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pment interface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5초

휴대용 유도탄 체계의 모델링과 성능분석을 위한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 (Real-time Parallel Processing Simulator for Modeling Portable Missile System and Performance Analysis)

  • 김병문;정순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4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회전 유도탄 체계의 모델링과 성능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는 항공기의 적외선 형상을 만드는 탐색기 에뮬레이터, 실시간 컴퓨터, 시스템 유닛. 유도 조종 장치 및 탐색기 프로세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 실물장치와 실시간 컴퓨터에 내장된 수학적 모델, 6 자유도 모델 및 공력 모델 등을 구현한 응용 소프트웨어 및 호스트 컴퓨터에 내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었다. 실시간 컴퓨터는 병렬로 연결된 여섯 개의 TI사 C-40 프로세서로 설계되었으며, 기계적 장치와 결합된 아날로그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탐색기 에뮬레이터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유닛은 구성 요소간의 임피던스 정합 기능과 미세 신호를 처리하며, 시뮬레이터와 실물 유도탄 발사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다. 개발된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를 휴대용 회전 유도탄의 성능분석 장치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장실험을 통한 결과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 PDF

국내 개발 인공위성을 위한 저비용 원격명령 처리 시스템 구현 및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Low Cost Telecommand Processing System for Domestic Development Satellites)

  • 박상섭;이성진;전용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81-488
    • /
    • 2021
  • 인공위성의 원격명령 처리시스템은 상태감시, 제어 및 미션 실행을 위한 원격명령을 제공하는 유일한 통로이다. 국내의 인공위성은 과학 및 기술 위성, 다목적 위성 및 정지궤도 위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CCSDS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지상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개발 위성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격명령어를 디코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비용이 높고 하드웨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명령 디코딩 ASIC을 이용한 원격 명령 처리시스템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telecommand RAM, protocol RAM/ROM, telecommand ASIC, interface FPGA 및 relay block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스템은 인공위성이 사용하는 일반 명령 및 펄스 명령을 처리한다. 시스템을 시험 및 검증하기 위해 점검 장비 및 시험환경을 구축하였다. 제안한 ASIC 기반의 telecommand 처리시스템은 소프트웨어 기반 디코딩 시스템에 비해 개발 비용을 1/5로 줄였을 뿐만 아니라 성능은 105배 향상되었다.

Experimental study on air-water countercurrent flow limitation in a vertical tube based on measurement of film thickness behavior

  • Wan, Jie;Sun, Wan;Deng, Jian;Pan, Liang-ming;Ding, Shu-hu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6호
    • /
    • pp.1821-1833
    • /
    • 2021
  • The gas-liquid counter-current flow limitation (CCFL) is closely related to efficient and safety operation of many equipment in industrial cycle. Air-water countercurrent flow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 tube with diameter of 25 mm to understand the triggering mechanism of CCFL. A parallel electrode probe was utilized to measure film thickness whereby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characteristics of liquid film was obtained. The amplitude of the interface wave is small at low liquid flow rate while it becomes large at high liquid flow rate after being disturbed by the airflow. The spectral characteristic curve shows a peak-shaped distribution. The crest exists between 0 and 10 Hz and the amplitude decreases with the frequency increase. The analysis of visual observation and characteristic of film thickness indicate that two flooding mechanisms were identified at low and high liquid flow rate, respectively. At low liquid flow rate, the interfacial waves upward propagation is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CCFL onset. While flooding at high liquid flow rate takes place as a direct consequence of the liquid bridging in tube due to the turbulent flow pattern.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low and high liquid flow rate.

항공전자 시스템에서 ARINC653 기반의 FACE를 준수하는 IOS 및 TS 세그먼트 구조 설계 (A design of FACE-compliant IOS and TS segments architecture based on ARINC653 in avionics system)

  • 이두환;남영욱;조경연;윤지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29-435
    • /
    • 2023
  • 항공전자 시스템의 복잡성이 높아짐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식성 및 재사용성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RINC 653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VxWorks 653 운용 환경에서 FACE(The Future Airborne Capability Environment)표준에 적합한 IOSS(Input Output Service Segment) 및 TSS(Transport Service Segment)에 대한 구조 설계 방안을 설명한다. IOSS 및 TSS는 각각 다른 파티션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여 시/공간 분리 및 다른 소프트웨어의 영향성을 최소화 하였고, 이식성 및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패턴 중 전략 패턴을 적용하였다. 또한, IOSS는 Distributed IO Service 구조를 적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외부 인터페이스 중 FACE를 적용한 장비의 ARINC 664 P7 인터페이스는 TSS에 배치하여 데이터 이동 경로를 최적화 하였다.

