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ether extrac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3초

적채 분획물의 항균,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 박윤자;전광혜;김선희;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7-572
    • /
    • 2004
  • 노화억제, 항균, cholesterol 저하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에도 옛부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를 metanol (BO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분획물(BOMH), ethyl ether 분획물(BOMEE), ethyl acetate 분획물(BOMEA), butanol 분획물(BOMB) 및 물 분획물(BO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적채의 항균, 암세포 증식 억제 및 QR유도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적채의 각 분획물을 Streptococcus mutan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Aspergil-lus oryzae의 5가지 균주에 첨가시료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다. 즉, 각 분획 별 시료를 500, 1000, 1500 및 2000 $\mu{g}$/ml의 농도로 사용균주에 각각 처리하였을때 BOMEA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BOMEE이었다. 적채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 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암세포주 HepG2, HeLa 및 MCF-7은 모두 BOMEE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암예방 QR 유도 활성은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BOMH과 BOMEE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초로 독특한 보라색을 띄며 식탁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자주색 대표식품인 적채의 항균 및 암세포 성장저지 및 QR 유도 효과를 일으키는 생리활성 물질의 존재와 기전 규명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야교등(夜交藤)이 흰쥐 뇌와 간에서의 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f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olygonati Multiflori Caulis on Oxidized Brain and Liver Cells in Rats)

  • 이한구;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olygonati Multiflori Caulis(henceforth PMC) on oxidized brain and liver cells in rats. Methods : After extraction of PMC with water, the water extract was divided into five fractions : 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and an aqueous fraction. The phenol contents of each fraction were measured. The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 were then investigated. Results : After processing PCM water and PCM fractionations on oxidized brain cells in rats, the SOD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y and glutathione content were increased, and the NO (nitric oxide) content was decreased. It had much higher SOD activity than liver cells in rats excluded in the n-BuOH and aqueous fractions. In case of oxidized liver cells in rats, the SOD activity and glutathione content increased, while both the NO content and the MDA (malondialdehyde) content decreased. It had much higher glutathione content than brain cells in rats in the every fractions. It had much lower MDA content than brain cells in rats in the Aqueous fractions and brain cells in rats had much lower MDA content than liver cells in rats in the total extract, n-hexane, EtOEt, EtOAc and n-BuOH fractions. Conclusions : PMC has anti-oxidative effect on oxidized liver cells and brain cells in rats, thr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fraction. Additionally, Anti-oxidative effect of brain cells can be relaxed the mental nerve and it is related PMC effect.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Sedum hybridum

  • Gendaram, Odontuya;Choi, Yoen-Hee;Kim, Young-Sup;Ryu, Shi-Y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79-284
    • /
    • 2011
  •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whole extract of Sedum hybridum L., a Mongolian medicinal plant, has been undertaken to isolate active principles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Eighteen known compounds, i.e. (1) quercetin, (2) kaempferol, (3) herbacetin-8-O-${\beta}$-D-xylopyranoside, (4) myricetin, (5) gossypetin-8-O-${\beta}$-D-xylopyranoside, (6) gallic acid, (7) 2,4,6-tri-O-galloyl-D-glucopyranose, (8) 6-O-galloylarbutin, (9) myri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10) quer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11) caffeic acid, (12) ethylgallate, (13) (-) epigallocatechin-3-O-gallate, (14) palmitic acid, (15) stearic acid, (16) stearic acid ethyl ether, (17) ${\beta}$-sitosterol and (18) ${\beta}$-sitosteryl-O-${\beta}$-D-glucopyranose have been isolated and their molecular structures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is. Thirteen substances including seven flavonol components (1, 2, 3, 4, 5, 9 and 10), five gallic acid derivatives (6, 7, 8, 12 and 13) and caffeic acid (11) exhibited significant,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Galloyl esters 12 and 13 were revealed to be main active principles for the antibacterial property of the extract of Sedum hybridum L.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 Wijesinghe, W.A.J.P.;Ko, Seok-Chun;Jeon, Yo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93-100
    • /
    • 2011
  • Inhibi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is the most common mechanism underlying the lowering of blood pressure. In the present study, five organic extracts of a marine brown seaweed Ecklonia cava were prepared by using eth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hexane, and diethyl ether as solvents, which were then tested for their potential ACE inhibitory activities. Ethanol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AC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0.96 mg/ml. Five kinds of phlorotannins, phloroglucinol, triphlorethol-A, eckol, dieckol, and eckstolonol, were isolated from ethanol extract of E. cava, which exhibited potential ACE inhibition. Dieckol was the most potent ACE inhibitor and was found to be a non-competitive inhibitor against ACE according to Lineweaver-Burk plots. Dieckol had an inducibl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O in EAhy926 cells without having cytotoxic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 cava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phlorotalnnins with ACE inhibitory activity for utilization in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마늘 및 양파 제제(製劑)와 메리트청(靑) 처리(處理)가 가온촉성재배시(加溫促成栽培時) '대봉(大峰)' 포도(葡萄)의 발아(發芽)와 성숙(成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Garlic- and Onion-based Formulae and Merit Blue on Budbreak and Maturity of 'Daebong' Grapes (Vitis labruscana B.) in Forcing Culture)

