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Subalpine Zone in Mt. Odae

오대산(烏臺山) 아고산대(亞高山帶)의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에 관한 연구(硏究)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링자원학과)
  • Received : 1998.05.28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native herb species under the forest, the relations between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were surveyed on natural forest at subalpine zone in Mt. Odae. Ainsliaea acerifolia, Pseudostellaria palibiniana and Pimpinedla brachycarpa were distributed mainly on broadleaved mixed forest, Clematis fusca var. coreana, Carex siderosticta. Isodon excisus and Vicia unijuga did mainly on gab sites. The distribution of Ligularia fisheri,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Cacalia hastata and Artemisia stolonifera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slope directions. Artemisia stolonifera was distributed more frequently in south directed slope, and Ligularia fisheri,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and Cacalia hastata were distributed more frequently in north and west directed slope than the other. The distribution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and Artemisia stolonifera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soil moisture conditions. Artemisia stolonifera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dry site, but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did mainly on the dry sit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ensity of Clematis fusca var. coreana, Carex siderosticta. Isodon excises and Vicia unijuga and crown coverage was proved.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Pimpinella brachycarpa, Meehania urticifolia, Smilacina japonica and Pseudostellaria palibiniana were mainly distributed on wet and shady sites under forest canopy, but Pedicularis resupinata, Clematis fusca var. coreana and Artemisia stolonifera did on sunny sites at forest edge or gab.

이 연구(硏究)는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보존(保存)과 임한재배(林閒裁培)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오대산(烏臺山)의 동대산, 두로봉, 상왕봉, 비로봉을 잇는 아고산대(亞高山帶)를 중심으로 자생(自生)하는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를 조사(調査)하고 상호관련성(相互關聯性) 분석(分析)하였다. 단풍취, 큰개별꽃 및 참나물은 관엽수혼효림(關葉樹混淆林)에 주로 분포(分布)하며,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및 나비나물은 갭에 주로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斜面) 방위별(方位別) 분석(分析)에서는 곰취, 진범, 박쥐나물 및 넓은잎외잎쑥은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남향 사면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곰취, 진범 및 박쥐나물은 북향이나 서향에서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별(條件別) 분석(分析)에서는 진범과 넓은잎외잎쑥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건조한 입지(立地)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진범은 토양수분 조건이 좋은 곳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수관울폐도(樹冠鬱閉度)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는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나비나물 등이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진범, 참나물, 벌깨덩굴, 풀솜대 및 큰개별꽃 등은 다소 습한 숲그늘을 선호(選好)하고, 송이풀, 요강나물 및 넓은잎외잎쑥 등은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개활지(開豁地)를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