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re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초

The Foliage of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or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as a Substitute for a Rice Bran - Soya Bean Concentrate in the Diet of Lactating Goats

  • Mui, Nguyen Thi;Ledin, Inger;Uden, Peter;Binh, Dinh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45-54
    • /
    • 2002
  • Ninety lactating goats (Bachthao, Barbary, Beetal and Jamnapary breeds) were used in an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replacement value of the tree fodders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and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The foliages were used to replace the concentrate in diets based on chopped whole sugar cane (Sacharatum sp.), Para grass (Brachiaria mutica) and dried cassava root (Manihot esculanta). The concentrate was replaced by foliage of Jackfruit or Flemingia at 0%, 20%, 40%, 60% and 80% based on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in the concentrate and foliages, respectively. Average milk yield was 1,617 g/day for goats fed Jackfruit compared to 1,532 g/day for those fed Flemingia. Increasing amounts of Flemingia foliage resulted in reduced dry matter intake and decreased milk yield but milk composition (CP, casein and fat content) was similar up to 60% replacement. Flemingia showed a poor potential as a supplement for lactating goats and replacement levels should not exceed 20% of the protein in the concentrate or 7.5% of the dry matter in the diet.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milk production and net return over the control a CP replacement rate of 20% was the most promising. For Jackfruit there was similar feed intake and milk yield at a replacement level of 20% of CP in the concentrate (9.2% of DM intake)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Milk yield at the level of 40% replacement (15% of the DM) in the diet was slightly reduced. Up to a level of CP replacement rate of 60% (21% DM in the diet) can be suggested for on-farm testing as a higher net return over the control was obtained on stati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Shea Butter Extracts in Canine Keratinocytes

  • Lim, Dahye;Bae, Seulgi;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7-31
    • /
    • 2021
  • Shea butter (Vitellaria paradoxa) is a fat extracted from shea tree nuts and contains relatively high levels of non-glycerides. Triterpenes, the main non-glyceride component, exhibit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tumor,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Shea butter extract (SBE)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skin problems such as burns, eczema, and rash in human medicine,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activity of SBE on canine skin. This study evaluated the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BE in canine keratinocytes. Cytotoxicity of lipopolysaccharide (LPS, 5-50 ng/mL) and SBE (50-200 ㎍/mL) was evaluated using the CCK-8 assay. Non-cytotoxic concentrations of LPS and SBE were administered to canine cell culture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BE, the levels of IL-1β, IL-8, IL-12, and TNF-α were measured using ELISA kits. The concentration of each cytokine was quantified in control, LPS-treated, LPS + SBE-treated groups. Increased levels of IL-1β, IL-8, and IL-12 were found in LPS-treated groups relative to control groups. LPS + SBE-treated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IL-1β, IL-8, and IL-12 than LPS-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E may have application as a topical agent for canine inflammatory skin diseases. However, further in vivo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BE in dogs.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실험동물의 당뇨성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개선효과 (Ethyl acetate fraction from Pteridium aquilinum ameliorates cognitive impairment in high-fat diet-induced diabetic mice)

  • 권봉석;궈텐쟈오;박선경;김종민;강진용;박상현;강정은;이창준;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49-658
    • /
    • 2017
  •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를 통해 유도되는 혈당 상승과 이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PA)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에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을 식이를 하였을 때, 공복혈당을 낮추었고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한 내당능 시험에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동물의 혈액을 이용한 혈청분석 결과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TCHO)과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과 같은 지방질 대사 수준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행동학적 시험(Y-maze, passive avoidance, Morris water maze tests)을 통해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공간인지 능력, 단기 학습 능력, 장기 기억 능력이 고지방 식이군(HFD)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동물 행동 실험 후 적출된 뇌 조직에서 산화방지 효소인 초과산화물제거효소(SOD)의 함량과 지방질과산화 정도(MDA level)를 측정해본 결과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이 조직에서의 산화방지 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는 아세틸콜린(ACh)과 아세틸콜린 가수분해효소(AChE)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아세틸콜린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었고 그 결과 아세틸콜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되는 혈당 상승 및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QTRAP LC-MS/MS를 시행한 결과, 주요 물질은 kaempferol-3-O-glucoside로 동정되었고 이 이외에 caffeolyshikimic acid, quercetin-3-O-glucoside, kaempferol-3-O-rutinoside 등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캠페롤(kaempferol)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PA)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당 상승과 이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섬오갈피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물의 함량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by Harvest Time and Parts of Acanthopanax koreanum)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6-109
    • /
    • 2000
  •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Nakai)을 이용하기 위한 알맞은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용 성분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4년생 섬오갈피 나무의 성분 조성은 부위에 따라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이 각각 $2.98%{\sim}3.90%,\;1.93%{\sim}2.34%,\;3.52%{\sim}4.23%$이었다. 수확시기 및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평균적으로 K가 835.9 mg/100g, Ca 971.3 mg/100g, Mg 168.7 mg/100g, Na 38.8 mg/100g, Fe 18.6 mg/100g, Cu 8.5 mg/100g이었다. Ca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줄기와 뿌리에서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줄기에서의 당 함량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각각 $0.71{\sim}0.75%,\;0.31{\sim}0.03%,\;0.16{\sim}0.21%$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381.0\;mg/100g{\sim}504.9\;mg/100g$으로 수확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12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33.56\;mg/100g{\sim}48.60\;mg/100g$으로 9월에 수확한 것이 가장 높았다. 줄기에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은 argin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이었다.