  • 김선규;김승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23-126
    • /
    • 1999
  • 마늘즙,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 마늘즙 에틸에테르 추출물, 양파즙,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 마늘즙+메리트청(靑) 혼용,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 양파즙+메리트청(靑) 혼용,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 및 메리트청(靑) 처리가 하우스 재배 대봉 포도의 휴면타파, 개화 및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메리트청(靑) 단용 및 다른 처리와의 혼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발아기가 빨랐는데, 2회 처리가 1회 처리보다 발아촉진 효과가 더 컸다. 조기가온에서는 거의 모든 처리구에서 100% 발아하였으나 후기가온에서는 메리트청(靑)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발아율이 현저히 낮았다. 개화기는 조기가온 1회 처리에서는 메리트청(靑)가 혼용구에서 가장 빨랐으며, 2회 처리에서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靑) 단용 및 양파즙과의 혼용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는 메리트청(靑) 처리구인 대조구와 같거나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후기가온의 경우 1회 처리는 모든 처리가 대조구보다 개화기를 앞당겼으며, 특히 메리트청(靑) 혼용구에서 개화기가 크게 빨라졌다. 2회 처리에서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靑) 혼용구와 양파즙처리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는 메리트청(靑) 처리구인 대조구와 거의 같거나 오히려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조기가온실험에서 수확기는 1, 2회 처리 모두 처리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수확기간도 비슷했다. 후기가온에서는 1, 2회 모두 메리트청(靑) 단용, 혼용 처리구에서 수확기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회 처리에서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구가 대조구보다 수확기를 12일 앞당겼으며, 수확기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 고무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098-1105
    • /
    • 2004
  • 삼백초 잎과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그의 분획물을 일반세균, 젖산균 및 효모 총 10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와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 용매분획 후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백초 에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이었으며,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물추출물보다 항균활성은 모든 균주에서 대부분 더 높게 나타났다. 삼백초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최소저해농도는 5∼10 mg/mL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균과 효모는 20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에탄올추출물이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B. subtilis와 E. coli이 경우 5mg/mL 이상의 농도에서 균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젖산균과 효모는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균활성이 증가하였으나,1.5 mg/mL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균증식이 8시간까지 억제되다가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하게 균증식이 증가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이 대수 증식기에 미치는 영향은 5. aureus, E. coil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균증식이 억제되었으며 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농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항균활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은 40∼ 12$0^{\circ}C$ 및 pH 3∼11까지 모든 균주의 생육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나 열과 pH에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에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결과 에테르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고,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항균활성은 젖산균과 효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a and Curcuma zedoaria)

