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self-esteem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38초

청소년의 가출: 가족적, 개인적 요인 및 대처행동의 영향 (Adolescent Runaway: The Impact of Family, Individual Factors and Coping Behavior)

  • 현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1-56
    • /
    • 2000
  •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fami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coping behaviors on adolescent runawa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dolescent who had higher level of family violence, lower level of communication with parent,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resource adequacy perception reported higher scores in runaway. 2. Adolescents who had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tress, lower level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tended to have higher scores in runawa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olescent runaway according to coping behavior styles. 4. Maladaptive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unaway adolescent group. 5. Adaptive coping behaviors were not associated with both runaways and non-runaways group. 6.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runaway and also indirect effects through emotional stress and maladaptive coping behavior. 7. Maladaptive coping behaviors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runaway but adaptive coping behavior had no effect. 8. Emotional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aladaptive coping behavior on adolescent runaway. 9.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of adolescents on the adaptive coping behavior. 10. Family adapt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daptive coping behavior.

  • PDF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whether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or not -)

  • 김소향;이신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09-327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사는 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 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이 비참여노인보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데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밖에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가족, 건강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였고, 건강, 학력, 연령, 결혼상태, 거주형태, 한 달 생활비, 경제상태, 주거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 학력, 경제상태, 연령 등의 변수들은 자아존중감 정도를 32% 설명하고 있었고, 생활만족도 정도를 48% 설명하고 있었다.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년기의 일의 중요성을 깨닫고 많은 노인들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취업 장애인 1인가구의 대인관계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mploy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Self-Esteem Mediation Effect Analysis)

  • 박수선;심다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24
  •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 1인 가구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대인관계능력과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장애인 1인가구가 행복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7차년도 2차 웨이브 자료(2022) 중 1인가구 82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능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가 대두되는 현대 사회에서 취업장애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장애인 1인가구 스스로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절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s in Single Parent Families :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steem)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5-125
    • /
    • 2008
  • This longitudinal study tested the role of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steem as mediator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s one year later in a sample of 125 adolescents aged 16 to 17 years growing up in single parent famil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analyses of research ques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ime 1 parenting behaviors were not associated with time 2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s directly, but that time 1 and time 2 self-esteem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time 1 parenting behaviors and time 2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s.

  • PDF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502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관계 요인인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는 고등학교 5곳의 2학년생을 임의표집하였으며, 배포된 650명의 설문지 중 62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는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 중 통제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활용할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충북지역 교사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Determina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Teachers in Choong-Buk province)

  • 이규난;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3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efficient health management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hundred nine teachers, who were chosen in Choong-Buk province. Survey Questionaires for data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visiting or mailing from September 1 to 30, 1997.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HPLP(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y Walker (1987),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by Walston et al. (1978), Self Esteem by Rogenberg(1965), Importance of Health by Muhlenkamp (1985), Self Efficacy by Sherer & Maddux(1982), and Family Function by Olson & Schellenberg (1985).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npair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v. 4.01)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total 2.53 on the average, self-actualization 2.97, nutrition 2.90, interpers 52, stress management 2.33, exercise 1.91, and health responsibility 1.82 in order. The index of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actors including sex, age, religion, marital status, duration of work, teaching load,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2.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elf Efficacy, Family Function, Importance of Health,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 Esteem. 3. Self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Self efficacy, Family Function, Importance of Health,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Age explained 42%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 Efficacy, Importance of Health, Family Function of teachers enhance health promoting lifestyl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and to determine factor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 PDF

서울지역 청소년의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이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잠재변인을 사용한 모델 검증 (The effects of bod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perceived obesity stress in adolescence in Seoul area: A latent model test)

  • 이지은;어성연;정인경;김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05-1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비만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그 관계의 역동성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9개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664명(여학생 324명, 남학생 3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이 비만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외모 만족은 비만스트레스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고, 외모 만족이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간접영향이 직접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비만스트레스에 대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외모 만족이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보다 컸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이 비만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매개효과 혹은 버퍼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37-5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와 그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우울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9.08{\pm}5.17$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5.66{\pm}12.11$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결혼기간,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0.81{\pm}7.84$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연령, 학력,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은 각각 비용부담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신체상(r=.688, p=.000)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우울은(r=-.710, p=.000)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은 우울(r=-.526, p=.000)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0.66, p=.000),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b=-7.92, p=.001), 연령이 41세 이상인 경우(b=-1.72, p=.033)이었다.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결속도 및 노부모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idarity between Aged Parent & Their Adult Children, and Self-Esteem of Aged Parents)

  • 박옥임;신효식;김은주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5-197
    • /
    • 199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self- esteem of the aged parents. In this study questionaires were used to measure solidarity between aged parents and adults children, self- esteem of aged parents. Subjects were 234 male and 235 female parents who were aged over 60.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olidarity between the aged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is average 65.5(Conversion value by 100 : 51.9) and shows the average level. The relations between solidarity and background variables are variables affected by education, pocket money, health, social activity and religion. 2) The degree of self- esteem in the aged parents is presented to average 26.1(Conversion value by 100 : 56.5) and shows the average level and i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ducation, pocket money, family living together, health, social activity, relig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3)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elf- este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lidarity, the sub-areas of solidarity a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higher solodarity the group has, higher self- esteem it has. 4) The degree of effects of the variables which affect self- esteem in the aged parents is in such order as affectional solidarity($\beta$=0.32), helping($\beta$=0.14), education($\beta$=0.10), solidarity by contact($\beta$=0.09) and solidarity by argument($\beta$=0.09) and $R^2$ of such variables are 30%.

  • PDF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에 의한 기러기 엄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Self-esteem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Mothers and Adolescents in Kirogi Families according to Adolescent' Development Stage)

  • 윤은경;신성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20-63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mother-adolescent (M-A) communication perceived by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between the early adolescent (E-A) group and the late adolescent (L-A) group; and to examin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self-esteem and M-A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mothers and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7 Kirogi families who resided in the Midwest region of the U. 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08 to March, 2009 using the scales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elf-esteem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Results: Mothers in E-A group reported higher scores on depression than mothers in L-A group. Adolescents in L-A group reported higher scores on depression and lower scores on self-esteem than adolescents in E-A group. In the E-A group, mothers' selfesteem had big actor effect on mothers' depression and partner effect on adolescents' depression. In the L-A group, selfesteem of mothers and adolescents had actor effect on their depression respectively without partner effect. M-A communication of mothers influences mothers' depression negatively and adolescents' depression positively. In both group, M-A communication influences their depression with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Conclusion: To promote Kirogi families' mental health, programs for mothers and adolescents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according to adolescents' development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