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financial satisfactio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5초

가족사업기관의 조직특성 및 종사자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ers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Organizations on Business Performance)

  • 서종수;조희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19-3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workers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Organization on its Business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rker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30th to September 30th. A total 372 materials were used for analysis of final data an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18.0 program was employed i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ers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igher performance was achieved when the agency's organization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eveloped culture, and when the operating body is a school principal corporation rather than a non-profit corporation, and in the city rather than farming town, having enough information and external resources at the center, and whe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re high, and when organizational culture is more hierarchical.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result of analys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 of workers on business performance. The level of service and business value of Family Service Organization was higher when the agency's organization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eveloped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agreement culture, and when operating body is a school principal corporation rather than a non-profit corporation, having enough information and external resources at the center, and the administrative skills of workers are higher. Business volume is increased when the operating body is a school principal corporation rather than a non-profit corporation, and in the city rather than farming town, and when the agency's organization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hierarchical culture and agreement culture, having enough external resources at the center, and the practicing ability of workers are higher. When it comes to business efficiency, it is increased when the agency's organization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culture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re high, having enough external and financial resources at the center. Therefore we will need to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improved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rganizational culture.

신용사용과 경제적 만족도 (Credit Use & Financial Satisfaction)

  • Lown, Jean M.;Ju, In-Sook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1호통권17호
    • /
    • pp.179-186
    • /
    • 1991
  • 본 연구는 미국 Utah주의 Logan시에 있는 유타주립대하(USU)Credit Union의 멤버들을 대상으로, 신용사용과 신용에 대한 태도가 그들의 경제적 만족도와 어느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1989년 3월에서 5월까지 걸쳐 USU Credit Union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는 21세에서 65세까지의 멤버들 중 500명을 임의 추출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설문지는 본 연구를 위한 문항과 Credit Union 멤버 Survey문항이 함께 이루어졌다) 그중 274명(54.8%)으 답변이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이나 차, 또는 교육비, 의료비에 신용을 사용하는데 긍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반수 이상의 사람들이 신용을 사용함으로써 수수료 또는 이자를 지불하고 있었다. 월평균 신용 납부액은 $643이였으며, 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그들의 신용차입액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반면, 4.4%의 응답자만이 신용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대답했다. t-테스트, 변량분석,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경제적 만족도와 의미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 요인들이 단계별 다중 희귀분석에 이용되었는데, 그 결과 사람들의 신용부담액에 대한 근심도가 그 어느것보다도 경제적 만족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의 조사들이 가정의 빚, 즉 신용부담액과 수입에 대한 비율로써 가정의 경제적 만족정도(financial well-being)를 측정해온 것에 반한 사실로서, 경제적 만족도는 개인의 주관적 측정인 신용부담액에 대한 근심도와 큰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of Rural Korea: Evidenc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 Sharma, Bimala;Song, Geurum;Nam, Eun Woo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5-252
    • /
    • 2020
  • Background: Happi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residing in rural areas using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among 3,149 senior citizens living in rural areas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Happiness was measured by a single question and responses were recorded dichotomously.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computed at a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In all, 64.5% of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mselves as happy most of the time in the last 1 week. In the study, socio-demographic factors did not predict happiness except age. Satisfaction with a health status, financial situati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cultur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and socie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residing in rural areas of Korea. Odds of reporting happiness were higher among those who traveled in the last 1 year, visited elderly welfare centers, and were involved in voluntary work than among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health, finance, relationship with family, friends and society,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교대 여부에 따른 기혼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arried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Shift Work)

  • 정수경;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8-129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hift work on married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Method: Study subjects consisted of married nurses employed at four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April 7th, 2004 using th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ply through self-administrative method. Results: Mean value of role conflict of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was measured 3.12 out of 5, and that of nurses who did not was measured 2.98. Mean valu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was measured 2.79 out of 5, and that of nurses who did not was measured 2.86. There was a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between mean level of role conflict and of job satisfaction. Both groups,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and nurses who did not, showed significant reverse-correlation in two areas. In the case of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role conflict no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lan to work as a nurse and remuneration in the case of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Duty of supporting family was the factor affecting role conflict and measured 4.2% in the case of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and the plan to work as a nurs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in the case of nurses who did not work shift work. Conclusion: To reduce role conflict and to improv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ere should be taken a measure to improve a financial compensating system for working shift work for nurses who worked shift work, and to help nurses not working shift work to design plans for their job as nurses with stability.

  • PDF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고립 (Life History of the Socially Isolated Male Elderly Living Alone)

  • 임승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25-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삶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생애사 방법의 하나인 'Mandelbaum(1973)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가족 관계 단절, 빈곤, 열악한 일자리, 건강악화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영역에서 고립 전의 원가족과의 삶에서 부모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나 부재, 가족의 빈곤,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등의 경험이 있었다. 노동시장에서 막노동, 배달, 장사, 허드렛일 등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전환점의 영역에서는 외환위기, 부모의 이혼과 죽음, 배우자 외도, 경제적 어려움 등의 여러 원인으로 원가족과 배우자와의 분리로 인한 가족과의 단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적응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삶의 각 전환점에서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협하고 절충하면서 적절히 적응하려는 노력을 해나가고 있었다. 국민기초수급자라는 사회적 안전망 제도에 들어왔고 그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한곳에 머무르는 지금의 삶이 더 안정적인 삶을 살게 만들었으며 개인적인 취미생활과 네트워크를 통한 대리만족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고립된 노인들이 우울증과 고독사의 위험에 심하게 노출되었다는 연구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감이 낮은 노인을 인터뷰한 본 연구의 특성을 동시에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eer Support, Family Strength and Self-Control in High School Students)

