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retion

검색결과 1,813건 처리시간 0.034초

택군육미지황탕이 산화질소의존형 고혈압백서의 혈압과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ekunyukmijiwhang-tang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 in NO-dependent Hypertensive Rats)

  • 손은진;강대길;노숙연;이안숙;윤명호;문미경;윤용갑;이호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4-92
    • /
    • 2004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aekunyukmijiwhang-tang (TV)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 in nitric oxide (NO)-dependent hypertensive rats. A phamacological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for 4-6 weeks produces renal vasoconstriction, renal dysfunction, and progressive severe hypertension. Treatment of rats with NG-Nitro-L-arginie methylester (L-NAME) (100 mg/L, 6 weeks), which is a nonspecific NOS inhibitor, cause a sustained in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long with the decrease in expression of ecNOS in the kidney and thoracic aorta. The expression of Na, K-ATPase α1 subunit in the kidney was also reduced in the L-NAME induced hypertensive rats group. The renal functional parameters including urine osmolality (Uosm), creatinine clearance (Ccr), which is an index of glomerular filtration (GFR) were decreased in rat with L-NAME induced hypertension. while solute-free water reabsoption (TcH₂O) was unchanged in all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 group combined treated with TV and L-NAME did not develop hypertension and expression of ecNOS in the aorta was restored. The expression of Na/sup +/, K/sup +/-ATpase α1 subunit in the kidney was markedly restored in L-NAME-induced hypertension rats by administration of TV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urinary volume (UV) and sodium excretion (UNaV), whlie Na/sup +/, K/sup +/-ATPase /β1 subunit was not alte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V attenuates an increase in SSP in the L-NAME induced hypertension and restores partially renal function, which seems to be caused by up-regulation of expression of Na/sup +/, K/sup +/-ATPase α1 subunit in the kidney and ecNOS in thoracic aorta.

Low Dose Exposure to Di-2-Ethylhexylphthalate in Juvenile Rats Alter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with Thyroid Hormone Regulation

  • Kim, Minjeong;Jeong, Ji Seong;Kim, Hyunji;Hwang, Seungwoo;Park, Il-Hyun;Lee, Byung-Chul;Yoon, Sung Il;Jee, Sun Ha;Nam, Ki Taek;Lim, Kyung-M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5호
    • /
    • pp.512-519
    • /
    • 2018
  • Phthalate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s have deeply penetrated into our everyday lives. Recently, a concern over the toxicity of phthalates on thyroid, has been raised but in most of cases, the doses employed were unrealistically hig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thalates on thyroi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peated oral exposure to low to high doses (0.3, 3, 30 and 150 mg/kg) di-2-ethylhexylphthalate (DEHP) from weaning to maturity for 90 days in juvenile rats on the thyroid.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DEHP significantly induced hyperplasia in the thyroid from the doses of 30 mg/kg, which was confirmed with Ki67 staining. In line with this finding,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 was observed in the thyroid of female at 0.3 mg/kg and 150 mg/kg as determined by RNAseq analysis. Moreover,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parathyroid hormone (Pth) in the female at 0.3 mg/kg, and thyroglobulin (Tg) and thyroid hormone responsive (Thrsp) in the male at 0.3 mg/kg were noted in the blood, of which changes were substantially attenuated at 150 m/kg, alluding the meaningful effects of low dose DEHP on the thyroid hormone regulation. Urinary excretion of mono-2-ethylhexyl-phthalate (MEHP), a major metabolite of DEHP was determined to be 4.10 and 12.26 ppb in male, 6.65 and 324 ppb in female at 0.3 and 30 mg/kg DEHP, respectively, which fell within reported human urine leve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a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low dose phthalates on the thyroid.

L-3-[$^{123}I$iodo-${\alpha}$-methyltyrosine 합성과 9L Glioma 이식 백서 분포조사 (Synthesis of L-3-[$^{123}I$]iodo-${\alpha}$-methyltyrosine and Biodistribution in 9L Glioma Bearing Rats)

  • 양승대;임상무;우광선;정위섭;전권수;서용섭;임종석;박현;윤용기;이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5-109
    • /
    • 1995
  • Tyrosine의 유도체인 [$^{123}I$]IMT를 각종 악성종양의 SPECT에 이용하기 위하여 표지시 반응조건과 뇌종양이식 백서에서의 체내 동태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MT의 [$^{123}I$] 표지에 chloramine-T 보다 Iodobead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수율이 높았으며, Iodobead 1개, AMT $200{\mu}g/100{\mu}L$ phosphate buffer, PH 5.5, 상온에서 7분간 반응시키는 것이 최적 반응조건이었다. 9L glioma 이식 백서 체내동태는 [$^{123}I$]IMT가 신장으로 배설됨과 체내에서 탈요오드 반응이 일어남이 추측되었고, 정상조직의 3배 방사능 섭취가 관찰되어, 각종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 후 경과 관찰에 이용 가능성이 보여 임상연구의 진행이 기대된다.

