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volutionary approach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Uncovering the Role of External APIs in Driving Dynamic Ecosystem Growth

  • Um, Sungyong;Kang, Martin;Son, Insoo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3권2호
    • /
    • pp.143-16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external APIs in driving dynamic evolution within a digital ecosystem. Drawing on the concept of evolutionary network biology perspectiv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APIs' (non)network properties can significantly impact a digital ecosystem's product variet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nalyzes plug-in source code data from WordPress.org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14, using survival analysis to test this hypothesis.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external APIs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promoting ecosystem evolution over time than those offered by a focal platform system. This research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ecosystem dynamics and emphasizes the critical role of the generative nature of APIs in fostering ecosystem growth.

뉴미디어 발전단계모델을 적용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의 연구동향분석 (A Review of Research on Social Network Services Using the New Media Evolutionary Model)

  • 곽현;이호근
    • 정보화정책
    • /
    • 제18권3호
    • /
    • pp.3-2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연구의 개괄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정보시스템,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들을 검색하고 이들 논문을 뉴미디어연구 발전단계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연구는 뉴미디어 발전단계모델의 4단계의 모든 영역에 적절하게 분포되거나 유형화되지 않고 제 1단계와 제 2단계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의 정의나 특성(제1단계), 그리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및 이용자 분석(제2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소셜네크워크 서비스가 개인의 삶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제3단계)이나 향후 발전방향(제4단계)과 같은 영역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이론적 틀을 이용한 과학적 연구보다는 현상을 기술하고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의 연구는 뉴미디어 발전단계모델의 3단계와 4단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기존이론의 검증이나 새로운 이론의 개발과 같은 이론적인 틀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중용』과 진화생물학의 대화 가능성 모색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Evolutionary Biology)

  • 김재경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155-182
    • /
    • 2014
  • 이 논문은 "중용"의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과 "시중(時中)", 그리고 "천지위만물육(天地位萬物育)"의 이슈가 진화생물학의 유전자, 자연선택, 종 다양성 문제와 대화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성리학과 진화생물학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용"과 진화생물학의 접점이 무엇인지 모색하고 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점에서 "중용"과 진화생물학 사이의 대화 가능성을 검토한다. 첫번째는 인간 본성에 대해 천명지위성과 유전자의 관점에서 대화 가능한지 살펴본다. 두 번째는 존재 이유의 타당성을 시중과 자연선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세 번째는 생물간 상호 유연 관계를 천지위만물육과 종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첫 번째 모색의 소주제들은 <리와 기 vs 유전자와 운반체>의 구조적 연관성, <성선 vs 이기적 유전자의 이타성>의 판단기준, <인 의 예 지 vs 후성규칙>에서 '후천적 선험' 도출 가능성이다. 두 번째 모색의 소주제들은 <천리의 뒤집힘[번(?)] vs 돌연변이>, <변/화 vs 진화>의 시간관, <시중 vs 자연선택/적응>의 메타meta적 접근이다. 세 번째 모색의 소주제들은 <리일분수理一分殊 vs 부분과 전체>의 프랙탈 구조, < 일기一氣 vs 생물간 상호 유연>의 상동관계, <천지위 만물육 vs 생태계>와 치중화致中和의 과제이다. 이러한 모색과 제안들에 대한 후속연구는 "중용"을 둘러싼 성리학 연구의 지평 확대를 가져 올 수 있다.

침입생물 연구에 대한 메타개체군 이론의 활용 가능성: 침입 성공을 중심으로 (Availability of the metapopulation theory in research of biological invasion: Focusing on the invasion success)

