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stemic perspectiv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간접증거성과 인식양상: 기능변이의 문제를 중심으로 (Indirect Evidentiality and Epistemic Modality: With Reference to Functional Variation)

  • 홍택규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649-67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ain categorial correlations between indirect evidentiality and epistemic modality on the basis of semantic, pragmatic usages of Russian so-called non-specialized lexical markers of evidentiality, such as kazhetsja, naverno, vidimo, poxozhe, dolzhno byt' etc. To do this, firstly I concentrated on the parameter of internal functional variation of a given parenthetic word. Secondly, I approached this topic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Thirdly, I accepted Sweeter(1990)'s methodological assumption that etymological prototype of a given word plays a great role in grammatical, semantic, pragmatic changes. As a result, I could postulate general tendencies of grammaticalizations (or semantic, pragmatic, funtional changes) in the direction from epistemic modality to indirect evidentialty, which consists of inferentives, presumptives, and quotatives. For example, such a parenthetic word as kazhetsja can functions not only as a marker of epistemic modality of uncertainty, but also as inferentives. Besides,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is word lately has started to function as quotatives, too. This kind of functional variations are very characteristic in these spheres.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에 관한 유교적 관점 -사회자본 형성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ies -Focusing on Implication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 이광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231-253
    • /
    • 2014
  • 본 연구는 유교적 관점에서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에 대한 인식 원리와 실천적 행위 덕목을 고찰하였다. 음양론(陰陽論)에 기초한 전일주의 세계관과 시위론(時位論)에 기초한 역할조화의 인간관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유교의 기본관점을 검토하고, 내적가치기준으로 중(中) 화(和), 외적규범기준으로 의(義) 예(禮)의 덕목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유교 공동체의 지향적 덕목으로 인(仁)과 덕(德), 인식적 덕목으로 충서(忠恕)와 혈구지도, 실천적 덕목으로 효(孝)와 예(禮) 등을 분석하여 이 덕목들이 지역공동체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로써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유교의 인식원리와 행위 실천덕목들은 현대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구성요소로서의 기능과 함께 지역복지정책에 있어서 유용한 실천적 함의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 PDF

'믿음'과 인식적 수용 ('Belief' and Epistemic acceptance)

  • 이주한
    • 논리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7-239
    • /
    • 2017
  • 일상적 표현의 하나인 '믿음'은 다의어로서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한다. 그러나 이 표현의 맥락 의존성은 믿음에 관한 철학적 논의들에서 주의 깊게 다루어지지 않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철학적 문제들이 발생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논문은 그러한 철학적 문제들의 해결 혹은 해소를 위한 사전 단계로서 표현 '믿음'이 맥락에 따라 어떻게 의미를 달리하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우선, '믿음'이 가리키는 서로 다른 두 심적 태도, 즉, 불수의적 심적성향으로서의 믿음과 심적 행위로서의 실용적 수용 각각에 관하여 검토하고, 이어서 '믿음'은 이들 두 심적 태도 외에 필자가 '인식적 수용'이라 칭하는 또 하나의 심적 행위를 그 의미의 하나로 가짐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인식적 수용은 인식적 이유와 비인식적 이유가 서로 경쟁하는 맥락에서 수행되는 이차적인 심적 행위임이 드러날 것이다. 인식적 수용이 어떠한 태도인지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그에 대하여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물음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답변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인식적 수용의 분석 가능성 여부, 판단 행위와의 관계 등에 관한 문제가 논의된다. 마지막으로, '믿음'이 가리키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심적 태도들을 구분하는 것이 관련된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간단한 전망을 제시한다.

  • PDF

학습과 근접성의 지리에 대한 재고찰: 관계적/조직적 관점 (Geographies of Learning and Proximity Reconsidered: A Relational/Organizational Perspective)

  • Jong-Ho Lee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39-560
    • /
    • 2001
  • 본 연구는 지역 발전과 기업의 성공에 있어 추동력으로써 주장되는 지식과 학습의 근원에 관찬 문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최근 들어, 경제지리학과 인접 사회과학계를 중심으로 지식과 학습의 근원으로써 지역과 지리적 근접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에 있어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고 그 과정이 조직되는지에 대해서, 그리고 그러한 지식과 학습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엄밀한 고찰이 부족하다. 이러한 경향성은 기업 조직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본질과 그 과정을 오도할 뿐만 아니라, 학습의 근원으로써 지역과 지리적 근접성의 역할을 과장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의 지리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근접성에 대한 개념적 확장 및 조직 학습 이론을 통해 학습의 근원에 대한 관계적/조직적 관점을 이론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실행 커뮤니티(communities of practice)’, ‘인식 커뮤니티(epistemic communities)’그리고 ‘테스크포스팀(task-force teams)’등과 같은 기업조직내 ‘커뮤니티’를 통해 학습이 어떻게 발현되고, 구축되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직형태들을 통해, 분산되어 있는 지식과 역량이 조직의 공간을 통해 결집되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지식들이 결합됨으로써 혁신이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PDF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와 최근 동향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the History of and Recent Trends on Emo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오필석;한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3-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고 최근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 내용을 연구 문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는 여러 가지 개념이 혼재된 상태에서 출발하여 과학적 태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구분되면서 좀 더 체계적인 면모를 갖추게 되었고, 이후 과학 학습에 관련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인지와 정서 사이에는 복잡한 관계가 있으며, 정서를 과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만 취급하는 이분법적인 시도에 제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최근 인식적 정서에 관한 연구는 과학적 실천에 정서가 동반되고 인지와 정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통합되어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적 실천을 통해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를 이해하고 부정적인 정서까지도 교육적으로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What L2 Learners' Processing Strategy Reveals about the Modal System in Japanese: A Cue-based Analytical Perspective

