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pment interface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7초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용 전기설비 안전 관리 구조 연구 (Architecture of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for High-Voltage Power Installations Based on IoT Platform)

  • 강현주;안윤영;정상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1077-1084
    • /
    • 2017
  • 다양한 ICT 기술의 등장에 따라 전력설비와 ICT 기술의 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압전기설비에 대한 ICT 기술의 적용은 전력 효율 향상 및 실시간으로 정확한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전기의 안전도 향상 및 관리 측면에서는 아직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요 자가용 전기설비의 안전관리 방법에 대해 분석해 보고,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설비 안전관리 플랫폼을 실현하기 위한 참조 구조와 참조 인터페이스, 서비스, 데이터 프로파일을 제안한다. 제안된 자가용 전기설비의 전기안전 플랫폼은 OCF에서 개발 중인 범용 IoT 오픈소스 플랫폼인 IoTivity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습도 정보를 전달하는 시험을 통해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산업용 장비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 하기 위한 DSP에서의 Modbus통신 구현과 제어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DSP-based Modbus Communication Scheme and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ctuators in Industrial Equipment)

  • 김원준;곽동기;김동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11호
    • /
    • pp.1109-1117
    • /
    • 2017
  • PLC 시스템은 자체 모듈에 의한 부분적 확장성을 지원하고 있지만, 확장을 위한 비용이 크고, 센서 및 기타 제어기들과의 언어 호환성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에 대처하기 위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사의 DSP(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PLC를 대체 및 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 PLC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며, 범용으로 쓰이는 PLC 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약 50% 이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모듈 형태의 24V의 범용 디지털 I/O핀을 구성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입력과 출력의 부분적 확장을 용이하게 하였다. 일반적 산업 장비의 제어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드버스 통신을 RS-485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DSP에서 구현함으로써, 장비 간 다대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CURRENT RESEARCH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IN KOREA

  • Kim, Jong-Kyung;Kim, Kyung-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531-544
    • /
    • 2009
  •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key issues and current research outcomes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Accelerator-based neutron sources are efficient to provide epithermal neutron beams for BNCT; hence, much research, worldwide,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onents crucial for its realization: neutron-producing targets and cooling equipment, beam-shaping assemblies, and treatment planning systems. Proton beams of 2.5 MeV incident on lithium target results in high yield of neutrons at relatively low energies. Cooling equipment based on submerged jet impingement and micro-channels provide for viable heat removal options. Insofar as beam-shaping assemblies are concerned, moderators containing fluorine or magnesium have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neutron accumulation in the epithermal energy range during the slowing-down from the high energies. NCT_Plan and SERA systems, which are popular dose distribution analysis tools for BNCT, contain all the required features (i.e., image reconstruction, dose calculations, etc.). However, detailed studies of these systems remain to be done for accurate dose evaluation. Advanced research centered on accelerator-based BNCT is active in Korea as evidenced by the latest research at Hanyang University. There, a new target system and a beam-shaping assembly have been constructed. The performance of these components has been evaluated through comparisons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with simulations. In addition, a new patient-specific treatment planning system, BTPS, has been developed to calculate the deposited dose and radiation flux in human tissue. It is based on MCNPX, and it facilitates BNCT efficient planning based via a user-friendly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소규모 집선용 NT2기능에 적합한 D채널 프로토콜 응용 및 이의 범용 O.S에 의한 구현 (D-channel protocol application for NT2 function with small concentration and it's implementation using general O.S)

  • 김협종;김시원;김재근;조규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51-465
    • /
    • 1987
  • CCITT 에서는 ISDN 가입자와 망간 인터페이스에서의 신호방식으로서 D채널 프로토콜을 정의해 오고 있다. CCITT의 ISDN 기본모델에서 NT2(Network Termination 2) 기능은 ISDN 가입자의 집선 또는 스위칭 기능을 위해 정의되고 있으며, 따라서 D 채널 정보의 분석 및 처리가 요규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집선용 ISDN 가입자 장치에 적합한 NT2 기능을 실현시키는데 있어서 Bearer 서비스를 위한 D 채널 프로토콜의 응용 및 구현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제시된 응용 프로토콜은 CCITT의 ISDN표준 ET(Exchange Termination), TE(Terminal Equipment)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소규모 장치에 적합하도록 최소정보처리 및 알고리즘 단순화 특징을 가진다. 시스템의 O.S(Operating System)는 범용 멀티타스크 O.S를 이용, 소프트웨어를 타스크와 또는 모듈화 함으로서 기능의 용이한 추가와 변경이 가능토록 실현하였다. 본 고에서는 CCITT에서 정의된 프토토콜을 간략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집선용 NT2기능에 적합하도록 시도된 응용 프로토콜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이의 실현방법 및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3D 가상 피팅룸 시뮬레이터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3D Virtual Fitting Room Simulator using Augmented Reality)

  • 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49-454
    • /
    • 2013
  • 최근 홈 쇼핑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각 매장에서는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다. 특히 의류 관련 매장에서는 온 오프라인에서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의상들을 실시간으로 체험해볼 수 있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상 피팅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일부에서는 이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OpenCV, 증강현실용 API 및 Kinect 등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 그러나 장비가 고가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일반 가정에서도 특별한 장비 없이 쉽게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는 OpenCV 및 libsigc$^{++}$을 사용한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3D 가상 피팅룸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홈 쇼핑뿐만 아니라 온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VRCP 기반의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위한 음향반향제거기 설계 (Design Adaptive Acoustic Echo Canceller for AVRCP Bluetooth Hands Free)

