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hetic center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5초

Biometry of width between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in anterior teeth: an observational study

  • Wen, Chao;Ye, Hongqiang;Chen, Hu;Zhou, Yongsheng;Huang, Mingming;Sun, Yuc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22
  • PURPOSE.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mesial and distal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described as "esthetic width" herein,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teeth and smil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biometric research on esthetic width and to explore whether regular distribution exists in the esthetic width of human teet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264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using the Geomagic studio software program. The proportions of maxillary to mandibular homonymous teeth and proportions between the adjacent teeth were calculated. Bilateral symme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were both accounted for during the measurement procedures. RESULTS. The mean esthetic widths were 6.773 ± 0.518 mm and 4.329 ± 0.33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respectively, 5.451 ± 0.487 mm and 5.008 ± 0.35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s, respectively, and 3.340 ± 0.353 mm and 5.958 ± 0.415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s, respectively. Except for the mandibular canin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hetic width was found among homonymous teeth from the same jaw. A high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of the same tooth, except for the maxillary canines. Esthetic width proportions among different tooth categories showed some regular patterns,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esiodistal width. CONCLUSION. Esthetic width is regularly distributed among the teeth in the Chinese population. This could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for anterior dental restorations and dimension recovery in esthetic reconstruction of anterior teeth.

심미보철 제작에 필요한 White & Pink Esthetic (White & Pink Esthetic for Clinical Restoration)

  • 유하성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15
    • /
    • 2019
  • 심미보철치료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crown part심미(White Esthetic)와 Tissue part 심미(Pink Esthetic)을 반드시 잘 컨트롤해야 한다. 임상적으로 White esthetic은 치과기공사의 영역이고 Pink esthetic은 치과의사의 영역이지만 상대방 영역에 대한 깊은 이해을 통해 더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서술해 보고자 한다.

Esthetic mounting (OP1)을 사용하여 교합면 재구성을 시행한 증례 (Reconfiguration of occlusal plane by Esthetic mounting(OP1) : a case report)

  • 조상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
    • /
    • 2014
  • 붕괴된 교합평면을 보철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있어 face-bow와 교합기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구로 사용되어왔다. 일반적으로 Ear rod를 사용하는 face bow는 상악 정중선의 오차와 교합평면의 canting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환자의 안면 정중선을 기준으로 하는 face bow가 개발되어왔다. Ear-bow를 이용한 mounting에서 종종 발생하는 오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환자 안면의 중심과 교합기의 중심을 일치시키려는 개념의 mounting technique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를 esthetic mounting이라 한다. 이들 중 하나인OP finder 1(OP1)을 사용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전치부 영역 임플란트의 식립 시기에 따른 심미적 평가 (Comparative esthetic evaluation of anterior zone with immediate, early, and delay implantation)

  • 김정화;서성용;김나홍;유정현;이동운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3
    • /
    • 2017
  • 임플란트 식립시기가 심미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치부 영역에 식립된 34개의 임플란트 (27명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즉시, 조기 및 지연식립으로 시기별로 그룹을 나누고 모든 환자를 보철완료 1년후에 연조직 평가를 시행했다. 통계적으로 그룹별 유의한 의미는 없었다. 식립 시기에 상관없이 만족할 만한 최종결과를 위해 다양한 골이식술과 연조직 이식술이 이루어졌다. 즉, 식립시기로 그 결과를 결정지을 수 없다는 점은 다각적인 면에서 고려사항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Cosmetic Grinding의 재조명 (Cosmetic Grinding Revisited)

  • 이동환;정운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4-142
    • /
    • 2015
  • 전치부 심미에 대한 관심과 접근은 환자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재료와 술식을 통해 발전해 왔다. Esthetic dentistry의 선구자라 불리우는 Charles Pincus의 1967년 글에서 잘 묘사되어 있듯이 심미치료의 시작와 끝은 환자에 의해 결정되어진다는 전제 조건은 진단과 치료계획단계에서 늘 우선 되어지는 부분이기도 한다. 술자의 입장인 치과의사들은 이러한 환자의 필요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메뉴를 환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Pincus의 글에서 Cosmetic Grinding라고 표현되어졌던 가장 보존적인 접근은 minimal invasion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면 매우 효과적인 심미 향상의 한 술식이라 할 수 있다. 몇몇 개의 임상 증례를 통해 cosmetic grinding의 심미 개선의 치료 술식으로서의 가치와 한계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심미보철을 위한 치주치료 (Periodontal Plastic Surgery for Esthetic Restoration)

  • 김정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9호
    • /
    • pp.670-679
    • /
    • 2010
  • Esthetic demands for dental treatment are increasing every day. The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 of the restorative treatment, periodontal therapy and other treatments such as endodontics, orthodontics and so on is more emphasized nowadays to reconstruct the hard and soft tissue foundation for the esthetic restorative treatment. This article will focus on the periodontal plastic surgery for esthetic restorative treatment. These followings will be discussed. 1.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eth and gingival scaffold for esthetics 2. Discuss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gummy smile 3. Recognize the gingival margin irregularities by gingival recession and how to achieve the harmonic soft tissue margins 4. describe the hard and soft tissue augmentation for ridge augmentation.

Black triangle이 존재하지 않는 보존적이고 심미적인 상악 정중이개의 치료 (Conservative and esthetic closure of maxillary midline diastema without creating "black triangle" using direct resin composite)

  • 정경화;권은영;최윤경;김소연;전혜미;박정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63-168
    • /
    • 2017
  • 전치부에 발생한 치간이개는 심미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흔한 원인이 된다. "Black triangle"을 생성시키지 않고 치간이 개를 폐쇄시키는 것은 심미치과학에서 도전적 과제 중 하나이다. 전치부 수복치료의 성공 여부는 연조직과 경조직간의 심미적인 연합에 달려있다. 이번 증례에서는 치은-치아 계면에서 자연스러운 외형을 가지는 출현윤곽(emergence profile)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치은의 재생 과정이 일어나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간이개 폐쇄를 이루어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