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t assessment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8초

전문가 포커스 그룹을 활용한 한식 데이터베이스 작성과 한식 섭취 수준에 따른 식품군 섭취 균형도 평가 (Development of Han-sik Database Utilizing an Expert Focus Group and Assessment of Han-sik Effects on Diet Quality)

  • 강민지;정현주;정효지;심재은;이상은;박영희;백희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n-sik database as well as to assess the effects of Han-sik on dietary quality among Koreans. The Han-sik database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composed of food and nutrition specialis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Han-sik perception survey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for frequently consumed dishes. Among the 1,322 dish items identified in the $4^{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973 items (73.6%) were classified as Han-sik. Han-sik usage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Han-sik items of all individually consumed dish items in the dietary data of 22,113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 24-hour diet recall in the $4^{th}$ (2007-2009) KNHANES. Dietary quality was evaluated based on adherence to the Korean Food Guidance System (KFGS), which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servings consumed in each food group out of recommended servings according to age and sex. Mean usage of Han-sik was 80.1% and was higher in older age groups, rural areas, as well as in households at the lowest income level. Han-sik usage was also higher on weekdays as well as for breakfast. Adherence to the KFG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grains, meat fish egg beans, vegetables, and fruits (p<0.001) but lower for milk dairy products and oils fats sugars (p<0.001) across the quartiles of Han-sik us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an-sik usage is high among Korea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pdate the Han-sik database as well as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Han-sik use.

활동기반모형을 이용한 유연근무제의 교통부문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Transport-related Impacts of Flexible Working Policy using Activity-Based Model)

  • 조성진;;조창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11-524
    • /
    • 2017
  • 본 연구는 정책평가수단으로써 활동기반모형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유연근무제(근무시간유연제 & 재택근무제)에 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교통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첨두시간대의 통근통행량 분산을 통한 교통 혼잡 완화를 제외하고 근무시간유연제 적용 시 활동-통행 특성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는 없다. 자가용을 이용한 총통행거리(vehicle kilometer of travel, VKT)는 인구집단별로 가구 및 개인 특성에 따른 제약요소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재택근무제에 따른 영향은 통근통행의 축소로 통행빈도와 거리가 감소하며, 재택근무자의 활동영역이 주거지를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비동력 수단을 이용한 단거리 통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가용을 이용한 VKT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다만 수단 전환(타 수단 ${\Leftrightarrow}$ 자가용), (자가용을 이용한) 비업무통행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인구집단별 VKT의 감소폭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연구를 통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장인의 가구 및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에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인구집단별로 정밀한 영향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ABM을 이용한 정책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현실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긍정적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일반적으로 기존 모형에서 불가능했던 시계열 분석, 인구집단별 분석을 통해 정책평가에 있어서 보다 정밀한 분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자료 보완과 함께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시나리오의 완성도를 높여 향후 연구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과 안전성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 최성희;이지연;박은영;원준;홍기형;문귀임;김민식;홍진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3-509
    • /
    • 2008
  • 국내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품별 보존료 농도와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성별, 연령별 식품섭취자료와 체중을 이용하여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 검토하여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류 495.85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15.34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5.01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각각 2, 4.3, 0.1%로 섭취 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위섭취자(90th)의 일일추정 섭취량은 소르빈산류 1,012.06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29.56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11.58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4.1, 4.6, 0.1%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안식향산류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많이 섭취하였으나 소르빈산류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은 모든 연령에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TLO) 활동의 중요도 평가 및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Importance and Priority Derivation from Activities of Technology Transfer & Licensing Organization Using AHP Method)

  • 한경진;곽나연;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7-46
    • /
    • 2016
  •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투자 확대로 국내 공공연구기관의 특허출원 성과는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연구 성과의 활용수준은 아직 미비하다. 이로 인해 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활용을 위한 기술이전사업화의 원활한 추진 및 관련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 사업화 전담조직(Technology Transfer&Licensing Organization)의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TLO 조직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 및 연구개발 성과물의 활용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TLO조직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도출하여 업무 체계를 정립하고 업무 활동에 따른 활동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업무 활동 체계를 정립하고, 6개 업무영역과 21개의 업무 활동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TLO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AHP 분석으로 각 업무 영역별 활동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한 후에 업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술이전 사업화 업무 활동을 정립하고 업무 활동별 주요 업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업화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기술이전 성과를 높이는 데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기반 컴퓨터자동채점모델과 기계번역을 활용한 서술형 한국어 응답 채점 -자연선택개념평가 사례- (Scoring Korean Written Responses Using English-Based Automated Computer Scoring Models and Machine Translation: A Case of Natural Selection Concept Test)

  • 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89-397
    • /
    • 2016
  • 이 연구는 기계 번역을 활용하여 영어기반서술형 평가의 자동채점모델을 한국어 응답에 적용하는 방법의 효용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하여 예비생물교사 128명이 4문항으로 구성된 자연선택개념평가도구에 응답한 512개의 서술형응답을 활용하였다. 서술형응답은 한글맞춤법을 교정한 것과 교정하지 않은 학생들이 작성한 그대로의 응답 두 가지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하였다. 8가지 과학적 개념과 비과학적 개념을 채점하는 자동채점모델을 통해 생성한 4096개의 예측자료의 정확도를 독립적으로 수행한 전문가 채점자료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로 채점한 점수와 전문가 채점점수의 평균값의 문항별 분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값을 활용하여 생성한 통계치들은 전문가 채점자료를 통하여 생성한 자료들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생별 점수의 Pearson 상관관계 계수를 확인한 결과 과학적 개념 점수는 0.848, 비과학적 개념 점수는 0.776이었다. 언어적으로 단순한 개념의 경우 채점자간 일치도 (kappa)가 0.8이상이었다. 이 결과는 기계 번역과 영어기반 서술형 평가의 자동채점모델이 우리나라 학생들의 자연선택개념문항을 채점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통 두족류의 중금속(Hg, Pb, Cd, Cu) 함량과 위해성 평가 (Contents of Heavy Metals (Hg, Pb, Cd, Cu) and Risk Assessment in Commercial Cephalopods)

