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t of bully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4초

괴롭힘 가해자의 환경적 요인, 괴롭힘 행동유형, 가해자의 심리.행동적 결과에 대한 연구 (Environmental Factors, Types of Bully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for the Bullies)

  • 이명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9-61
    • /
    • 2002
  • 청소년들의 괴롭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괴롭힘 행동으로 인해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를 조사하고자, 괴롭힘 가해자의 환경적 요인(부모와의 갈등, 부모의 지지결여, 교사의 지지결여, 친구로부터의 소외, 따돌림 및 괴롭힘에의 노출정도), 괴롭힘 행동의 유형(따돌림, 사회적, 언어적, 신체적, 도구적 괴롭힘)과 괴롭힘 행동으로 인해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쾌감, 죄책감, 피해자에 대한 비난적 태도, 자아존중감, 괴롭힘 행동의 정도)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할 수 있는 포괄적인 연구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괴롭힘 가해의 경험이 있는 177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직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사용하여 변인들간의 구조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이론구조모델이 선정되었다.(df=78, chi-square=57.266, RMSR=0.0514, GFI=0.953, CFI=1.00). 자료분석 결과, 의미 있는 인간관계(부모, 친구)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갈등을 경험할 때, 지속적으로 공격적 행동에 노출되어 있을 때 괴롭힘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지결여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괴롭힘과 신체적 괴롭힘이 증가되며, 부모와의 갈등이 클수록 언어적 괴롭힘과 도구적 괴롭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로부터 소외된다고 느낄수록 따돌림행동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에의 노출정도가 클수록 신체적 괴롭힘이 증가되며, 괴롭힘에의 노출정도가 클수록 따돌림, 신체적 괴롭힘과 사회적 괴롭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괴롭힘 행동유형에 따라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를 살펴볼 때, 따돌림은 가해자의 쾌감을 증대시키는 반면, 죄책감을 감소시키고, 피해자에 대한 비난적 태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괴롭힘과 신체적 괴롭힘은 쾌감을 증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쾌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괴롭힘은 죄책감을 증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과 도구적 괴롭힘은 자아존중감을 증대시키는 반면, 사회적 괴롭힘은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언어적 괴롭힘은 괴롭힘 행동의 정도를 증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괴롭힘행동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 중에서 부코의 지지결여와 친구로부터의 소외는 가해자의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며, 부모의 지지결여는 가해자의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과 괴롭힘에 노출되는 정도가 클수록 괴롭힘 행동의 정도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가해자의 감정 및 태도의 변화를 위한 개입방안, 의미 있는 인간관계 개선 및 사회적지지 증진을 위한 대인관계 개선방안, 괴롭힘행동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학교환경을 총체적으로 재조직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개입전략이 제시되었다.

  • PDF

일상적 스트레스와 또래 괴롭힘의 가해와 피해경험 : 학년과 성별 비교 (Daily Hassles, Bullying and Victimization : A Comparison of Grade and Gender)

  • 김길임;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39-151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he conditions of daily hassles and the relations between daily hassles, bullying, and victimization by grade and gender. Data were collected from 530 1st-6th grade children through questionnaires. The extent of stress,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children differed by grade and gender. Males reported higher parent-, study-, and friend-related stress than females. Bullying and victimization we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Most bullying appeared in 3rd-6th grade children while most victimization occurred in 1st-2nd grade children. Most bully/victims were in 5th-6th grade children. More females than males were not-involved and victimized. More males than females were bullies and bully/victims.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not-involved children experienced different degrees of daily hassles.

  • PDF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 on Psychological Symptoms: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 Duru, Pinar;Ocaktan, Mine Esin;Celen, Umit;Orsal, Ozle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2호
    • /
    • pp.210-215
    • /
    • 2018
  •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xtent of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s among the employees of a Faculty of Medicine, evaluating the variable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and determining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s on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evaluated by the Brief Symptom Inventory (BSI).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involving 355 (88.75%) employees. Results: Levels of perceived workplace bullying were foun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ing scores for BSI and BSI sub-dimensions of anxiety, depression, negative self, somatization, and hostility (all p < 0.001). One point increase in the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 score was associated with a 0.47 point increase in psychological symptoms evaluated by BSI. Moreover, the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 scores were most strongly affected by the scores of anxiety, negative self, depression, hostility, and somatization (all p < 0.05).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revealed that young individuals, divorced individuals, faculty members, and individuals with a chronic disease had the greatest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s with our study population. Additionally, the BSI, anxiety, depression, negative self, somatization, and hostility scores of the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s were also high.

집단 따돌림 현상에 나타난 청년 초기의 의복 행동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of Early Adolescents in the School Bullying)

  • 하희정;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2호
    • /
    • pp.166-182
    • /
    • 2000
  • In this study, we inquire what is the rules which is implicitly used by the adolescent group about bullying phenomenon. We inquire how to interpret the phenomenon from the adolescents'viewpoint and their opinions of how appearance and clothing determine the extent of bullying. After we discuss this problem, we propose an indirect solution to the cause of bullying. We selected a middle school boy by reason that boys have been more experienced than others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and are at a keen adolescent stage of development. Moreover, 'ichime'phenomenon is seriously reported at a middle school student stage in the case of Japa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following : 1. Research on an actual case of bullying in a middle school student. 2. the adolescents'viewpoint on characteristics of school bullying. 3. The cause of violence and injury from school bullying. 4. How appearance and clothing affect bullying. 5. The preference and uses of clothing worn by adolescents. The process of this study brought a substantially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s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2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rom the 14/sup th/ to the 25/sup th/ of June. The data totaled up to 280 subjects, which consist 121 male students and 159 female students except for invalid data.

  • PDF

초등학생의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련성: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 norms)

  • 심재량;박종효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549-569
    • /
    • 2018
  • 본 연구는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클래스넷 3차년도 데이터의 일부로서, 전국 소재 총 초등학교 7개교, 52개 학급의 4~6학년 학생 1,1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한 또래거부, 괴롭힘 피해행동, 괴롭힘 가해행동, 교사-학생 갈등 변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학급 갈등규범은 학급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괴롭힘 피해행동의 학급 차이도 유의하였다. 셋째, 다층분석 결과에 의하면, 또래거부가 많을수록,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갈등규범 수준이 높은 학급에서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도 높았다. 특히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는 학급의 갈등규범 수준이 조절하였다. 즉, 갈등규범 수준이 낮은 학급에 비해, 갈등규범이 높은 학급에서 또래거부는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거부가 괴롭힘 피해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학급 갈등규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해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