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ng digital resource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클라우드 컴퓨팅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Impacts of Perceived Value and Trus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Individuals' Cloud Computing: The Perception of Value-based Adoption Model)

  • 김상현;박현선;김보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77-88
    • /
    • 2021
  • 모바일 기기의 확산, 디지털 데이터의 증가, IT 자원 비용 문제 등의 환경 변화로 많은 사람이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데 유용한 서비스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클라우드 컴퓨팅 채택 및 수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개인 사용자가 인지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제안하고 연구모델을 설정하였으며 AMOS 22.0과 SPSS 23.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유용성, 정보접근편의성, 확장성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염려와 비용은 지각된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는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개인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도서관 단행본 자료의 장서폐기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iscarded Books in Academic Libraries)

  • 이용민;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1-86
    • /
    • 2021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는 대학도서관 단행본 장서폐기와 관련하여, 최근 10년간의 폐기 현황을 분석하고 사서 대상 면담을 통해 장서폐기와 관련된 이슈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장서폐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폐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서 규모가 200만권 이상인 대학도서관 그룹에서 가장 큰 규모로 장서폐기가 진행되었고, 장서구성 면에서는 단행본 복본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3회 이상의 장서폐기 작업과 1회 이상의 대량폐기를 시행한 기관의 사서 면담결과, 대량의 장서폐기 과정에서 다수의 단행본 복본이 폐기되는 가운데 활용가치가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서들은 내용적 가치가 있는 자료의 디지털화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한 저작권법상의 제약도 토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장서폐기가 장기적으로 장서구성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대학도서관들이 거시적으로 장서구성의 변화에 관심을 두기를 제안하였다. 폐기 단행본의 가치를 평가하여 디지털장서로 구축하고 소장도서의 복본 수를 디지털장서의 이용권 개념으로 유지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임도 준공도면의 수평위치 정확도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in Forest Road Completion Drawing)

  • 김명준;권형근;최윤호;염인환;이준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71-479
    • /
    • 2010
  • Forest roads of 16,424km have been constructed as infrastructur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The demand of forest road have been also increased steadily with SOC conception for forest management and wood production. But, accuracy verification by completion drawing of forest road needed aspects ext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to sound like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completion drawing. However, verification for completion drawing has not ascertained. This study carried out the evaluation for position accuracy about constructed forest road in Chungcheongnam-do for evaluating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of completion drawing of forest road. In result, first of distance of completion drawing and real route designed completion drawing longer than the real route as Gongju 83m, Seosan 66m, Nonsan 27m and Dangjin 19m, respectively. Second, RMSE by point-correspondence was 11m~14.7m, buffering analysis appeared difference of 18~24m. Finally, index of shape was the similar completion and real route through 6.5~7.4 and data information of forest road corresponds to be perfect. For such reasons, the existing completion drawings have a problem that it cannot use graphic information for drawing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regulation,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

학교도서관 미디어전문가를 위한 교수매체 선정기준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Instructional Media as Guideline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56
    • /
    • 2003
  • 학교도서관의 미디어전문가는 교육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학습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학습자료와 교수 매체를 조사, 평가, 선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전문가로서, 또 학습 상담자로서 주어진 역할을 완수할 수 있다. 사회변화와 정보기술 발달로 학교도서관 소장자료의 형태와 소장범위가 크게 달라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유형별 교수매체 선정기준을 지침으로 삼아 미디어전문가는 다양하고도 엄청난 양의 정보매체 중에서 학습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교수매체를 조직적으로 평가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학습용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하이퍼미디어에 대한 평가기준과 디지털 참고서비스의 질적기준은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있는 국내 교육계의 요구에 맞추어 유용하고도 적절한 교수공학 매체를 선정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Social media impact in the Match: A survey of current trends in the United States

  • Steele, Thomas N.;Galarza-Paez, Laura;Aguilo-Seara, Gabriela;David, Lisa R.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107-113
    • /
    • 2021
  • Background Applicants to integrated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PRS) residency in the United States spend exorbitant amounts of time and money throughout the interview process. Outside of first-hand experience through a visiting rotation, applicants utilize various resources in learning about a program. Today's applicants are "Millennials," the demographic cohort raised during the information age and proficient with digital technology. The authors evaluated whether programs have a presence on social media, and whether applicants are following these account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sent to applicants to a single integrated plastic surgery program evaluating basic demographics, social media utilization, and sources of information accessed throughout the residency application process. A manual search of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Instagram, Facebook, and Twitter) was performed in October 2019. Accounts affiliated with integrated PRS program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Results Eighty-four of 222 applicants (37.8%) completed the survey. Ninety-six percent of applicants were within the Millennial demographic. Ninety-six percent of applicants had some form of social media presence, with Facebook (90%) and Instagram (87%) being the most popular platforms. Seventy-three percent of applicants reported following a PRS residency social media account. As of October 2019, 59 integrated residency programs (73%) have active Instagram accounts. Conclusions Applicants still rely on the program website when researching potential residencies, but social media is being rapidly adopted by programs. Program social media accounts should be used as a dynamic form of communication to better inform applicants of program strengths and weaknesses.

PACS실에서 원격시스템을 이용한 업무의 효율성 평가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Work with the Remote System in PACS Room)

  • 김지혜;이종웅;이승진;동경래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1-175
    • /
    • 2011
  • Server and Pi view management, external image and internal image Copy Import business in PACS room is through the medical assistance. Import and Copy,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ase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import is a fast growing trend. Although the increase in workload With limited human resources to increase business efficiency so Remote system is using PACS room. This remote system will wan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service. Amount of data each 437.5 MB, Copy and Import time is to compare and evaluate sees by use 1 PC. 4 PC, 4 PC+ remote system. The use of the remote system before the January 2010 to June daily average waiting time and the use of the remote system after the January 2011 to June compared to a daily average patient waiting time, evaluate. Using the remote system in January 2011 to June Find out the average remote uti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on the four copy and eight continued, Were performed two times faster by use 4 PC+ remote system than use 4 PC and four times faster than use 1 PC. Before using the remote system, the daily average wait time is 14.5 minutes after using the daily average 10.2 minutes, waiting time 30% of the existing waiting time was 4.3 minutes, to reduce. Using the remote system in January 2011 to June the average daily number of cases is 107 number and The number of remote and on average 35 cases with 32% in a day remote usage. The use of the remote system to Import, CD Copy and great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ir time could be. Hours due to efficiency could also reduce customer waiting time. As a result, the manpower and the use of a remote system over time to maximize efficiency in business hours, work was evaluated by.

  • PDF

대통령기록포털 검색어 로그 분석 기반 이용자 정보요구 분석 (User Information Needs Analysis based on Search Terms Log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 이수현;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4
    • /
    • 2024
  • 최근 방대한 정보자원 속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대통령 기록물의 활용 가치 향상을 위해 대통령기록포털의 검색어 로그 분석을 통해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현 대통령기록포털에서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부합하는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색 품질을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기록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개선할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8년간의 검색어 로그를 기반으로 주제 분석, 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이용자 요구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대통령기록포털의 검색 품질을 정확도 관점에서 평가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통령 기록물 대상의 디지털 기록 큐레이션을 위한 사전적 연구로서, 이용자의 구체적인 정보요구를 파악하고 기록관 포털 사이트의 검색 품질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