  • 홍승화;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9-91
    • /
    • 201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고등학생을 지도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친구지지와 가족건강성은 중간값(3.0)보다 높았고, 자기통제력 중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는 중간값보다 높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는 중간값보다 낮았다. 둘째, 친구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은 생활수준과 부모의 학력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력은 성별과 부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지지와 자기통제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기통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가족유대, 부학력이었으며, 이 변인들은 자기통제력을 15% 설명해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에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도록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며,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ment Prospects, Life Aims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오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4호
    • /
    • pp.19-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수년 동안 악화돼온 청년실업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취업전망과 같은 사회인지 요인이 대학생의 삶의 목표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및 삶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삶의 목표와 만족도 검사 FLL' 및 지각된 취업전망에 관한 질문을 통한 조사를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3개 종합대의 239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FLL의 총 34개 문항의 영역별 삶의 목표들은 요인분석에 의해서 6개 상위 목표, 즉 자기애적 목표,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도덕적 목표, 정치. 이념적 목표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전체 집단은 군집분석 결과 취업전망이 서로 다르며, 취업전망이 긍정적일수록 목표가 더 충족된 것으로, 또한 목표를 이루는 자신의 효능감이 더 높으며 아울러 영역별 삶의 목표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총 3개의 집단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취업전망에 따른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유리한 또는 불리한 취업전망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해보았을 때는, 이들 두 집단 간에는 청년실업인지도 및 성별, 나이, 학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불리한 취업전망의 집단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영역에서 유리한 취업전망의 집단보다 목표들을 유의하게 더 중요한 것으로 인지하였다. 반면 이들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집단에 비해 목표들이 유의하게 덜 이루어졌다고 판단했으며(부정적 현실관), 자기애와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목표를 이룰 능력이 자신들에게 더 적게 있다고 평가했다(부정적 자기효능감). 이들은 또한 삶의 만족도에서는 가족애/대인적 목표, 그리고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 4개의 전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덜 만족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미래관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와 함께 취업전망의 문제를 중요한 사회인지적 요인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가 논의되었다.

  • PDF

세대간 이전: 자녀의 부모부양이 부모의 상속결정에 미치는 영향 (Intergenerational Transfers: The Influence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on Parents' Bequest Decisions)

  • 김순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1호
    • /
    • pp.19-44
    • /
    • 2017
  •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major concern due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society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regarding parents' decision to bequest, including the influence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household-relate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ata are the 5th wave of KReIS, a sample of 1,834 married household heads(HHs), which were classified into 142 baby boomers (1955-1963), 534 post-liberation HHs (1945-1954), and 1,158 Japanese-era HHs (-194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9.3% of baby boomer HHs, 59.2% of post-liberation HHs, and 59.1% of Japanese-era HHs, were willing to make bequest decision. Second, in the baby boomer HHs, although the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represented an emotional resource transfer, a child's economic resource transfer to his/her parents did not affect the parents' bequest decisions. However, in the post- liberation HHs, children's contact with parents, and economic resource transf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addition, in the Japanese-era HHs, only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ird, in the baby boomer HH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usehold financial assets and having a daughter rather than having son and daughter. However, the variables that heavily influenced bequest decisions of the post-liberation HHs were the presence of a spous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he Japanese-era HH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household financial assets.

포아송회귀 모형을 활용한 생명보험 설계사들의 이직 요인 분석 (The factors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of life insurance using Poisson regression)

  • 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37-1347
    • /
    • 2016
  • 본 연구는 생명보험사의 핵심 영업채널의 역할을 하고 있는 보험설계사들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보험설계사들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반응변수 이직횟수는 계수자료 (count data)이기에 일반화선형모형의 하나인 포아송회귀모형을 통해 분석된다. 현 조직에서의 보험설계사 근무경력은 보험설계사의 이직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본 연구모형에서는 통제변수로 설정되었다. 포아송회귀모형 적합결과, 보험설계사 이직의 횟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현재 속한 회사 (대리점)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연령, 보험설계사로 입사하게 된 동기, 월평균 소득, 월평균 신계약건수, 최종학력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설계사가 현재의 속한 조직이 대형생보사이면 이직의 횟수가 가장 낮고, GA (general agent, 독립대리점) 소속이면 이직의 횟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령은 적을수록 이직의 횟수는 증가하고 연령이 많을수록 이직의 횟수는 작아짐을 보여주었다. 보험설계사로 입사하게 된 동기는 친구, 친척, 가족 등 지인의 추천과 동료FP, 소장, 지점장 등의 권유이면 이직의 횟수는 작게 나타났고 단순한 경제적 수입의 니즈와 능력과 적성이 부합의 자발적인 경우는 오히려 이직의 횟수는 높게 나타났다.

가족관계에 따른 노년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djustment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Family Relations)

  • 강주령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5-197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mily relations of the Elderly influencing adjustment of the Elderly. The Sample was selected from elderly women who are older than 65years living in Seoul. Total sample consisted of 324 elderly women(married women 155, widow 169) finally selected datum sources. Factor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take statistics. The main reslu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the adjustment of urban elderly woman was normal. 2.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age, self-reported health, financial status and supply of living expenses hav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on the adjustment of the elederly women. 3. General satisfaction of married life, among the subordinate dimensions of the aging Couple relationships, has influence of the adjustment of the elderly women. 4. Among the old parent-Adult children relationships, subjective solidarity and consensual solidarity have influence on the adjustement of the aged. Besides the above two solidarity, objective solidarity ha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in the case of widow. 5. Among the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discipliner relations and material provider relations ha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of the married old women. Besides the above two solidarity, surrogate parenting relation ha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in the case of wid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