AFDX Tap과 AFDX 프로토콜 분석기를 이용한 AFDX 네트워크 인증 기술 (Evaluation of AFDX Certification Support System by both AFDX Tap and AFDX Analyzer)

  • 박부식;손명환;이정도;윤종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22
  • 항공용 이더넷 기술 AFDX (Avionics Full-DupleX Ethernet)는 ARINC429와 MIL-STD-1553B를 대체할 최신 항공기들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차세대 항공전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하지만 AFDX로 구성된 항전 네트워크를 인증하기 위한 솔루션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AFDX 프로토콜 분석기와 한국항공대학교에서 개발한 AFDX Tap을 이용해 AFD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항전 장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인증 실용화 기술을 소개한다. AFDX 항전 장비의 기능을 인증할 수 있도록 정밀 패킷 수집, AFDX 규격 적합성 검증, 자동 테스트 수행 기능 등을 제공하여 AFDX 항전장치의 인증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

GPS와 GIS를 통합한 산불진화 헬기 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ng the Forest Fire Extinguishment Helicopter Management System by Integrating GPS and GIS)

  • 조명희;김준범;조윤원;신동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8-58
    • /
    • 2003
  •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공간정보 기술인 GIS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하는 범세계 위치결정시스템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함으로써 지표의 지형지물 및 정확한 현장 상황 파악뿐 만아니라 실시간 물체 이동상황과 이들의 위치정보 파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최신의 GIS와 GPS 기술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형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중심의 산불진화 헬리콥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특히 GIS를 이용하여 산불진화 환경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123여 정도의 주제도를 공간 DB로 구축하고 여러가지 속성자료와 관련 데이터를 DB화하였다. 아울러 GPS와 기존의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산불진화업무 관리자에게 진화헬기나 차량 및 인력의 이동상황이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산불진화장비를 배치하고 관리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산불진화 환경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산불진화 장비를 과학적이고 효과적으로 전진배치 및 관리함으로써 향후 대형산불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해상황을 최소화하고 진화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선로변 시설물 차상 제어를 위한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 예비 현장시험 (Preliminary Field Trial of Improved Train Control System Using on-board Control)

  • 박철홍;최현영;백종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3호
    • /
    • pp.298-306
    • /
    • 2014
  •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철도신호시스템은 궤도회로, 연동장치 등의 지상 설비를 이용하여 열차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열차의 속도와 거리를 제어한다. 또한 이러한 철도신호시스템은 열차의 진로에 따라 선로전환기 등의 선로변 설비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지상 중심의 열차제어시스템은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근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이 제안되었고, 관련 기술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은 차상에서 직접 열차 진로상의 선로변 설비들을 제어하는 기술이며,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으로 선로변 시설물들이 간소화되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차상제어장치와 선로전환기, 건널목차단기 등의 선로변 제어장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고,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열차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통합 운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의 현장 적합성 시험에 앞서 설치시험, 무선망 통신시험, 차상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 시험 및 정상 기능 시험을 포함한 예비현장시험 결과를 기술한다. 시험 결과는 시험 시나리오의 모든 항목을 만족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딥러닝으로 추정한 차량대기길이 기반의 감응신호 연구 (Study of the Operation of Actuated signal control Based on Vehicle Queue Length estimated by Deep Learning)

  • 이용주;심민경;김용만;이상수;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4-62
    • /
    • 2018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신호 구현의 일환으로서, 딥러닝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차량대기길이 기반의 감응식 신호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해 딥러닝 모형을 구현한 텐서플로우에 미시적 교통시뮬레이터인 Vissim을 제어하는 API, 즉 COM Interface를 구축하였다. Vissim에서 신호주기별로 수집된 링크통행시간과 통과교통량이 텐서플로우에 전달되면 학습이 완료된 딥러닝 모형을 통해 접근로별 차량대기길이가 추정된다. 접근로별 차량대기길이를 기반으로 신호시간을 산정한 후 Vissim 내부의 신호등화를 조정하여 시뮬레이션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현 TOD 방식에 비해 차량 지체가 약 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네트워크 내 하나의 교차로만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가 제한된 것이며, 축 또는 네트워크 제어로의 공간적 확대방안을 향후연구로 제시하였다.

