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aggeration phenomen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Delong의 지표적 고찰에 따른 형태적 과장 현상과 유형 분석 연구: 근세.근대 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ype Analysis and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in Fashion through Indexical Consideration of Delong's Theory: Focus on 16th to 20th Century Women's Costumes)

  • 배정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16
    • /
    • 2010
  •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makes the plastic space, escaping from the form peculiar to the human body, is being developed into the more diversified and abstract structu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and shape of costumes with objective attitude through the use of an oppositional concept method, which Delong presented from the formative viewpoint. Delong's theory, which wa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one index that analyzed the form and shape of costumes. The costumes of the Renaissance Era, in which formative exaggeration is remarkable, are determinate in that they are closed and static, and can be classified into part, planer separation, and flat. The costumes of the Baroque and Rococo Eras are divided into similar formative perspectives, and can be said to be open, whole, and integrated due to indeterminate and diverse decorations. Entering modern times, the formative-exaggeration phenomenon in costumes of the Romantic Era are characterized by closed, part, and planer separation similar to costumes of the Renaissance Era. However, in the aspect of sleeve design and dec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were considered.

Representation of Curl Exaggeration, Cohesion, Adhesion and Stiffness in Wet Curly Hair

  • Jong-Hy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77-84
    • /
    • 2023
  •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에서 젖은 머리카락이나 털의 응집력과 뻣뻣함을 시뮬레이션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젖은 머리카락이나 털은 끝부분이 뭉치고 뻣뻣해지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젖은 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젖은 머리카락은 고체와 상호작용을 하면 접착력이 발생하지만, 이 문제는 곱슬머리에서 힘의 분산과 균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해결하기 어려워진다. 기존 방법에서는 수작업을 통해 젖은 머리를 표현하거나 정적인 헤어스타일로 젖은 곱슬머리 및 털을 표현한다. 그러나 젖은 곱슬머리의 디테일을 묘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젖은 곱슬머리의 컬 과장, 응집력, 접착력 그리고 강성을 효율적으로 모델링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응집력을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강성 제약 조건을 곱슬머리 역학과 통합하여 안정적으로 모발의 탄성을 제어한다.

확대형 두발양식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와 로코코시대의 비교분석 -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nlargement Hair Type - Compare the Enlarged Hair Typ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in Rococo -)

  • 임린;김은정
    • 복식
    • /
    • 제57권4호
    • /
    • pp.143-158
    • /
    • 2007
  • This study considers enlargement phenomenon in hair style as one of Costume types and analyzes its artis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Hair sty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of the Rococo. First, its formative property, one of the common aesthetic characteristics, breaks the concept of traditional balance in Clothing and emphasizes its transformation, changes, and space beauty. This formative property shows the Enlargement and exaggeration beyond the concept of Space. Its sensuous property reflects women's psychological minds; exaggeration and sensualism. Artistic property doesn't focus on hair style only or clothing style only and considers hair style as renter of beauty as well as its important element. It shows the traditional beauty of nature and creativity in the Chosun Dynasty. Second, its formative property, one of the differential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s these following differences consider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of the Rococo; mutual transformation, independent transformation, focus on distortion, harmony in scale, disharmony between irregularity and exception, extension and separation in space, etc. Sensuous property shows the temperate beauty and metaphorical sense, affected by the Practical Scie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ile it shows the secular sense and exaggerated beauty, affected by the Enlightenment, in the Rococo. Artistic property shows the harmony with the Clothing style, balanced wearing lines, and natural beauty, as one part of Cloth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it shows creativity, as separate part from Clothing, in the Rococo.

아시안 룩의 탈중심화 현상과 그 기법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Phenomenon of the Decentralization of the Asian Look and its Method)

  • 서봉하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20-31
    • /
    • 2011
  • Decentralization is an effort to liberalize people from its character of neutralizing or restraining people while indwelling in the previous thought system. Decentralization in fashion is one of the phenomenon of post-modernism fashion,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de-culturalism, crossover, abolition of rank, and etc, and it is in line with Asian look which includes orientalism fashion. The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Phenomenon of Decentralization of Asian Look and its Method depicted in the western fashion. The study focuses on documentary data, and the it is held with the basis of Asian look shown in western fashion. If ideology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folk costume of Asia, Asian look is the dissolution of such ideology, and post-modern amusement is substituting it.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decentralization phenomena of Asian look is pastiche which is a combination and reallocation of external style of many cultural zones and many folk costumes, and it shows mutual irrelevance, and it is a neutral imitation which has internal meaning and humor disappeared. Also, Asian look shows characteristics of parody and irony, which are reversal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value which is expressed through methods of addition, modification, distortion, exaggeration, inversion, dissolution, and etc. Parody which is expressed through imitation regarding previous style shows effect of humor or satire, but its characteristics show that it expresses respect or admiration regarding the original The method of irony is showing sarcasm with ironical method regarding the peculiar style of Asian folk costume, and it pursues unexpected shock and joy,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orientalism fashion. Expansion and constancy of Asian look reflects the interest regarding folk of Asia and Asia, and it is a movement which intends new attempt by abolishing stereotype, and furthermore, it is expressing liberty of humans.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원근법 해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s)