  • PDF

제주재래수수의 점파립수에 따른 사료수량 및 조성분 분석 (Effects of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on Growth Character, Yield and Feeding Value in Jeju Native Sorghum)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전용철;오장식;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9-136
    • /
    • 2004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점파립수(1, 2, 3, 4, 5 및 6립)에 따른 제주재래수수의 생육반응, 수량,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3일부터 9월 6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66일에서 69일로 점파립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점파립수가 많을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1립 점파에서 201.6cm이었던 것이 3립에서 206.7cm로 길어졌으나, 점파립수가 그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작아져서 6립 점파에서는 175.2cm이었다. 생촌 건물, 단백질 및 TDN수량은 3립 점파에서 48.1MT/ha, 10.lMT/ha, 0.9MT/ha, 5.1MT/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과 그 이하의 점파에서는 점차적으로 감수되었고, 6립 점파에서는 생초수량 36.7MT/ha, 단백질수량 0.6MT/ ha, TDN수량 3.2MT/ha로 가장 낮았다. 점파립수가 1립에서 6립으로 많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8.7%에서 9.9%로, 조지방 함량은 2.5%에서 3.4%로,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39.4%에서 41.7% 로, TDN 함량은 49.4%에서 51.4%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8.5%에서 34.8%로, 조회분 함량은 9.4%에서 8.1%로 감소되었다.

불확실성 분석을 이용한 $^{99m}Tc$ 발생기 사용의 방사선위험도 평가 (Rad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99m}Tc$ Generator using Uncertainty Analysis)

  • 장한기;김주연;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29-139
    • /
    • 2004
  • 의료 및 산업체에서 중형방사선 선원의 사용증가는 정규 및 사고시 작업자와 일반인에 대해 방사선 노출의 위험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형 의료용 선원을 사용하는 $^{99m}Tc$ 발생기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건수목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현실에 적합한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정규 및 사고시로 나누어 작업자와 일반인에 대해서 몬테칼로 기법에 의거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위험도결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5가지 독립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빈도수의 기여로 인해 정규작업에 대한 위험도가 사고시 위험도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99m}Tc$ 발생기의 경우 정규작업 시 작업자 $0.6mSvy^{-1}$, 일반인 $0.014mSvy^{-1}$ 이며 사고시 작업자 $3.96mSvy^{-1}$, 일반인 $0.0016mSvy^{-1}$로 평가되었다. 정규작업 보다 사고시의 불확실성 범위가 10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민감도 분석 결과 선원의 강도, 작업거리, 작업시간이 위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이리한 위험도 평간 방법론과 결과는 중대형 선원에 대한 위험도 정보 활용 규제 (Risk-Informed Regulation)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몽골 유목민의 겔(gel)과 음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golia's Ger and Food in Pastoral Nomadic Way of Life)