  • PDF

수용성 카이토산에 의한 체내 방사성스트론튬의 제거 (Removal of Radiostrontium ($^{85}Sr$) from the Rat by Water Soluble Chitosan)

  • 김광윤;범희승;김희경;최근희;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3-129
    • /
    • 1993
  • $^{85}Sr$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85}Sr$의 오염에 앞서 3% 카이토산을 체내에 투여한 경우 $^{85}Sr$의 체내 잔존율이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 배출효과에 있어서 위장관에 의해 1일 1회 5일간의 연속투여군에서는 1회 단일투여의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수용성 카이토산의 경우 1회 투여군에서는 불용성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일 1회 5일 간의 연속 투여군에서는 약2배 이상 그 배출율이 증가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방사선 스트론튬이 체내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배출물의 경우 변증으로 대부분이 배출되며 카이토산의 투여군에서는 뇨를 통한 배출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수용성 카이토산의 투여군에 의해 방사성 스트론륨의 소화관 흡수가 저해되어 결과적으로 배출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골대사 중에 작용하여 표적 기관으로부터 $^{85}Sr$을 추출시키는데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수용성 카이토산과 불용성 카이토산이 방사능 방호약제로 유효하게 쓰일 수 있으며 그중 3% 수용성 카이토산은 연속적으로 투여 한 경우 $^{85}Sr$의 체내 대사에 영향을 미쳐 장기간 투여시 $^{85}Sr$을 체외로 배출시 키는데 기여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총담관낭종의 $^{99m}Tc$-DISIDA 간담도 스캔 (Scintigraphic Features of Choledochal Cyst Using Technetium-99m-DISIDA Hepatobiliary Scan)

  • 최정일;김정균;배선근;곽동석;정병천;이재태;이규보;전석길;이형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80
    • /
    • 1993
  • In order to evaluate the scintigraphic features of choledochal cyst and these diagnostic value, authors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fourteen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 undergone hepatobiliary scan with $^{99m}Tc$-DISIDA before surgery. Five cases demonstrated the decreased hepatic uptake at 5-minute image of which four cases revealed severe jaundice. Seven cases demonstrated visualization of the cystic dilated common bile duct within 1 hour after injection. Two cases showed the cyst activity between 1 and 12 hours, but the cyst activity was not visible in five cases. Nonvisualization of the gall bladder was noted in ten cases, while four cases demonstrated visualization of the gall bladder within 1 hour. The time of visualization of gut activity was variably delayed. The intestinal activity was found in three cases within 1 hour and appeared in three cases between 1 and 2 hours and eight cases showed no visible gut activity. In four cases, intrahepatic ductal prominence was visible on the scintigram. Seven cases showed early and persistent accumulation of tracer in the common bile duct. Three cases showed persistent photon-deficient area in the gall bladder region. Two cases showed early photon-deficient area around gall bladder region with progressive accumulation of tracer in the same region. Two cases showed no evidence of activity in the biliary tract but noted late excretion into the small intestine. We concluded that hepatobiliary scan using $^{99m}Tc$-DISIDA is a noninvasive test useful in the evaluation and the diagnosis of choledochal cyst.

  • PDF

경주마 약물검사에서 testosterone 투여 여부표지자로서의 testosterone 대사체들에 대한 dehydroepiandrosterone의 비율 평가 (Evaluation of Testosterone Metabolites/Dehydroepiandrosterone As the Indicators of Testosterone Administration in Horse Doping)

  • 김진영;최만호;김상진;경진범;정봉철
    • 분석과학
    • /
    • 제12권3호
    • /
    • pp.190-195
    • /
    • 1999
  • Testosterone cypionate (750 mg) 주사제를 말에 투여한 후 testosterone의 대사과정을 살펴보았다. 채취한 뇨에서의 추출물은 효소와 산에 의해 가수분해한 후 oxime-t-butyldimethylsilyl(oxime-TBDMS)의 형태로 유도체화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분석하였다. Testosterone의 체내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요 대사체인 $5{\alpha}$-androstan-$3{\beta}$, $17{\alpha}$-diol, $5{\alpha}$-androstan-$3{\beta}$, $17{\beta}$-diol 그리고 $5{\alpha}$-androstan-$3{\beta}$-ol-17-one과 testosterone 및 DHEA의 구조는 표준물질과 질량스펙트럼을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그들의 배설정도를 GC/MS의 selected ion monitoring (SI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실험방법에서 얻은 검정곡선은 정량 범위 내에서 직선성(r>0.984)을 나타내었고, 회수율은 86.3~94.7% 이었으며, 검출한계는 1~3 ppb 이었다. Testosterone의 배설정도는 주사제 투여 후 5일째 최고 농도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DHEA와 testosterone 및 그 대사체들의 비는 경주마 약물검사에서 testosterone의 투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육계분 발효사료의 첨가수준이 숫꽃사슴의 소화율, 건물채식량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Levels of Deep-stacked Broiler Litter on Digestibility, Dry Matter Intake, and Nitrogen Balance by Male Spotted Deer(Cervus Nippon))

