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Story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4초

이야기 구조에 따른 만 2, 3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 (Story Comprehension of 2- and 3-year-olds According to Story Structure)

  • 김효영;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9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2- and 3-year-olds' story comprehension by story structure, Sixty-eight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tested story comprehension about causal, noncausal, discontinuous story presented by pictures. Story comprehension included literal, inferential, & empathic comprehension, Data were analysed by ANOVA(repeated measure) and t-test. The result showed that 3-year-olds scored higher in lit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an 2-year-olds.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literal, inferential, & empathic) scores were higher in causal structure than discontinuous and noncausal structure.

  • PDF

지능형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지원도구 모델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Contents Planning Supporting System(ICPS) in familyHistory)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07-614
    • /
    • 2010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한 지능형 스토리텔링 기획지원도구란 가족의 역사, 개인의 인물사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이야기의 저작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서사의 영역은 극, 신화, 전설, 역사 등의 언어적 서사물 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비언어적 서사도 포괄되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서사물로서 각 가정의 구성원에 대한 인물사 및 가족역사를 중심으로 한다. 본 스토리텔링 기획 지원 도구는 샘플DB와 지식DB를 통하여 가정의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장르별 스토리텔링을 재구성하고, 내용의 가치와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스토리텔링 기획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과 비용의 최소화를 지향 한다. 가족, 가정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창작 콘텐츠의 가장 원초적인 기반을 이루는 핵심적 단계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작성할 수 있는 기획 및 저작도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창작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기획지원도구는 대중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매커니즘을 개방화, 구조화 시킴으로서 향후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창작 도구로 연동 가능한 모델을 설계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가족콘텐츠 스토리족보(가계도) 저작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Family Tree Authoring System for Family Contents)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95-501
    • /
    • 2014
  • 본 연구는 앞서 가족이야기(familyStory)를 중심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지원하는 데이터의 서술구조연구를 바탕으로 가족콘텐츠 스토리족보 저작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이다. 한 인간이 태어나서 가지게 되는 이름, 생년월일, 가계도와 같이 정체성 있는 1차적 정보와 본인과 가족구성원이 경험하는 업적, 에피소드, 경험 등의 2차적 정보를 '가족콘텐츠'라고 정의한다. 본 저작 시스템에서 제시하는 '스토리가 있는 가계도(족보)'를 한 줄로 정의하면 가계도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가족스토리를 만드는 것으로, 현존하는 1세대가 생존기간 동안 한 가족의 광범위한 역사를 이후 세대들에게 남기는 것으로서 매우 가치 있고 중요한 일이다. 가족콘텐츠 스토리족보 저작도구는 1,2세대의 경험적 지식의 이야기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여 쉽게 저작할 수 있으며, 저작된 다양한 장르의 가족이야기를 가지고 3세대와의 소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거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창작이야기를 작성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콘텐츠 저작지원도구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Writing Supporting System(ICWS) for Interactive Storytelling Contents)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63-269
    • /
    • 2013
  • 본 연구는 앞서 가족이야기(familyStory)를 중심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지원하는 데이터의 서술구조연구를 바탕으로 이를 적용하기위한 저작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이다. 가족이야기 저작지원도구는 1,2세대의 경험적 지식의 이야기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여 쉽게 저작할 수 있으며, 저작된 다양한 장르의 가족이야기를 가지고 3세대와의 소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거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창작이야기를 작성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각 세대 간의 대화 단절과, 창작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가족이야기 저작지원도구 연구를 통하여 한 가정의 역사와 가족 구성원의 가치와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작성기반을 갖는데 일차적 목표를 갖으며, 또한 이 과정에서 장르별 가족이야기의 소재를 선택하여 창작기반 저변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향후 각 분야별 특성에 맞는 저작도구의 확대와 연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del Development from Traditional Han-ok to Urban Clustering Housing Model in Korean Context)

  • 손승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71-81
    • /
    • 2008
  • A traditional Korean housing is a typical type which is contained life style, spatial organization and scape element of people who lived in Korea. In the hanok, people want to be live not only in human environment and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modem urban housing as a high density. This article deals as follows: First, Hanok as urban housing would be composed in a housing lot, linear type layout, devide building, and cluster type. Second, Housing unit and configuration of Multi family housing can be used single story, second story, second story + single story, multi story and Hanok roofing. Thirds, structure of the building are traditional wooden, combined one of steel and wood or concrete and wood, and the building system in exterior and interior can be seperated into another system. Forth, Image of multi story Hanok A last, consistency of Hanok is not a repeat of an origin but application and creative aptitude of the origin, and multi family housing application of Hanok can be a trial creative.

