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solvents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27초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의한 어류조직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추출수율 (Extraction Efficienci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Spiked in Fish Tissue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임상빈;좌미경;강순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5-481
    • /
    • 1996
  •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고, 저렴하게 식품 중의 잔류농약을 추출, 정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10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에 대하여 ppm수준의 농도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온도 및 압력 등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추출수율을 측정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에 의한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표준용액의 회수율은 103bar에서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표준용액의 최대 평균 회수율은 $40^{\circ}C/172\;bar.$에서 98.3%였다. 대구, 넙치, 오징어에 첨가한 유기염소계 농약의 평균 첨가회수율은 $40^{\circ}C/172\;bar.$에서 각각 85.6, 74.6, 83.0%였다.

  • PDF

접촉분해경유로부터 산화황화합물의 분리에 관한 추출용매의 영향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Separation of Sulfur Components in Light Cycle Oil)

  • 박수진;정광은;채호정;김철웅;정순용;구기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965-970
    • /
    • 2008
  • 접촉분해경유의 산화반응후 포함된 산화황화합물을 분리하기위해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매로는 극성을 가진 물, N-메틸피놀리논,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등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접촉분해경유와 용매와의 층분리는 적절한 양의 물을 첨가한 경우에 이루어졌으며, 물과 N-메틸피놀리논을 혼합한 혼합용매가 접촉분해경유로부터 산화황화합물의 선택적인 분리에 가장 적절하였다. 또한 접촉분해경유로부터 황화합물을 99.5% 이상으로 제거하기 위해선, 4단 정도의 평형추출이 필요하였다.

Mulberry Paper Bag μ-Solid Phase Extraction for the Analysis of Five Spice Flavor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Yoon, Ok-Kyung;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35-42
    • /
    • 2009
  • Headspace micro solid phase extraction using mulberry paper bag (HS-MPB-$\mu$-SPE) has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five spic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S-MPB-$\mu$-SPE was performed with adsorbent particles enclosed inside a mulberry paper bag. Four different kinds of adsorbents such as Tenax TA, Porapack Q, dimethylpolysiloxane and polyethylene glycol were tested. The extraction solvents compared were petroleum ether,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form.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when Tenax TA and petroleum ether were used.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ere in the range of 1.3 ng/mL and 4.3 ng/mL, respectively, for o-cymene as a model compound of monoterpene. Proposed method showed good reproducibility (3.3%, RSD) and good recoveries (94.0%). The HS-MPB- μ-SPE is very simple to use, inexpensive, rapid, requires small sample amounts and solvent consumption. Because the solvent for extraction is reduced to only a very small volume (0.6 mL), there is minimal waste or exposure to toxic organic solvent and no further concentration step. This method allows successful characterization of the headspace in contact with the five spice sample. Strong trans-anethole from star anise or fennel is a characteristic flavor of five spice powders. HS-MPB-$\mu$-SPE combined with GC/MS can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broad spectrum measurement of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solid spices.

청나래고사리와 고비 지상부의 효율적인 phytoecdysteroids 추출조건 (Effective Extraction of Phytoecdysteroids from Fronds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and Osmunda japonic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1-357
    • /
    • 2011
  • 본 연구는 양치식물로부터 phytoecdysteroids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청나래고사리와 고비의 잎(엽상체)을 동결건조 한 후 곱게 분쇄하여 MeOH, 80% EtOH, $H_2O$(nano pure grade)를 용매로 하여 50배 추출하였으며, 각 용매별로 6시간 동안 침지, 교반(200 RPM), 60$^{\circ}C$ 환류냉각추출하거나 42 kHz의 초음파수조에서 15, 30, 45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C_{18}$ cartridge로 정제하여 분석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20-hydroxyecdysone(20E)과 ponasterone A(PonA)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3종류의 용매를 6가지 방법으로 추출한 결과, 청나래고사리와 고비의 추출물 모두 MeOH를 용매로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했을 때 20E와 PonA의 용출량이 증가하였으며, 엽상체 건물중 1 g당 청나래고사리와 고비의 20E 함량은 66.76과 104.48 ${\mu}g$, PonA의 함량은 53.43와 43.82 ${\mu}g$이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참죽나무 순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Tender Leaf Powder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김민정;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9-10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참죽나무 순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얻은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참죽나무 순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섬유, 칼슘과 칼륨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참죽나무 순 분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더 높았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죽나무 순 분말은 영양성과 식이섬유소의 기능성이 높아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참죽나무 순 분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Antioxidant & Antibacterial effects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leaf by various extract solvents