  • 김현진;이중원;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9-2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근경을 실험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 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15.4~16.3 mm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ether, hexane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품종별로는 울금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E coli와 젖산균 2종, 효모 2종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울금 ethanol 추출물은 열 및 pH변화에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추출물별 울금의 전자공여능은 ethanol 추출물에서 74.2%로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ether, water, hexane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울금의 전자공여능을 ethanol 추출물에서 비교했을 때 울금 74.2%, 강황 43.98%, 보라울금 43.05%로 나타나 울금에서 강한 항산화성을 보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vitamin C와 BHA는 각각 95%와 96.1%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울금 품종별 항산화성은 울금이 강황과 보라울금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생리활성 검정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Effec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 조인경;서경순;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53-958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이 10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위별 항균활성은 줄기 추출물이 열매 추출물 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손바닥선인장의 butanol 추출물의 최소저해 농도는 세균은 100 mg/mL 이었고, 효모와 젖산균은 500 mg/mL이었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열 안정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시에도 항균활성이 거의 감소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로 확인 되었다.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활성 물질의 pH 안정성은 산성인 pH 3과 알칼리인 pH 9 에서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아 산과 알칼리에서도 안정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열매와 줄기 모두 water, methanol, butanol, ethyl-acetate 및 diethylether 순으로 나타냈고, 시료 부위별로는 줄기가 열매에 비해 항산화성 활성이 높게 나타냈다. 손바닥선인장의 폴리페놀함량은 열매가 520.57 mg%로 줄기 203.26 mg% 보다 2배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hemical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el of Yellowball, a novel citrus variety

  • Sun Lee;Seong-Ho Jo;Ji-Hyun An;Seong-man Jeong;Dong-Shin Kim;Sang Suk Kim;Suk Man Park;Su Hyun Yun;Seung-Gab Han;Hyun-Jin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6
    • /
    • 2023
  • Yellowball (Citrus hybrid cv. Yellowball ) is a new citrus hybrid between Haruka (C. tamurana × natsudaidai ) and Kiyomi (C. unshiu × sinensis) and is known to posses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its peel has not yet been reported.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eel and identified the antioxidant components by fractionating a methanolic extract of Yellowball peels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n-hexane, ethyl ether (ether), ethyl acetate (EA), butanol, and water. The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n-hexane, ether, and EA frac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fractions, and these fractions were further separated by semi-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our antioxidant peaks, EA1, EA2, EA3, and He1, were isolated and analyzed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 MS). Sinapoyl glucoside and hesperidin were identified in EA2 and EA3, respectively, and a polymethoxylated flavone (PMF) complex (5-hydroxy-3,6,7,8,3',4'-hexamethoxyflavone, natsudaidain, tetrameth- oxyflavone, and tangeretin) was identified in He1. A compound in EA1 with m/z 223.0246 [M-H] could not be identified and was named unknown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unknown2 (IC50=69.17 ㎍/mL) was similar to that of Trolox, which was noted as a major antioxidant in Yellowball peel. Further studies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ellowball peel are required; however, these results provide a foundation for using Yellowball peel as an antioxidant.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최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8-157
    • /
    • 2005
  • 국내산 야생9차를 발효정도에 따라 몇 단계의 발효차를 제조하여 일반세균, 젖산균 및 효모 총 8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 야생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 해농도는 그람양성균에서는 B. subtilis가 0.2 mg/mL로 가장 낮았고, 그람음성균에서는 P fuorescens가 0.3∼0.5 mg/ mL로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과 효모는 1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불발효차인 녹차에 비하여 항균활성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았다. 차 항균활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 은 50∼121$^{\circ}C$ 및 pH 3∼11까지 각 균주의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나 녹차, 반발효차, 발효차 모두 열과 pH에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 에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결과 물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에틸아세 테이트 분회물, 에테르 분획물의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적었으며, 발효도가 높은 국내산 강발효차와 중국산 홍차의 경우 에테르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