  • 정용규;김경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38
    • /
    • 2009
  • 근래에 들어 많은 A/V 제품들이 AVRCP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모바일 환경에 맞게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AVRCP는 고품질의 A/V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AVRCP는 A2DP와 VDP 기술과 함께 모든 A/V장비들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콘트롤러와 타켓을 블루투스와 함께 적용해서 활용될 수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 블루투스 기술은 이동성은 물론 소형화와 복합화를 가능케 한다. 이런 블루투스를 적용할 경우 기존의 적외선방식의 리모콘에서 수행했던 것처럼, 콘트롤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A/V 장비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런 원격 콘트롤러는 이런 AVRCP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A/V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이런 AVRCP 표준을 적용한 핸즈프리같은 제품에 일반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음향반향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DSP를 설계하였다.

  • PDF

토공 작업환경의 3차원 모델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3D Modeling System for Earthwork Environment)

  • 유현석;채명진;김정렬;조문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77-982
    • /
    • 2007
  • 건설자동화 장비의 개발에 있어서 주변 사물을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지능형 굴삭 로봇 개발의 요소기술로서,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토공 작업환경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객체화된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적인 작업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3D 레이저 스캐너의 시장 동향을 분석하였고 토공 작업환경을 대상으로 3D 레이저 스캐너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토공 현장에서 적합한 3D 레이저 스캐너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3D 모델링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서을 제시하였고 전체 소프트웨어의 컨셉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상세 기능 설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통해 향후 photogrammetry 및 객체인식 기술의 적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토공현장을 대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토탈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타겟간의 상대거리를 측정하고 3D 모델링 시스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 PDF

콘크리트 표면절삭 장비의 품질관리를 위한 머신비전 알고리즘 개발 (A Study of the Machine Vision Algorithm for Quality Control of Concrete Surface Grinding Equipment)

  • 김정환;서종원;송순호;이원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83-986
    • /
    • 2007
  • 콘크리트 표면절삭 작업은 콘크리트 표면의 평탄성 및 부착성을 필요로 하는 공사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형태가 노동집약적이며, 유해한 작업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장비를 다루는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생산성 및 절삭품질의 편차가 큰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주변 환경오염 방지와 장비 조종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원격조종 콘크리트 표면절삭 장비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원격 조종 시스템에서 조종자가 절삭면의 품질을 측정하기 난해하고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기가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머신비젼시스템(Machine Vision System)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로 촬영한 절삭면의 이미지를 디지털 영상처리(Image Processing)과정을 거쳐 그 결과를 그래픽 MMI(Man-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에 표현함으로써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머신비전 알고리즘은 콘크리트 절삭면의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절삭면의 객관적인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HARDWARE-IN-THE-LOOP SIMULATOR FOR AUTOMOTIVE ENGINE CONTROL SYSTEMS

  • YOON M.;LEE W.;SUNWOO M.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07-117
    • /
    • 2005
  • A distributed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 platform is developed for designing an automotive engine control system. The HILS equipment consists of a widely used PC and commercial-off-the-shelf (COTS) I/O boards instead of a powerful computing system and custom-made I/O boards. The distributed structure of the HILS system supplements the lack of computing power. These features make the HILS equipment more cost-effective and flexible. The HILS uses an automatic code generation extension, REAL-TIME WORKSHOP$^{ (RTW$^{) of MATLAB$^{ tool-chain and RT-LAB$^{, which enables distributed simulation as well as the detection and generation of digital event between simulation time steps. The mean value engine model, which is used in control design phase, is imported into this HILS. The engine model is supplemented with some I/O subsystems and I/O boards to interface actual input and output signals in real-time. The I/O subsystems are designed to imitate real sensor signals with high fidelity as well as to convert the raw data of the I/O boards to the appropriate forms for proper interfaces. A lot of attention is paid to the generation of a precise crank/ earn signal which has the problem of quantization in a conventional fixed time step simulation. The detection of injection! command signal which occurs between simulation time steps are also successfully compensated. In order to prov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environment, a simple PI controller for an air-to-fuel ratio (AFR) control is used. The proposed HILS environment and I/O systems are shown to be an efficient tool to develop various control functions and to validate the software and hardware of the engine control system.

열차제어컴퓨터 시리얼통신변환장치(HADAX)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improvement of serial communication converter of train control computer)

  • 조봉관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427-436
    • /
    • 2018
  • HADAX는 열차제어컴퓨터의 시리얼 통신변환장치로서 선로변 신호설비와 역의 신호설비 및 열차제어컴퓨터 등 여러 신호설비와 연결되어 있으며 열차제어를 위한 제어정보 및 신호설비의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플리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대의 전자연동장치와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HADAX는 여러 신호 장치들과 시리얼 통신으로 인터페이스하고 있어 통신 접속 장애가 빈번히 발생하여 이중계 구성, 외부 스플리터 통합, 통신카드의 다채널화 등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이 개선된 HADAX 장치는 기존 장치와 외함의 치수와 커넥터의 호환성을 가져야 하며 이중계 절체, 스플리터 통합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된 신호설비와 연결하여 스플리터 통합 구성으로 진로제어시험, 이중계 절체시험, 다채널 통신시험을 통해 HADAX의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