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lure strain

검색결과 1,474건 처리시간 0.024초

비탄성 국부좌굴을 고려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회전능력에 대한 변수 연구 (Evaluation of Rotation Capacity of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ideringInelastic Local Buckling - Parametric Studies)

  • 이경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25-632
    • /
    • 2008
  • 동반논문(모델개발)에서는 특별철골모멘트골조의 강접합 보-기둥 접합부의 회전능력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접합부 회전능력 기준으로 두 개의 극한상태를 고려하였다. 첫째, 보 단면의 국부좌굴로 인해 공칭소성강도까지 강도저하가 발생하였을 때를 회전능력으로 보는 강도저하 극한상태를 고려하였다. 둘째, 큰 진폭의 변형이 몇 번 반복 후에 좌굴된 플랜지에서 소성변형률 축적으로 야기 되는 저주기 피로 파단을 극한상태로 고려하였다. 두 극한상태까지 제안한 모델을 이용하여 단조증가하중 및 반복하중하에 일련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무설계에서 사용되는 범위안의 다양한 H-형강 보를 모델링한 후, 플랜지 및 웨브 폭-두께비와 같은 보 단면의 기하학적 변수가 WUF-W 접합부의 회전능력과 저주기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경사 지반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p Effect of the Inclined Ground Anchor)

  • 임종철;홍석우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4호
    • /
    • pp.39-52
    • /
    • 1994
  • 지반앵커의 설계시 가장 중요한 것은 극한인발력을 구하는 것이다. 앵커의 간격이 가까울 때는 앵커의 인발에 따른 지반 거동의 중첩 현상, 즉 군효과가 발생하여 앵커 1개당 극한인발력이 감소하게 된다. 현재까지 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연구가 극소수인데 그것도 대부분 연직 앵커에 관한 것으로 경사앵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이유는 지반앵커의 인발에 따른 지반 거동의 관찰과 앵커표면 마찰응력을 정확하게 측정해서 분석할 수 있는 실험과 이론적 고찰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공기 건조 모래지반 내에 설치된 경사 지반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모형실험에 관한 것으로, 앵커체 깊이 방향으로 부착된 10개의 변형률게이지에 의해서 앵커체 표면의 마찰응력을 구하여 군효과에 의한 마찰응력의 감소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앵커표면간 거리가 10.7cm에 불과한 대단히 가까운 앵커의 경우에도 군효과에 의한 마찰응력의 감소와 극한인발력의 감소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건조모래 지반내의 소규모 실내모형실험에 한한 것이므로 이후 여러 가지 지반 조건하에서의 모형실험과 현장실험을 실시해서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화강암풍화토의 동탄성계수에 관한 연구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Resilient Modulus of Weathered Granite Soil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 김주한;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6권1호
    • /
    • pp.35-42
    • /
    • 1990
  • 지금까지 포장설계의 기본개념에는 흙의 탄성적 성질이 거의 반영되어오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의 파괴는 흙이 갖고 있는 일부 탄성적 성질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최근 동탄성계수라는 요소를 도입함으로서 흙의 탄성적 성질을 포장설계에 반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AASHTO(1986)에서는 체장구달설계지부서를 확정지으면서 그동안포장구 조설계 잠정지침서의 기본식에서 사용하든 노고토지지치를 동탄성계수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시험방법과 시험장비가 보편화되어있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CBR값, K값, R값등 으로 부터 동탄성계수를 구하는 환산식에 의하여 동논경계수를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역 4개지점의 유상륜가화토에 대하여 AASHTO의 시험방법(T 274-82)으로 동탄성계수를 직접 구하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중부지역 고상암풍화토의 동탄성계수를 주응력의 합계로부터 확정하기위한 식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종래 가효성포장설계에 적용하여 왔던 CBR시험 결과로 부터 동탄성계수를 환산하기 위한 관계식을 구하였다.

  • PDF

모래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부직포 보강재의 효과 (Effect of Non-Woven Geotextile Reinforcement on Mechanical Behavior of Sand)

  • 김유성;오수환;조대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9-45
    • /
    • 2010
  • 부직포에 의한 보강이 모래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검토를 위해 보강모래와 무보강모래에 대한 일련의 삼축압축시험이 수행되었다. 표준사인 주문진사가 사용되었고, 부직포 보강재가 모래시료 속에 최대 3층 배치되었다. 분석결과 모래속의 부직포 배치는 모래의 전단강도를 크게 증가시켰고, 보강모래는 파괴시의 변형률도 증가하였다. 또한, 보강층수가 증가할수록 보강재에 의한 시료내 전단층의 확산 방지효과의 증가로 보다 연성화하고, 모래시료의 체적팽창 경향은 부직포 배치에 의해 억제됨이 밝혀졌다. 보강층수 증가에 의한 효과는 간극비 감소로 인한 효과와 같다.

  • PDF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에서의 횡방향 보강 간격에 따른 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Shear Capacity According to Transverse Spacing of Wide Beam Shear Reinforced with Steel Plate with Openings)

  • 최진웅;김민숙;최봉섭;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59-26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유공형 강판의 횡방향 보강간격에 따른 넓은 보의 전단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과 넓은 보의 유효깊이를 변수로 고려하였다. 시험체는 총 8개로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시험체가 5개, 무보강 시험체가 3개이다. 균열 및 파괴유형, 변형률과 하중-변위 곡선을 분석하였다. 유공형 전단보강재의 전단강도 기여분을 분석하고, 횡방향 전단보강의 최대간격을 제안하였다. 횡방향 전단보강 개수가 2개인 시험체에 비해 3개인 시험체에서 전단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유효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GFRP 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한 넓은 보의 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for Wide Beam using GFRP Plate Shear Reinforcement)