  • 김순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9
    • /
    • 2015
  • Advent of diverse media and advancement in digital technology significantly affected our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By utilizing digital media actively, fashion illustration has come to go beyond the limitation on conventional perspective express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and to analyze a variety of space expressions and effects of visual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By way of literature research for the study, theoretical data are reviewed about basic concepts of conventional perspectiv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oncept of perspective deconstruction expression in visual art. By way of an empirical study, fashion illustrations that represent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are classifi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mage effects of such expressions.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find in expression of spaces by means of multi-space, multi-layer space, reverse perspective, perspective through the exaggeration, multi-perspective space, and panoramic visual condition. Fashion illustration expresses visual confusion or fantasy rather than creating realistic spaces that have utilized reasonable perspective. Fashion illustration is moving toward a trait with disharmony and an in-depth visionary space by overlapping or mixing spaces differing from each other, and by means of such peculiar and unrealistic expressions, unfamiliar images are created.

  • PDF

민화(民畵)의 만화(漫畵)적 요소 연구 (A study of the Cartoonish Element in Folk Painting)

  • 이순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151-164
    • /
    • 2009
  • 민화(民畵)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여러 방향으로 지속되어왔다. 회화 작가들에 의해 응용되며, 또한 디자인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대부분 '한국의 미'라는 관점에서 용인되어 시도되는 것들이다. 그만큼 민화는 한국의 대중적인 회화를 상징하고 잊혔던 정신의 한 면으로 통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활용에도 불구하고 민화의 뚜렷한 독창성에 비해 명맥만 유지하는 현상이다. 만화의 특성과 많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만화의 시도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과장과 생략, 풍자와 시사성, 대중적인 그림화법, 희화적 요소, 이상향의 세계표현, 작가마다의 다른 이해에 의한 화법 등 민화의 특징에서 독창적인 그림을 분류하고 연구하여 만화적인 화법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민화의 유형은 대부분 그림 내용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 민화 속에 만화적인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므로 동물, 식물, 인물, 곤충, 어류, 조류, 자연현상 등 그린 대상으로 크게 묶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대상의 캐릭터화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적극적인 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 PDF

만평의 소재로써 "안녕들 하십니까?"의 사회현상 분석을 통한 만화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Comic Strips through Analysis on the Social Phenomenon of "How are you, really?" as a Material for Satirical Cartoon)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167-195
    • /
    • 2014
  •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가 2013년 12월 10일에 등장하였다. 이에 동조하는 대자보들이 곳곳에 등장하였으며, 인터넷과 SNS에서 사람들의 입에 뜨겁게 회자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현상은 각 언론사의 관점에 따라 의미가 다른 기사의 형태로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또한, 신문의 네칸만화와 만평에서도 특정 사건의 의미전달을 위한 소재로써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이는 신문 매체에서 풍자와 비평으로 세상을 관조하는 만화가 독자에게 카타르시스와 함께 사건의 핵심을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시키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안녕들 하십니까?"의 사회현상은 지나가 버린 과거처럼 언론이나 대중의 관심에서 잊히고 있다. 반면 안녕하지 못한 현상들에 대한 해결은 요원해 보인다. 하지만 만평은 연계관계가 있는 사회현상이 발생할 때 이를 이야기 장치로 활용하여 다시 되새긴다. 독자는 기억 속에서 멀어져간 사회현상을 되새기고 이를 기억하며 사회현상을 다시금 환기한다. 이처럼 만평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언론의 역할을 하며, 만화의 장점을 활용한다. 본 연구는 만화가 중요한 사회적 역할과 소임을 가진 중요한 매체임을 주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문사의 네칸만화와 만평은 신문사 또는 작가의 관점에 따른 차이는 있을지언정 자기 목소리를 내면서 사회적 역할을 분명히 한다. 만화의 장르 중에서 신문 만화의 사회적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사회현상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즉 과장과 강조, 구체적 지시로 사회현상에 대한 입장과 주장을 분명히 드러낸다. 두 번째, 독자를 설득 또는 이해시킨다. 즉 비슷한 관점을 가진 독자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 연구는 만화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만화의 부정적인 일부분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매도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장 폴 골티에 작품에 나타난 내적 해체경향 (The Internal Deconstruction Trend Expressed in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 최영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574-591
    • /
    • 2001
  •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philosophy in order to analyze the major aspects of the fashion world called the deconstruction fashion based on the deconstruction philosophy, and analyzes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in terms of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from 1980 to present, and this study fashion on the many kinds of literature on philosophy, aesthetics and literary criticism, 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journals and magazines. The deconstructionism is the philosophical theory which denies the traditionally recognized logocentric metaphysical theory and refuses the closed world and pursues the open world, opposing the dichotomic theory which is the deep-rooted tradit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The results of analyses centering on the internal deconstruction trend expressed in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are as follows. 1 The past style combined with the present appears in the form of the entirely new trace, not the past emotion and meaning in Gaultier's works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2 Gaultier presents the unconventional intermeaning of meanings, producing various possibilities according to the wearing method of the wearer by layering several clothes. 3. Gaultier breaks from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intertextuality of gender, and decomposes the fixed idea of men's or ladies'wear through the design sharing bisexual text. 4. In the intertextuality of T.P.O., Gaultier presents the problem of how to wear by mixing different items through obscuring the division of the nature of time, space, and purpose. Especially Gaultier can be called the first designer who, worthy of the father of the deconstructionism, has introduced in the fashion making inner wear like outer wear. 5. In the intertextuality of coordination, Gaultier presents a new perspective of coordination through free combination and contrast,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man-made harmony criterion and deconstructing the clothes. On the other hand, Gaultier expresses the intertextualit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the material. 6. The decomposition trend expressed in the many works of Gaultier reflects an open mind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distortion of the form, exaggeration, and break from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7. The decentering trend in the works of Gaultier is found to deconstruct the Western-dominated elem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subcultural elements, the elements borrowed from the minority race, md the Oriental culture. 8. The discontinuity clothes of Gaultier present the disordered principle of design without the uniform rules, and express the unrestrained freedom without captivation by the preconceived idea through the disruption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s just like Gaultier.