  • Tamaji, Mizuho;Horie, Kaoru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471-480
    • /
    • 2007
  • Japanese does not exhibit deontic-epistemic polysemy which is recognized among typologically different languages. Hence, in Japanese linguistics, it has been debated which of the two types of modality is more prototypical. This study brings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data of Japanese modality to bear on the question of which of the two types of modality is more prototypical, using the Competition Model (Bates and MacWhinney 1981). The Competition Model notion of 'cues' as processing strategy adopted by learners reveals the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ese two modality domains.

  • PDF

교사-학생 상호작용간의 과학논증 탐색: 인식론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ith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 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6-11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과학인식론의 일부 주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Some Topics of the Epistemology of Science)

  • 우종옥;소원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9-362
    • /
    • 1995
  • As science programs emphasize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eeded to assess students' views on a wide range of science-technology-society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some selected topics of the epistemology of science. The selected topics include the meaning of science, scientific assumptions, values in science, conceptual inventions in science, scientific method, consensus making in sci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produced in science. Identified preconception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Science was seen as improving the world(20%), and technology was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science(35%). Almost half of the sample(49%) subscribed to a view consistent with a creationist posture and large group of students(46%) expressed a purely ontological view. Only minority of the students(5%) discounted the role played by private science values, but one half of the sample denied the fact that gender-related values can influence the knowledge that scientist construct(53%). Only a small potion of the sample(5%) held a view contrasting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of science, but the majority(67%) expressed a simplistic hierarchical relationship in which hypotheses become theories and theories become laws. One third of the students(33%) held a preconception that the scientific method composed of questioning, hypothesizing, collecting data, and concluding. Students did not appreciate the role of consensus making in science(33%). An out-dated epistemic perspective describes the progress of science as simply an accumulation of knowledge(4%). In general, it was concluded that most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hold e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science. It can be said that no adequate and consistent instruction took place to provide students with an authentic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 PDF

인류세 시대의 컴퓨팅: 인간과 지구를 매개하는 컴퓨팅 기술 (Computing in the Anthropocene: How Computing Technologies Mediate between the Human and the Earth)

  • 김희원;김성은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3-155
    • /
    • 2020
  • 본 논문은 컴퓨팅 기술을 동원하여 행성적 활동이 탐구 가능하게 된 과정을 살핀 역사학 연구와 컴퓨팅의 물질성(materiality)과 환경 영향에 방점을 둔 미디어 연구, 그리고 인류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특히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지구를 이해, 사용, 소모하는 인간 활동이 두드러지는 인류세 시대에 더욱 증대되고 있다. 컴퓨팅을 바라보는 시간적-공간적 시선을 확장하여 컴퓨터와 인간, 그리고 지구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요소를 검토한 연구가 상정하는 기술과 행성의 관계를 재검토한다. 컴퓨팅 기술은 인류세로 특징지을 수 있는 흔적을 포착하는 데 사용되면서도, 그 스스로가 지구에 더 깊은 흔적을 남기는 데 기여한다. 인류세와 컴퓨팅 기술은 상호구성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국내 과학기술학계에서도 인류세적 관점을 수용하여 정보통신기술을 새롭게 바라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리테일 산업에서의 구매단계별 사물인터넷 활용과 가치 창출 (The Internet of Things(IoT) applications and value creation in the retail industry: focusing on consumer decision-making stages)

  • 박인형;정소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87-198
    • /
    • 2021
  •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리테일 분야의 사물인터넷 기반 제품 및 서비스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각각 서비스의 역할과 소비가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과정을 구매이전, 구매, 구매이후 단계로 나누고 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 사례를 단계별로 분류한 후, 각 재품 및 서비스의 특징 및 소비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사결정과정에 이용되는 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는 구매 이전 단계에서 정보제공, 대안비교 기능을 수행하며 구매단계에서는 상호작용, 자동결제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다. 구매 이후 단계에서는 반복 구매를 유도하고 사후서비스를 제공한다. 의사결정 전반에서 스마트 리테일은 인식 가치, 기능적 가치를 제공하고 구매 이전 단계에서는 상황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를, 구매 이후 단계에서는 상황적 가치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산업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사물인터넷 연구에서 나아가 소비자중심에서 소비가치를 고찰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과 스마트 리테일의 발전을 위한 조언을 제공함에 있다.