행복감을 주는 삶의 지침 연구 -우리가정 행복나누기 공모사례분석을 통하여 (Guidelines for Happiness : Lessons from the Cases in the 'Happy Family Story Contest')

  • 이영호;지영숙;최보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41-51
    • /
    • 2005
  • At this time when the Healthy Family Act has become effective, promoting popular consciousness on a happy family life and providing guidelines to happiness are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250 cases that entered the 'Happy Family Story Contest' in order to extract some common qualifies of happy families. As a result, nine characteristics were found: 1) a sense of achievement in having made a happy family 2) a sense of togetherness and solidarity 3) self-discipline 4)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5) accomplishing one small step at one time 6) autonomy and candid communication 7) overcoming crises 8) cherishing what one has in the present 9) restraining greed and letting g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individuals reorient their lives as well as inspire the professionals to develop programs.

지능형콘텐츠 개발과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Contents and Interactive Storytelling System)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423-430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디지털매체와 소셜네트워크(SNS) 출연을 가져왔으며,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관적지식'에서 '경험적지식'을 실시간 이야기하고 감성을 소통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역사, 개인의 인물사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이야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CEO이야기나 특정 조직이야기, 가족이야기등 다양한 콘텐츠 가운데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본 연구의 사례연구 관점에서 내러티브인터뷰, 직접관찰, 문서 및 영상자료수집 등을 통해 수집 분석 한 후 장르별 DB와 키워드DB 설계를 하여 분류 저장하였다. 저장된 자료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서술구조를 통하여 사용자가 가족의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재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이야기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세대간의 소통의 도구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1세대와 3세대 간의 텍스트, 이미지, 영상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는 저작시스템의 데이터모델을 작성하였으며, 더 나아가 DB화된 다양한 장르의 가족이야기를 가지고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창작 도구로 연동 가능한 시스템 설계를 연구하였다.

영화 '마빈스룸' 가족간호중재 -시나리오 접근법- (The Scenario Approach Method for Family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Movie 'Mabin's Room')

  • 박경민;김정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27-638
    • /
    • 2001
  • Caring is an essential element of nursing. In a family with a patient. a critical situation may happen not only for the patient but also for the members of the family. Therefore, a caring service from the healthcare providers can also be requested for the family members. The movie 'Mabin's Room' deals with family problems.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problem, diagnosis and planning for the family nursing situation for family problems were made focusing on the role of characters in the movie 'Mabin's Room'. Regarding family nursing intervention, the framework of the story 'Mabin's Room' was reorganized to solve the problems based on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nurse. In this scenario approach method, the situation in the movie is used without change but the scenario related to the roles (or communication) of community health nurse for solving the family problems is added. It is a problem solving oriented method by reorganizing the scenario in a movie story situation. The reorganized scenario in this study is just an example of scenario approach method. Community Health Nurses can cultivate their creativity by solving various problems in the community by adopting or modifying this simple scenario in practice.

  • PDF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 김길숙;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ffect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were 213 pairs of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107 classroom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Park & Kim, 2008),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bservation Scale (Kim, Kim, Im, & Lee, 2008) and the Children's Comprehension Ability Test (Jung & Kim, 2003)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wo-way ANOVA, partial correlations, Pearson correlations, hierarchical regress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increases when both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re well resourced and supported.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hat parents spend as much time as possible reading books with their children and that teachers provide children with an amply resourced literacy environment together with appropriate activities in class geared towards story comprehension improvement.

읽기매체의 종류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 차이 : 종이책과 전자책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Reading Media : Paperback Books vs. Electronic Books)

  • 김태연;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9-26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s they related to the types of reading media. The participants comprised 62 four-years-olds from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a middle-income region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control the experience effect, newly developed stories published into two formats of reading media (paperback books and electronic books) were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reading media. Paperback book readers and electronic book read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which consists of recall, recognition and reasoning tasks. As literature pertaining to children's usage of electronic books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offer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media and may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