  • PDF

B급 감성 광고 경향에 관한 내용분석: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공중파 TV광고를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B-Class Emotional Advertising Trend: Focused on TV commercials from 2015 to 2020)

  • 백주연;염동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9-188
    • /
    • 2022
  • 본 연구는 B급 감성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최대 광고 포털 사이트인 TVCF(www.tvcf.co.kr)에 탑재된 광고들 중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온에어된 498편의 광고들을 추출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급 감성 광고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특히, 유머/과장 장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왔고 2020년 Corona-19 Pandemic으로 인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업광고가 아닌 비상업광고 영역인 관공서나 단체, 공익광고, 기업 PR 등의 영역에서 과거에 비해 B급 감성 광고 활용률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급 감성 광고는 이제 더 이상 단순히 '하위문화(subculture)'로부터 기인 된 '비주류' 문화의 표상이 아닌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현상뿐 만이 아니라 개인의 우울감, 피로감 그리고 상실감의 증폭 문제 등까지 '희화(漫畫)화'를 통해 완화시켜주는 '새롭고 도전적인 주류문화'의 표상으로서 산업/비산업군의 모든 영역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오브제(Object)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 결과물의 '오브제(Object)'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 Emotion and Creativity of 'Objet Animation' -Focused on the analysis of 'Objet' type of cultural arts education outcomes-)

  • 김현영;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43-73
    • /
    • 2018
  • 연구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 중 '오브제(Object)'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예술에서 오브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큐비즘부터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미래파, 팝아트에 이르기까지 오브제는 현대미술과 발걸음을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오브제는 키네틱 아트, 비디오 아트, 미디어 아트, 애니메이션 등 '움직임'을 표현하는 영상예술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예술작품에 사용되는 오브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현실주의 담론에서 영향을 받아 6가지 오브제 유형분석 틀을 마련하고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형분석틀은 드로잉 오브제, 실재(존재)의 오브제, 몰핑 오브제, 표피의 오브제, 대입된 오브제, 아상블라주 오브제로 명명하였고 이 유형을 사례 이미지와 함께 제시하며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결과물을 중심으로 하였다. 미학적 정서는 프로이드가 말한 생명에 대한 욕구(Eros)를 Attraction(매혹)으로, 죽음에 관한 욕구(Thanatos)를 Uncanny(두려운 낯설음)으로 칭하며 상반된 개념을 토착신앙인 Animism과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게슈탈트 심리학자인 카를 던커(Karl Duncker, 1903-1940)가 말한 '기능적 고정성(Functional fixedness)'이란 용어와 관련지어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측면인 '창의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기능적 고정성 극복이란 사물이 가진 기능적인 측면에만 고착되어 발상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브제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기능적 고정성을 극복한 사례로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논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오브제 유형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나아가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문화예술교육에서 활용할 때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