  • 송재준;홍진솔;조기종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525-549
    • /
    • 2022
  • 개체군은 진화적 단위이자 개체군 통계적 단위로서, 생물학적 침입의 과정은 개체군의 생태적, 진화적 동태에 기인한다. 개체군의 공간구조는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분산이 반드시 동반되는 생물학적 침입에 대한 연구에서는 공간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메타개체군 이론은 공간구조를 가진 개체군에 대한 대표적인 접근으로, 주로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메타개체군은 공간적 구조를 가진 개체군의 동의어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용어의 모호한 사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절멸 가능성이 고려되는 경우에 한해 정의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침입 초기 단계의 개체군은 높은 절멸 가능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메타개체군 이론을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침입 초기 개체군의 생태적·유전적 특성은 분산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메타개체군 이론은 개체군 수준에서 침입성의 변화와 침입 가능성을 설명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국에서 침입생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는 주로 종 수준의 분포 변화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고, 메타개체군 개념을 적용한 경우가 드문 실정이다. 메타개체군 이론을 활용한다면, 국내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개체군 단위의 침입 기작을 보다 상세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침입생물에 미치는 메타개체군의 영향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침입생물 메타개체군이 자연적인 분산 거리를 넘어서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장거리와 중거리 두 가지 규모로 나누는 체계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메타개체군 개념에 입각한 침입생물 연구가 침입의 기작을 이해하고 장래의 침입 리스크를 예측·관리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in-Based Evolutionary STEAM Education on Scientific Interest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경욱;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39-2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이 중시하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창의성을 더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 모형(ABC-DEF)을 STEAM 교육에 적용하여, 새로운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소재 S 초등학교 4학년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비교반(45명) 학생들에게는 교과서·지도서 기반 STEAM 교육수업을, 실험반(45명) 학생들에게는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수업을 실시하였고, 수업 전후에 과학 흥미 검사와 과학 창의성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그 결과를 좌우·전후 비교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정량적 검사로 드러나지 않는 특성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 관찰지, 면담일지를 추가로 분석하여 정성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흥미 변인에 대하여 독립 표본 검증(좌우비교)을 시행한 결과,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 수업보다 상대적으로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는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학 흥미 변인에 대하여 종속 표본 검증(전후 비교)을 시행한 결과, 사전·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에 반해,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수업 전후에 따라 과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 변인에 대한 독립표본 검증(좌우비교)을 시행한 결과,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수업보다 학생의 과학 창의성 점수와 독창성 점수를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과학 창의성 변인에 대한 종속 표본 검증(전후비교)을 시행한 결과, 두 가지 교수·학습 방법 모두 수업 전후에 따라 학생의 독창성, 유용성, 과학 창의성 점수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육과 STEAM 교육 연구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클러스터의 동태적 진화와 대학의 역할 -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를 사례로 - (The Dynamic Evolution of the Cambridge Cluster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 이종호;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9-502
    • /
    • 2015
  • 실리콘펜 또는 케임브리지 현상으로도 알려져 있는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는 생명공학 산업 및 정보통신 산업에 특화되어 있는 혁신 클러스터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케임브리지 클러스터의 진화구조를 트리플힐릭스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는 케임브리지대학을 중심축으로 형성된 자연발생적 클러스터로 간주할 수 있으나, 오늘날 케임브리지가 세계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을 갖추게 된 밑바탕에는 1960년대 후반에 결성된 산-학-관 협력체인 '케임브리지지역발전위원회'의 활동과 그 결과로 만들어진 모트보고서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 후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클러스터의 성장과정에는 케임브리지대학의 칼리지들이 조성하기 시작한 사이언스 파크와 케임브리지대학의 스핀오프(스핀아웃)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클러스터 진화의 역동성을 주도하는 지역 내 스핀오프 활성화의 기저에는 케임브리지 지역에 오랜 세월 누적되어 온 기업가주의 문화와 창업 및 기업 활동을 촉진하는 기업가 네트워크와 사회자본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대학의 재정 지원을 축소하고 기업가적 대학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정부의 정책기조가 심화됨에 따라 케임브리지대학의 스핀오프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고, 이것이 케임브리지 클러스터의 역동적 진화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PDF

Integration of Optimality, Neural Networks, and Physiology for Field Studies of the Evolution of Visually-elicited Escape Behaviors of Orthoptera: A Minireview and Prospects