산부식후 상아질 표면의 습윤 또는 건조가 상아질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IN SURFACE WETNESS OR DESICCATION AFTER ACID ETCHING ON DENTIN BONDING)

  • 양원경;권혁춘;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43-2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dentin bonding by two different dentin bonding systems(DBS) using acetone based primer or adhesive [All Bond 2(AB2), One Step(OS)] when they were applied by wet or dry bonding technique. Morphology of resin-dentin interface and hybrid layer thickness(HLT) were investigated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CLSM) and compared to shear bond strength(SBS). 72 extracted sound human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of 18 teeth each - Group 1.(AW); AB2 by wet bonding. Group 2(AD); AB2 by dry bonding. Group 3.(OW); OS by wet bonding, Group 4.(OD); OS by dry bonding. In 6 teeth of each group, notch-shaped class V cavities(depth 2mm)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 at the cementoenamel juction(12 cavities per group). To obtain color contrast in CLSM observation, bonding resins of each DBS were mixed with rhodamine B and primer of AB2 was mixed with sodium fluorescein. Prepared teeth of each group were treated with AB2, O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except for dentin surface moisture treatment after acid etching. In group 1 and 3, after acid etching, excess water was removed with wet tissue(Kimwipes), leaving consistently shiny, visibly hydrated dentin surface. In group 2 and 4, dentin surface was dried for 10 seconds at 1 inch distance. The treated teeth were then packed with composite resin(${\AE}$litefil) and light-cured. 12 microscopic samples($60{\sim}80{\mu}m$ thickness) of each group were obtained after longitudinal section and grinding(Exakt cutting and grinding system).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resin-dentin interface and HLT measurement using CLSM were done. For measurement of SBS, remaining 12 teeth of each group were flattened occlusally to remove all enamel and grinded to 500 grit SiC(Pedemet Specimen Preparation Equipment). After applying DBS on the exposed dentin surface, composite resin was applied in the shape of cylinder, which has 5mm diameter, 1.5mm thickness, and light cured. SBS was measured using Instron with a crosshead speed of 0.5mm/min. It was concluded as follows, 1. HLT of AW(mean: $2.59{\mu}m$) was thicker than any other group, and followed by AD, OW, OD in descending order(mean; 2.37, 2.28, $1.92{\mu}m$). Only O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o AW and AD. 2. There were intimate contact of resin and dentin at the interface in wet bonding groups, but gaps or irregular interfaces were observed in dry bonding groups. 3. The length, diameter, density of resin tags were various even in the same gro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lots of adhesive lateral branches were observed.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BS between AB2 and OS, but SBS of wet bonding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dry bonding groups. 5. There were no consistent relationships between HLT and SBS.

  • PDF

Protocol Monitor System Between Cortex M7 Based PLC And HMI

  • Kim, Ki-Su;Lee, Jong-Chan;Ha, Heon-S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7-2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설비 장비의 HMI와 PLC간 RS232 통신 시에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 프레임의 수집을 위하여, 별도의 HMI 혹은 PLC의 수정 없이 MCU를 통하여 실시간 정보 데이터 프레임을 스니핑 함으로서, 사용자가 PLC, HMI 시스템의 수정 작업에 종속되지 않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스니핑 데이터로부터 파싱작업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스니핑 프레임을 목적지로 송신함으로서 본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RS232 통신규격으로 MCU의 UART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물리적으로 설계하고, 더불어 MCU내부 DMA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인터럽트기반 시스템 보다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환형큐를 사용하여 DMA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작업과 메인 스레드의 작업을 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서 데이터 프레임 IO 작업 처리를 수행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RS232 규격으로 HMI, PLC간 스니핑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PLC와 HMI 간의 프레임 전송이 원래의 목적지에 정상적으로 도착하며 PLC와 HMI의 추가적인 수정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스니핑 함으로서 사용자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도착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