  • 조은선;최진웅;김민숙;김희철;이영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67-274
    • /
    • 2015
  • 본 논문은 넓은 보의 전단강도를 대상으로 한 실험적 평가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을 통해 넓은 보에 횡방향 단면에서 GFRP 판의 보강개수와 종방향 전단보강 간격, 그리고 유효깊이가 전단강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총 7개의 시험체에 유공형 GFRP 판 형태로 전단보강재를 보강하여 전단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 기재된 전단보강재는 유공형 판 형태로 제작되어 타설 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보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켰다. 7개 시험체의 주 변수로는 전단보강재의 횡방향 단면에 대한 판의 보강개수와 종방향 전단보강 간격, 그리고 유효깊이로 정하였다. 시험체의 균열 및 파괴 양상, 변형률과 전단강도비를 분석하였다. GFRP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의 전단강도는 ACI 318-11 기준으로 산정되었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유공형 GFRP 판이 전단보강재로서 넓은 보에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Damage detection of 3D printed mold using the surface response to excitation method

  • Tashakori, Shervin;Farhangdoust, Saman;Baghalian, Amin;McDaniel, Dwayne;Tansel, Ibrahim N.;Mehrabi, Armi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5권3호
    • /
    • pp.369-376
    • /
    • 2020
  • The life of conventional steel plastic injection molds is long but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re prohibitive for using these molds for producing prototypes of products in limited numbers. Commonly used 3D printers and rapid prototyping methods are capable of directly converting the digital models of three-dimensional solid objects into solid physical parts. Depending on the 3D printer, the final product can be made from different material, such as polymer or metal. Rapid prototyping of parts with the polymeric material is typically cheaper, faster and convenient. However, the life of a polymer mold can be less than a hundred parts. Failure of a polymeric mol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can result in serious safety issues considering very large forces and temperatures a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inspection of 3D printed molds with the surface response to excitation (SuRE) method was investigated. The SuRE method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load monitoring in thin-walled plate-like structures. In this study, first, the SuR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if the variation of the strain could be monitored when loads were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3D printed molds. After the successful results were obtained, the SuRE method was used to monitor the artifact (artificial damage) created at the 3D printed m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E method is a cost effective and robust approach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3D printed molds.

트러스 모델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선형해석 (Nonlinear Analysis of RC Members Using Truss Model)

  • 엄태성;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77-188
    • /
    • 2006
  • 전통적인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은 모델링이 복잡하고 어려운 해석기법이 필요로 한다. 게다가 해석결과가 응력-변형률 관계로 도출되므로 그 결과를 분석하거나 설계에 활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지향적인 수치해석방법으로 트러스 모델을 이용한 비선형 해석방법을 개발하였다. 해석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길이방향, 직각방향, 대각방향의 트러스요소로 이상화한다. 기본적으로 각 요소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복합체이며, 주기해석을 위하여 철근과 콘크리트 요소를 위한 간략화된 비선형 주기이력모델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전단경간비, 하중조건, 철근량, 배근형태 등이 다른 다양한 전단지배 보와 벽체에 대하여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고, 예측된 비탄성강도, 에너지소산능력, 변형능력, 파괴유형 등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변형능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인장-압축을 받는 콘크리트 스트럿에 사용되는 압축연화모델이 부재특성에 따라 수정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대한 전단강도모델 (Shear Strength Model for Slab-Column Connections)

  • 최경규;박홍근;김혜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85-593
    • /
    • 2010
  •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변형률기반 전단강도모델에 근거하여, 슬래브-기둥 내부 및 외부접합부의 직접뚫림전단강도와 불균형휨모멘트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강도모델을 개발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는 뚫림전단파괴에 앞서서 휨균열에 의해서 손상을 받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위험단면의 압축대에서 대부분의 전단저항이 발휘된다고 가정하였다. 슬래브 휨모멘트에 의해서 유발되는 압축수직응력이 콘크리트 압축대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축응력 상태에 대한 콘크리트 재료파괴기준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험단면의 전단성능이 휨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정의되었다. 외부접합부는 비대칭적인 위험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중재하방향을 고려하여 휨모멘트강도를 정의하였다. 실험 결과와 비교 결과, 제안된 강도모델은 현행 설계기준 보다 실험체의 강도를 더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백서의 심근병증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N CARDIOMYOPATHY IN EXPERIMENTALLY INDUCED DIABETIC RATS)

  • 안진수;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488-499
    • /
    • 1996
  • Diabetes mellitus revealed a chronic disorder of lipid, carbohydrate and protein metabolism characterized by insulin deficiency, and a striking tendency toward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icroangiopathy, nephropathy, neuropathy and recently cardiomyopathy etc. The mechanism of heart failure in patients with diabetic cardiomyopathy is not clear but diabetic cardiomyopathy usually occurs in persons with long standing diabetes. After diabetes induced in made Sprague- Dawley strain rats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60mg/kg), cardiac tissue with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was examined at 3 days, 1, 2, 4, 6 weeks later under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H&E stain of control group, myocardiac cells were shorter than skeletal muscle cell, which was branched out and connected each other at terminal with striation, intercalated disk and nucleus at center of cell. 2. In MT stain of control group, a few of collagen fibrile were seen at periva scular interstium, but wasn't seen between skeletal muscle fiber, and cardiac muscle was seen in various size. 3. In MT stain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llagen fiber deposition at perivascular interstiums were seen periodically. 4. In MT stain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llagen fiber deposition at interstitial matrix between perimyocardiac cells were seen at 3 day, 4 weeks and 6 weeks after DM induction. 5. In H&E stain of experimental group, partial degeneration of myocardiac cells was seen after 4 weeks of DM induction. From above results,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increased collagen around perivascular and between intercellular matrix in he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