  • Shin, Hong-Sup;Jablonski, Piotr 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2호
    • /
    • pp.89-95
    • /
    • 2008
  • Sensing the approach of a predator is critical to the survival of prey, especially when the prey has no choice but to escape at a precisely timed moment. Escape behavior has been approached from both proximate and ultimate perspectives. On the proximate level, empirical research about electrophysiological mechanisms for detecting predators has focused on vision, an important modality that helps prey to sense approaching danger. Studies of looming-sensitive neurons in locusts are a good example of how the selective sensitivity of nervous systems towards specific targets, especially approaching objects, has been understood and realistically modeled in software and robotic systems. On the ultimate level, general optimality models have provided an evolutionary framework by considering costs and benefits of visually elicited escape responses. A recent paper showed how neural network model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visually mediated antipredatory behaviors. We discuss this new trend towards integration of these relatively disparate approaches, the proximate and the ultimate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behavior of predators and prey. Focusing on one of the best-studied escape pathway models, the Orthopteran LGMD/DCMD pathway, we discuss how ultimate-level optimality modeling can be integrated with proximate-level studies of escape behaviors in animals.

On the origin of tidal features in cluster galaxies

  • Choi, Hoseung;Yi, Sukyoung K.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40.2-40.2
    • /
    • 2013
  • Although galaxy mergers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lliptical galaxies, mergers in galaxy clusters have drawn less attention compared to mergers in field environments because galaxies with high peculiar velocities are unlikely to merge with each other. However, comparable fractions of merger features in cluster galaxies have been reported from deep imaging of Abell clusters, suggesting the relevance of mergers in the transformation of cluster early-type galaxies (Sheen et al. 2012). As a more direct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origin of tidal features in clusters, we perform hydrodynamic re-simulations on a cluster of galaxies. Based on mock observation images of the simulated cluster galaxies, we construct and analyze the cluster early-type galaxy sample in a consistent manner with Sheen et al. 2012. We find that the fraction of tidal feature from the simulated cluster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observation.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alaxies with merger features shows that most of the mergers responsible for the merger features in the present originate from outside the cluster more than 2Gyrs ago. We also find that many of the galaxies with tidal features show correlations with subgroups in the cluster.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ger features in the cluster are due to preprocessing before accretion into the cluster.

  • PDF

Verifying Orthologous Paralogenes using Whole Genome Alignment

  • Chan, P.Y.;Lam, T.W.;Yiu, S.M.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5년도 BIOINFO 2005
    • /
    • pp.109-112
    • /
    • 2005
  • Identifying orthologous paralogenes is a fundamental problem in comparative genomics and can facilitate the study of evolutionary history of the species. Existing approaches for locating paralogs make use of local alignment based algorithms such as BLAST. However, there are cases that genes with high alignment scores are not paralogenes. On the other hand, whole genome alignment tools are designed to locate orthologs. Most of these tools are based on some unique substrings (called anchors) in the corresponding orthologous pair to identify them. Intuitively, these tools may not be useful in identifying orthologous paralogenes as paralogenes are very similar and there may not be enough unique anchors. However, our study shows that this is not true. Paralogenes although are similar, they have undergone different mutations. So, there are enough unique anchors for identifying them. Our contributions include the followings. Based on this counter-intuitive finding, we propose to employ the whole genome alignment tools to help verifying paralogenes. Our experiments on five pairs of human-mouse chromosomes show that our approach is effective and can identify most of the mis-classified paralog groups (more than 80%). We verify our finding that whole genome alignment tools are able to locate orthologous paralogenes through a simulation study. The result from the study confirms our finding.

  • PDF

Applying Genetic Algorithm for Can-Order Policies in the Joint Replenishment Problem

  • Nagasawa, Keisuke;Irohara, Takashi;Matoba, Yosuke;Liu, Shuling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15
  • In this paper, we consider multi-item inventory management. When managing a multi-item inventory, we coordinate replenishment orders of items supplied by the same supplier. The associated problem is called the joint replenishment problem (JRP). One often-used approach to the JRP is to apply a can-order policy. Under a can-order policy, some items are re-ordered when their inventory level drops to or below their re-order level, and any other item with an inventory level at or below its can-order level can be included in this order. In the present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finding the optimal parameter of a can-order policy, the can-order level, for each item in a lost-sales model. The main objectives in our model are minimizing the number of ordering, inventory, and shortage (i.e., lost-sale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JRP, in which the objective is to minimize total cost. In order to solve this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we apply a genetic algorithm. In a numerical experiment using actual shipment data, we simulate the proposed model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other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