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ectu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진범 전초의 새로운 aromatic amides 성분 (New Aromatic Amides from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김대근;곽종환;권학철;송기원;지옥표;이강노
    • 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8-421
    • /
    • 1996
  • From the ethanol extract of the whole plant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 three new aromatic amides, methyl-N-acetyl anthranilate, methyl-N-(3-ethox ycarbonylpropionyl)anthranilate, methyl-N-(3-methoxycarbonylpropionyl) anthranilat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 PDF

Isolation of a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 from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Kim, Dae-Keun;Kwon, Hyog-Young;Lee, Kang-Ro;Rhee, Dong-Kwon;Zee, Ok-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344-347
    • /
    • 1998
  • To overcome multidrug resistance (MDR) in cancer chemotherapy, we prepared various plant extracts and searched for a component which is effective for inhibition of MDR. MDR inhibition activ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cytotoxicity to MDR cells using multidrug resistant human fibrocarcinoma KB V20C, which is resistant to 20 nM vincristine and expresses high level of mdr1 gene. Of various plant extracts, the MeOH extract of the root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was found to have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MDR. The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plant led to the isolation of an alkaloid, lycaconitine, as an active principle. And the $IC_{50}$ of lycaconitne for KB V20C cells was $74\mu{g}$/ml.

  • PDF

Micropropagation of Hypericum erectum Thunberg by using Thidiazuron

  • Kim, Ok-Tae;Bang, Kyong-Hwan;In, Dong-Soo;Kim, Tae-Soo;Seong, Nak-Sul;Cha, Seon-Woo;Ahn, Jun-Cheul;Hwang, Bai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278-281
    • /
    • 2006
  •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was investigated on in vitro shoot proliferation from axillary bud explants of Hypericum erectum. To determine the optimal cytokinin for proliferation of axillay buds, we carried out screening four cytokinins (BA, kinetin, 2iP, TDZ). When nodal segmen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4.5\;{\mu}M$ TDZ (thidiazuron), a number of shoots were induc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TDZ to culture medium resulted in the induction of significantly more axillary buds than in the addition of other cytokinin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DZ for proliferation of axillary buds was $10\;{\mu}M$. 92% of shoots spontaneously rooted without any plant growth regulator (PGR) and formed whole plantlets within one month. More than 95% of these regenerants survived and they did not show any detectable variation in morphology or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ir donor plants.

RAPD 방법을 이용한 고추나물의 유연관계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s in Hypericum erectum Thunb. by RAPD)

  • 김선희;김응식;김성호;안준철;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145
    • /
    • 2005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 분석을 통해 한국산 물레나물 속 (Hypericum) 식물에서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풍산 고추나물과 지리산 고추나물 사이에 상당한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리산의 500m, 1000m 그리고 1300m 고도 차이에 따른 군락지별로도 밴드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동일 과(科)에 속한 물레나물보다는 서양고추나물이라고 불리는 St. John's wort가 고추나물과 유연관계가 더 가깝게 나타났다.

ISSR을 이용한 고추나물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과 계통학적 연구

  • 허홍욱;허만규;강동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05-810
    • /
    • 2007
  •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s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ight Hypericum electum populations in Korea. The six primers were produced 37 reproducible ISSR bands. Analysis of ISSR from individual plants of Korean H. erectum resulted in 22 polymorphic bands with 59.5%. Across populations,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was 1.348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was 0.203.Population Mt. Gyeryong had the highest expected genetic diversity (0.175) among all populations. When species were grouped by eight populations, within group diversity was 0.140 (Hs), while among group diversity was 0.472 (G$_{ST}$) on a per locus basis. The estimated gene flow (Nm) for H. erectum was very low (0.561). It is suggested that reproductive isolation by the isolation of geographical distance among H. electum populations and genetic drift may have played roles in shaping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is species. In phonetic tree, all populations were well separated from each other. Thus, ISSR markers are very effective in classifying natural population levels of genus Hypericum in Korea.