  • 전병태;곽완섭;강성기;이상무;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79-86
    • /
    • 2003
  • 본 실험은 기존 사슴사료에 있어서 육계분 발효사료의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숫사슴에 있어서 육계분 발효사료의 첨가수준을 0, 15, 및 30%로 달리하여 소화율, 증체량, 건물채식량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실험사슴들은 비슷한 수준의 채식량을 나타내어 건물기준으로 체중의 약 3% 정도의 채식량을 기록하고 있어 육계분 발효사료를 30%까지 첨가한 경우 숫사슴의 채식 기호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소화율은 Control이 76.5%로 가장 높았고, T2가 70.3%로 가장 낮아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조단백질의 경우도 Control구가 75.8%로 가장 높은 소화율을 나타냈으며, T2가 70.2%로 가장 낮은 소화율을 나타내어 처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조섬유 소화율은 Control구 70.8.%, T1구 62.7%, T2구 56.0%로 육계분 발효사료의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섬유 소화율이 저하되어 Control구와의 사이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건물 및 가소화 건물섭취량 모두 육계분 발효사료의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약간씩 저하되는 경향은 있었으나 그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험사슴들의 일당 증체량은 T1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Con- trol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처리간의 차이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질소섭취량은 T1구가 40.2g으로 가장 많았으며 T2구가 38.0g으로 가장 낮았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분 중 질소의 양은 T2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뇨 중 질소의 양은 Control구가 가장 높았다(P<0.05). 체내 질소 축적량은 T1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처리구들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부터 분리된 Esterase 생성균의 생육 및 효소생성 특성 (Esterase Production and Cultur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Acid Hydrolysed Soybean Protein)

  • 오남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484-489
    • /
    • 1997
  •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 부터 식품 보존료인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를 분해하고, esterase 활성을 갖는 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여 그들의 생육 및 효소 생성 특징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전부 Baillus sp. 로 동정되었으며, specific growth rate는 균주에 따라 $0.844{\sim}1.213\;h^{-1}$였으며, esterase activity 는 Baillus sp. KB8 균주가 222 mU/ml로 대비균주인 B. subtilis ATCC6633의 21 mU/ml보다 10배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 분해 활성도는 $5.4{\sim}8.1\;mU/ml$로 균주에 따른 큰 차이는 볼 수 없었다. Baillus sp. KB8 균주의 배양시 NaCl 첨가는 생육을 저해시키며, esterase의 세포외 축적과 세포내 합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aCl 첨가 농도의 증가는 세포외 축적을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크 배양실험 결과 Baillus sp. KB8 균주의 효소 생성은 생육이 stationary phase 이후 점차 증가하여 배양 64시간에 420 mU/ml를 생성하였다. 온도에 대한 esterase의 활성은 $50^{\circ}C$에서 30분간 실활없이 유지되었으나 $70^{\circ}C$에서는 전부 실활되었다. $60^{\circ}C$$65^{\circ}C$ 에서의 효소 활성은 노출 시간에 따라 지수적인 실활 경향을 보여 3시간 후 $60^{\circ}C$에서 76%, $65^{\circ}C$에서는 3%의 잔존 효소활성을 보였다.

  • PDF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A Case Report for a Korean Patient with Mucopolysaccharidosis IIIA Confirmed by Biochemical and Molecular Genetic Investigation)

  • 김보람;조성윤;손영배;박형두;이수연;송정한;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4-48
    • /
    • 2015
  • 뮤코다당증 제3A형(Mucopolysaccharidosis IIIA, Sanfillippo syndrome type A)은 heparan sulfate 대사에 관여하는 heparan N-sulfatase의 결핍으로 유발되는 리소좀 축적 질환이다. 본 연구는 대두증과 발달 지연을 보이는 5세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 소변의 glycosaminoglycan은 26 g/moL creatinine으로 증가되어 있었고(참고치: <7 g/moL creatinine), 소변의 전기영동 검사에서는 heparan sulfate 분획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측정한 heparan N-sulfatase 활성도는 0.2 pmol/min/mg protein으로 매우 감소되어 있었다(참고치: 9-64 pmol/min/mg protein). 중합효소연쇄반응-염기서열분석법에 의한 SGSH 유전자 검사에서는 c.1040C>T (p.S347F) 및 c.703G>A (p.D235N) 돌연변이가 각각 이형접합체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확진된 첫 번째 한국인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고진복;김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1-536
    • /
    • 2004
  •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7주령의 숫쥐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15% 돈지와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 대조식이에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음료수에 30% 및 40%로 혼합 급여한 군(30% 및 40% 신령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30%와 40% 신령버섯군이 유사하였다. 간,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 간과 혈청의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30% 및 40%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신령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신령 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신령 버섯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으로 배설된 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40%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30%나 40% 급여시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