  • 장보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5-163
    • /
    • 1997
  • 몽골의 건조한 자연환경에서 몽골인들은 유목이라고 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또한 유목민들은 초원에서 유목 생활에 필요한 가옥으로 이동식의 겔을 창조해 냈다. 겔의 주요 재료는 버드나무 줄기와 휄트인데, 전자는 하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겔의 골조로 사용되고, 후자는 양모를 원료로 만들어졌는데 지붕을 덮고 벽을 두르는데 사용한다. 겔은 건축하기 쉽고, 해체하기 쉬우며, 운반하기에 가벼운 특성을 갖는 이동식 가옥이다. 겔의 형태는 원형 평면에 낮은 원추형의 지붕으로 되어 있어서 바람에 대한 저항이 적고, 휄트는 단열의 효과가 좋은 재료이다. 즉 겔은 바람이 강하고 혹한의 겨울을 대비한 유목민의 가옥이다. 유목민의 음식은 가축예서 얻을 수 있는 젖과 고기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우유 양유 야크유 등을 많이 마시며, 가공하여 치즈 버터 마유주 등을 만들고, 육류는 삶아서 먹고, 일부는 건조시켜 장기간 저장해 놓고 먹는다. 내장은 순대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유목민들이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아도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은, 풀을 사료로 하는 양에서 짠 젖에 필요한 식물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PDF

머신러닝을 활용한 식품소비에 따른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Metabolic Diseases Classification Models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using Machine Learning)

  • 홍준호;이경희;이혜림;정환석;조완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4-360
    • /
    • 2022
  • 대사성 질환은 국내의 경우 유병률이 26%에 이르는 질환으로 복부비만,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고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5가지 상태 중 3가지를 동시에 가진 상태를 말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의 소비자패널 데이터와 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데이터를 연계하여 식품 소비 특성을 통해 대사성 질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누는 분류 모델을 생성하고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기존의 국내외에서 연구된 많은 대사성 질환과 식품 소비 특성 관련 연구는 특정 식품군이나 특정 성분의 질환 상관성 연구이며, 본 논문은 일반 식사에서 포함하는 모든 식품군을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 모델, 의사결정나무 기반 분류 모델, XGBoost를 활용한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 세 가지 모델 중 정확도가 높은 모델은 XGBoost 분류 모델이지만, 정확도가 0.7 미만으로 높지 않았다. 향후 연구로 환자군의 식품 소비 관찰 기간을 5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섭취한 식품을 영양적 특성으로 변환한 후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연구가 필요하다.

두과수엽(荳科樹葉)의 사료가치(飼料價値)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eeding Value of Some Leguminosae Tree Leaves)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399-404
    • /
    • 1975
  • 두과수엽(荳科樹葉)의 사료적(飼料的) 이용성(利用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싸리(Lespedeza spp.), 쪽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및 아카시아 (Robinia pseudo acacia)를 대전시(大田市) 및 대덕군(大德郡) 각(各) 지역(地域)에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수집(蒐集)하고 수엽(樹葉)의 생산성(生産性),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의 변화(變化), 기호성등(嗜好性等)을 시험(試驗) 고찰(考察)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엽(樹葉)의 생산성(生産性)은 싸리에 비하여 쪽제비싸리 및 아카시아가 높았으며 쪽제비싸리는 8월에, 아카시아는 9월에 보다 높은 수량(收量)을 나타내었다. 2.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은 싸리가 12.60%, 쪽제비싸리가 18.63%, 아카시아는 15.87%를 함유(含有)하여 쪽제비싸리가 가장 높았으며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함유량(含有量)은 점차 감소(減少)되었다. 3. 조지방(粗脂肪) 함량(含量)은 싸리가 9.00%, 쪽제비싸리가 5.85%, 아카시아가 4.70%를 나타내고 생육기간(生育期間)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되었다. 4. 조직유(組織維) 함량(含量)은 싸리가 14.79%, 쪽제비싸리가 12.61%, 아카시아는 9.80%를 나타내어 아카시아가 가장 적었으며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 되었다. 5.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함량(含量)은 아카시아가 53.01%로서 가장 높았으며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 6. 조회분(粗灰分) 함량(含量)은 싸리가 4.40%, 쪽제비싸리가 4.98%, 아카시아가 5.27%로서 아카시아가 가장 높았으며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함량변동(含量變動)은 일정하지 않았다. 7. 두과수엽(荳科樹葉)의 기호성(嗜好性)은 싸리, 아카시아, 쪽제비싸리의 순으로 좋았고 생엽(生葉)에 비하여 건엽(乾葉)이 더 우수한 기호성(嗜好性)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