오대산(烏臺山) 아고산대(亞高山帶)의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Subalpine Zone in Mt. Odae)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59-465
    • /
    • 1998
  • 이 연구(硏究)는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보존(保存)과 임한재배(林閒裁培)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오대산(烏臺山)의 동대산, 두로봉, 상왕봉, 비로봉을 잇는 아고산대(亞高山帶)를 중심으로 자생(自生)하는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를 조사(調査)하고 상호관련성(相互關聯性) 분석(分析)하였다. 단풍취, 큰개별꽃 및 참나물은 관엽수혼효림(關葉樹混淆林)에 주로 분포(分布)하며,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및 나비나물은 갭에 주로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斜面) 방위별(方位別) 분석(分析)에서는 곰취, 진범, 박쥐나물 및 넓은잎외잎쑥은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남향 사면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곰취, 진범 및 박쥐나물은 북향이나 서향에서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별(條件別) 분석(分析)에서는 진범과 넓은잎외잎쑥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건조한 입지(立地)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진범은 토양수분 조건이 좋은 곳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수관울폐도(樹冠鬱閉度)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는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나비나물 등이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진범, 참나물, 벌깨덩굴, 풀솜대 및 큰개별꽃 등은 다소 습한 숲그늘을 선호(選好)하고, 송이풀, 요강나물 및 넓은잎외잎쑥 등은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개활지(開豁地)를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진범(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추출물의 항노화 및 항당뇨 효과 (Anti-aging and Anti-diabetes Effects of 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Extracts)

  • 김정환;이수연;권오준;박주훈;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1
    • /
    • 2013
  • 진범은 열독을 제거하고 발한을 유도하여 몸의 수분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져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활성과 장기의 면연체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진범 추출물의 항노화와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진범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이 가지는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PF 및 TBARs와 같은 항산화 활성과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진범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mu}g/ml$, $50{\mu}g/ml$ 처리군부터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99.8{\pm}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베타카로텐리놀레이트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물 추출물에서 1.27 PF, 1.33 PF값을,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40 PF, 1.49 PF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0.16{\pm}0.03{\mu}M$로 가장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와 에탄올 추출물의 100~$1,000{\mu}g/ml$ 처리군에서 90% 이상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과 6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진범의 생리활성을 이용하여 항노화 화장품 원료와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otes on Sparganium coreanum (Typhaceae) rediscovered on the Korean Peninsula

  • HA, Young-Ho;GIL, Hee-Young;LEE, Jungsim;LEE, Kang-Hyup;LEE, Dong-Hyuk;SON, Dong Chan;CHANG, Kae S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3-208
    • /
    • 2019
  • Sparganium coreanum, a barely recognized species in Korea, was rediscovered during a field survey by the authors, who conducted a re-examination of specimens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H). This species was described initially by H. $L{\acute{e}}veill{\acute{e}}$ from a specimen collected by F. Taquet from Jeju-do (Taquet 2150). Subsequently, however, it was overlooked and unrecognized among South Korean flora. Several populations of S. coreanum were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on Jeju-do, although i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S. erectum owing to certain vege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ared between the two species, such as robust stems, a similar plant height, and globose rhizomes. However, it is distinct from S. erectum by the number of female heads on the lowest inflorescence branch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fruit. In this study, we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with a revised taxonomic key for identification of Sparganium species in Korea.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의 생리활성과 진범 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Activity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 and Its Effect on Perfume on an Electroencephalogram (EEG))

  • 이진영;최연희;이새미;이수연;전혜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14-1223
    • /
    • 2012
  • 본 연구는 진범의 in-vitro 생리활성과 진범 향이 신경생리학적으로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범 향 및 재조합 향 흡입 시 흡입 전에 비해 뇌파지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와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범과 진범 재조합 향 흡입 시 출현한 파형의 유발 부위가 각각 조금씩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동일하게 alpha와 theta파가 나타났으며, 증가율 역시 향 흡입 시 감소하는 동일 양상을 나타내어 뇌에 각성효과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진범의 생리활성 검증 결과 수렴효과를 제외한 DPPH, collagenase, nitric oxide 저해활성 검증에서 진범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특히 collagenase저해활성에서 진범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서 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nitric oxide 저해활성에서 진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 ppm에서 50% 이상의 NO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범은 화장품 및 향료 개발의 천연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