아 지질의 산패도나 갈변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40^{\circ}C$의 경우 10시간의 건조에 의해서도 보장성이 인정되는 수분활성 0.62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60^{\circ}C$는 건조속도는 촉진시키나 산화에 따른 산가, 과산화물가, 갈변색소 등을 생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50^{\circ}C$의 경우 $8\~10$시간의 건조시 보장성이 있는 수분 (Aw 0.61,수분함량 $11.1\%$) 한계치에 도달했으며 또한 산화속도도 다소 완만하게 진행되어 건조 중 산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이라 생각된다.

  • PDF

고추역병균(疫病菌)(Phytophthora capsici)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Ⅲ. 항균물질(抗菌物質)의 구조분석(構造分析)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Red-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Ⅲ. Identification of the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Pseudomonas sp. A - 183.)

  • 장윤희;장상문;최정;이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
    • /
    • 1997
  • 고추 역병균(疫病菌)(P. capsici)에 우수(優秀)한 항균활성(抗菌活性)을 가진 3가지의 항균물질(抗菌物質)을 Pseudomonas sp. A-183 배양액(培養液)으로 부터 분리(分離) 정제(精製)하였다. 분리(分離)된 3가지의 항균물질(抗菌物質)에 대한 분자구조식(分子構造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UV, IR, $^1H$ NMR, $^{13}C$ NMR Spectroscopy법(法)으로 해석하였다. A와 B물질(物質)은 Molish 및 Anthrone반응(反應)에 양성(陽性)으로, Fehling반응(反應)에는 음성(陰性)으로 나타났으므로 nonreducing sugar구조(構造)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물질(物質)은 위의 시약(試藥)에서 정색반응(呈色反應)을 나타내지 않고 단지 UV흡수(吸收)만을 나타내었다. Mass, NMR 및 IR 분광분석(分光分析)에 의해 A와 B물질(物質)은 당(糖)으로는 deoxyhexose인 rhamnose를 포함하고 지방산으로는 ${\beta}-hydroxydecanoic$ acid를 포함하였다. 또 이들 사이에는 O-glycoside결합(結合)이 형성(形成)되어 있었으며 A와 B물질(物質) 사이에는 당(糖) 한분자(分子)의 차리(差異)가 나타났다. 종합적(綜合的)으로 A물질(物質)은 glycolipid B인 3-hydroxy-(3-hydroxydecanoyl) -decanoic acid $3-O-{\alpha}-L-rhamnopyranosyl(1{\to}2)rhamnopyranoside$, B물질(物質)은 glycolipid A인 3-hydroxy-(3`-hydroxydecanoyl)decanoic acid $3-O-{\alpha}-L-rhamnopyranoside$로 동정(同定)되었으며, C물질(物質)은 phenazine으로 확인(確認)되었다.

  • PDF

Rhodosporidium toruloides에서의 적색 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의 중성지방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Red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on Triglyceride Biosynthesis in Rhodosporidium toruloides)

  • 강주원;이승제;안병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6-196
    • /
    • 2021
  • 본 연구는 유지효모 R. toruloides를 활용하여 적색 파프리카 추출물의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조구, 양성대조구, 0.02, 0.1 및 0.5%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구의 총 지질 함량은 각각 80.45±2.40, 86.61±11.58, 79.82±2.80, 85.30±0.91 및 92.40±12.40 mg/g으로 나타났으며, 유지효모의 중성지방 함량은 각각9.89±0.36, 7.58±1.11, 7.28±0.17, 6.68±0.35 및 5.23±0.67 mg/dL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양성대조구, 0.02, 0.1 및 0.5%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구의 지방소적 형성을 관찰한 결과,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소량의 형광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지효모 내 생성되는 지방소적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대조구, 양성대조구, 0.02, 0.1 및 0.5%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구의 세포수는 각각 1.90±0.16, 2.17±0.25, 1.85±0.11, 2.28±0.21 및 2.49±0.03×108 cell/mL으로 나타났으며,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각각2.44±0.05, 2.71±0.07, 2.46±0.16, 2.52±0.10 및 2.98±0.14 mg/g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의 첨가농도에 따른 유지효모 내 중성지방 억제 효과, 지방소적의 감소, 세포수 및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한 결과를 통해 적색 파프리카 70% 에탄올 추출물이 중성지방 억제 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활성 물질의 규명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