  • Khoa, Hoang Viet Bach;Kim, Moung-Su;Jang, Hye-Ri;Lim, Jong-Min;Cho, Joon-Hy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12
  • Antioxidant is an important role to protect the human body against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However, the excessive intake of such antioxidant is known to cause a serious poisonous influence on one's liver, lungs and circulating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 natural antioxidan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atur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various extract solvents from Artichoke (Cynara Scolymus L.) leaf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extracts of Artichoke leaf dried from solvent extraction were examined by means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ffect of free radical scavenging compared with $\alpha$-tocopherol and L-ascorbic acid. In Artichoke leaf extract, evaluated by using DPPH and ABTS showed that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n methanol extracts from DPPH radical ($IC_{50}$: $20.06{\mu}g\;mL^{-1}$), ABTS radical ($IC_{50}$: $16.01{\mu}g\;mL^{-1}$) and followed by ethanol > methyl chloride > ethyl acetate > n-Hexane. By using disc diffusion method, the antibacterial activity showed that the Artichoke leaf extract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against all of the tested organisms and the methyl chloride extrac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all of tests among 5 solvents extract, followed by ethyl acetate > n-Hexane > ethanol > methanol. As a result, optimal in antioxidant activity for Artichoke (Cynara Scolymus L.) leaf is methanol extract and for antibacterial effect is Methyl Chloride extract.

  • PDF

자초 뿌리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에 관한 연구 (The Fabrics Dyeing using Gromwell Roots)

  • 안경조;김정희;유혜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49-257
    • /
    • 2003
  • For the efficiency in extracting gromwell colorant, methanol, ethanol and aceton were used as solvents. Also, to compare the results when dyed in various conditions and on various fabrics, the ratio of water-dye mixture, pH, temperature, and varieties of fabrics -wool, silk, cotton, nylon, ramie- were selected. L, a, b, ΔE, munsell and K/S value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nd compared for the practical use. Water-dye mixture of 5:5 ratio showed the optimum dyeability. Not to mention wool and silk, but also cotton showed a satisfying dying result at the acidity of pH4.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dyeability of all three fabrics improved greatly. Especially, wool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in terms of dyeability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K/S values for wool and nylon showed superior results to the others in the gromwell colorant. The resulting color turned out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lvents used and the sort of fabric that was tested on. When the gromwell colorant extracted with methanol or ethanol was applied, the color of fabrics came out as purple or purpleblue. When the colorant extracted with acetone was used, the color of fabrics came out to be redpurple. The colorfastness to light showed low glades regardless to whichever solvents were used. The grades of colorfastness to laundering were recorded low numerical values, and its record became even lower when the gromwell colorant extracted with aceton was applied. The staining grade of the colorfastness to laundering showed a good grade in the range of 4 to 5. All the dyed fabrics showed a excellent drycleaning fastness.

추출용매에 따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0-179
    • /
    • 2015
  • 본 연구는 추출용매에 따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으로써의 활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추출수율은 에탄올, 열수, 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실험에서는 $1,000{\mu}g/mL$이상의 농도에서 추출용매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이 XO 저해활성능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50{\mu}g/mL$에서 $2,000{\mu}g/mL$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19.96~89.01% 및 19.41~88.2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SOD 유사활성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능은 추출물 농도가 $100{\mu}g/mL$ 이상일 때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추출농도가 $500{\mu}g/mL$ 이상의 경우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유의적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궁추출물이 미백 및 주름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극성별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Affected by Extracting Solvent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 이커;양경희;궈루;추이정웨이;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제병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5
    • /
    • 2019
  •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식품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극성이 다른 용매 추출물의 상호작용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잘 정립되어서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마리 분말을 hexane, EtOAc, MeOH 그리고 95%, 70%, 50% 또는 25% EtOH 및 물로 추출한 다음, 각각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항비만, 항 ${\alpha}$-glucosidase 활성 및 미백효과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높은 50% EtOH, 25% EtOH 및 증류수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는 EtOH의 농도가 높은 50~95%와 MeOH 추출물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는 70% EtOH로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EtOH의 농도가 70% 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최적의 추출용매는 항산화, tyrosinase 저해,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및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등의 질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추출용매를 고려하면 추출용매에 따라서 최적의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생리활성 효과도 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용매별 초석잠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Stachys sieboldii Miq.)

  • 강재란;강민정;신지현;박지혜;김동일;정상용;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5-6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석잠 뿌리의 용매별(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및 헥산)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산화와 항당뇨 활성을 측정하여 초석잠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7.18-37.25 mg/g) 및 플라보노이드(0.21-5.21 mg/g) 함량은 부탄올 > 에탄올 > 물 > 클로로포름 > 헥산 추출물의 순으로 추출 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추출 용매에 따른 활성의 절대 값은 서로 상이하였으나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도 더 높은 경향이었다. FRAP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모든 농도에서 부탄올 > 에탄올 > 헥산 > 클로로포름 > 물 추출물의 순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활성과는 차이가 있었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실험된 $1,000{\mu}g/mL$$2,000{\mu}g/mL$의 농도에서 모든 용매별 초석잠 추출물은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촉진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활성이 없었으며, 그 외 추출물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과는 다르게 전반적으로 헥산 추출물의 활성이 부탄올과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석잠은 추출용매에 따라 용출되는 유효성분이 서로 상이하여 이들의 주요 작용기가 나타내는 활성에도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각 추출 용매별 유효성분의 규명에 관한 연구가 차후에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