  • 김수언;황영옥;박애숙;박영애;함희진;최성민;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06-6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 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족류 가식부의 중금속 함량은 수은 $0.017{\pm}0.063\;mg$/kg, 납 $0.024{\pm}0.004\;mg$/kg, 카드뮴 $0.030{\pm}0.027\;mg$/kg, 구리 $2.536{\pm}0.653\;mg$/kg이었으며, 내장에서는 수은 $0.063{\pm}0.016\;mg$/kg, 납 $0.579{\pm}0.304\;mg$/kg, 카드뮴 $15.200{\pm}6.189\;mg$/kg, 구리 $201.706{\pm}129.7\;mg$/kg이었다. 낙지 가식부와 내장의 비로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파악해보면, 카드뮴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구리, 납, 수은 순이었으며, 낙지 무게에 따른 중금속의 축적 정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낙지를 통해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등의 중금속 주간 섭취량은 FAO/WT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0~0.2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 되며, 비가식부(내장)의 경우는 0.05~92.28%로 높게 나타나 낙지 섭취 시 낙지 내장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축물 수선교체주기 산정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of a building)

  • 김종록;손재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3-198
    • /
    • 2010
  • 연구의 수행결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점으로는 국내의 경우 수선주기와 교체주기에 대한 명확한 구분기준이 없으며 건축공법과 재료성능의 발달 및 건물의 경과연수에 따른 변화대응력을 감안한 수선교체주기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즉 25~35년 사이에 리모델링 수준의 대규모 개수가 이루어 질 경우를 고려한 경제적인 수선교체주기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선교체주기의 산정에 있어 외국의 경우, 건물의 용도나 성능수준에 따라 이를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별건물의 특성을 반영하고, 새로운 건축재료나 공법에 대해 수선교체주기 산정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며 더불어 수선교체 대상항목의 분류 방식이 건축물 초기공사항목의 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재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선교체 이력데이터의 관리를 통해 기존의 확정적 수선교체주기설정에서 벗어나 건축물의 상태에 기반하여 수선교체주기를 재설정할 할 수 있는 업무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적개발원조(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한 Q유형 분석 (Typology Study on and Attendant Assistant Image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 정백;김경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117-141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활동하는 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Q방법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이미지관한 이미지 수용 유형을 분류해서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ODA전문가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유형은 개성형, 제2유형은 독단적 유형, 제3유형은 유유자적 유형, 제4유형은 방관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유형이 비슷하게 합의한 진술문은 총 5개이다. 이는 제1유형에서부터 제4유형까지의 진술문들에 대한 의견일치를 보여주는 항목이다. 여기에서 피응답자들은 Q16(겉과 속이 다르게 보인다), Q19(학력이 높아 보인가), Q10(책임감이 있다), Q8(신속하게 일처리를 한다)의 진술문에 대체적으로 동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Q4(공사구분이 철저하다)라는 의견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아, 응답자들은 국제개발협력 강의를 진행하는 ODA전문가들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ODA사업에 참여한 전문가들과 관련하여 주로 직무분석이나 전문인력 수급 및 교육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자들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에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수원국 주민들이 한국의 ODA 전문가들의 이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PDF

선박 블록 조립 후 최적 정도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 연구 (An Algorithm for Optimized Accuracy Calculation of Hull Block Assembly)

  • 노재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52-5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블록 조립 후 정도 계산 절차와 블록 조립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 정도 계산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생산관리점들 중 특정한 관리점을 기준으로 생산관리점들의 설계와 측정 데이터 사이의 평균제곱근 오차의 합을 목적함수로 가진다. 생산관리점들은 접합면 상의 데이터와 그 외의 데이터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데이터는 정합 과정에서 사용되어지는 6가지 자유도 조합 결정에 있어 다양한 제약조건 구성과 목적함수 계산에 사용하였다.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과 함께 탑재공정을 고려하여 설계와 측정 계산 대상점들 간의 오차가 허용 오차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점과 점 관계를 이용하는 변형 ICP 알고리즘과 sampling법을 혼합하여 최소 오차 범위를 계산하는 최적 정도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실제 공정에서 확인된 블록 측정 데이터를 개발된 알고리즘에 적용한 결과에 따르면 최적 정도 계산의 대상점은 접합면 상의 점들만으로 계산을 수행하는 것보다 전체 점을 대상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작은 오차를 가지며 접합면의 한 점을 고정된 일치점으로 두고 모든 생산관리점들을 대상점으로 계산 하는 것이 최소 오차를 가지는 최적 정도 계산방법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효과 측정 도구 개발: Rasch 분석을 중심으로 (Developing Measure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Effectiveness: Applying Rasch Analysis)

  • 한상우;최성열;최인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5-125
    • /
    • 2020
  • 최근 사회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문제중심학습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새로운 교수법이다. 이러한 교수법 적용에 따른 학습 효과를 수업 현장에서 간편하고 정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기존 문제중심학습 효과 측정 연구에 활용된 문항을 수집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도구 개발을 위한 22개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문항을 이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Rasch 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124명의 학생 중 11명이 부적합, 22개 예비 문항 중 1개 문항이 부적합 판정되어 제외하였다. 또한 본 도구 구성을 위한 최적 척도는 4점 척도로 확인되었으며, 대상자와 문항에 대한 분리 신뢰도는 우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도구가 교육 현장에서 학습효과 측정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